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상태자존감 측정을 위한 신뢰로운 다차원적 척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원척도인 Heatherton과 Polivy(1991)의 State Self- Esteem Scale(SSES)을 번안‧수정한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중언어자 2인에 의해 원척도의 20개 문항들을 독립적으로 번역 및 역번역한 후 지도교수와의 토의를 거쳐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한국판 상태자존감 예비척도를 질문지로 구성하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소재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239부에 대해 ...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상태자존감 측정을 위한 신뢰로운 다차원적 척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원척도인 Heatherton과 Polivy(1991)의 State Self- Esteem Scale(SSES)을 번안‧수정한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중언어자 2인에 의해 원척도의 20개 문항들을 독립적으로 번역 및 역번역한 후 지도교수와의 토의를 거쳐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한국판 상태자존감 예비척도를 질문지로 구성하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소재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239부에 대해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 문항이 제거되고 최종적으로 18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3요인 구조의 척도가 제작되었으며, 요인명은 각각 기능적 자존감, 본질적 자존감, 사회적 자존감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내적합치도 및 반분신뢰도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냈으며, 4주 간격으로 문항별 검사-재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도 양호한 수준의 값을 나타내어 척도로서의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K-SSE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Rosenberg 자존감척도, 자기효능감척도, 심리적 안녕감척도, 신체 존중감척도와 같이 자기개념을 측정하는 척도들과는 모두 양호한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Beck의 불안척도 및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S-D)등과 같은 병리를 측정하는 척도들과는 양호한 수준의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K-SSES의 척도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증명되었다. 추출된 3요인구조에 대한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표본 300부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전반적 적합도 평가에 사용되는 절대적합지수 중 하나인 RMSEA값과 증분적합지수 중 하나인 TLI값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3요인 측정모형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기존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존감 측정에 있어 대부분 연구에서 하나의 척도만이 사용되어 온 국내의 연구현실을 감안하였을 때, 이 척도의 타당화로 인해 1990년 후반부터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의 성인자존감척도 개발과 더불어, 성인자존감척도 사용에 있어 선택의 폭을 보다 넓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자존감 측정에 있어 다면적 척도를 제안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osenberg의 자존감척도는 단일차원의 척도인 점을 감안할 때, 자존감을 구성하는 다면적인 하위요인에 대한 제시는 몇몇 향후 다양한 관련 변인들과의 연구에서 자존감에 대한 보다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는 인간의 기질적 성향인 특질자존감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상황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자존감을 측정하는 척도의 타당화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자존감 강화와 같은 개입프로그램들의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에서, 시간적이고 상황적인 면에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특질적 자존감측정을 위한 척도보다는 프로그램 사전, 사후의 자존감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본 척도의 사용이 효과성 검증에 있어 훨씬 더 신뢰롭고 유용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상태자존감 측정을 위한 신뢰로운 다차원적 척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원척도인 Heatherton과 Polivy(1991)의 State Self- Esteem Scale(SSES)을 번안‧수정한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중언어자 2인에 의해 원척도의 20개 문항들을 독립적으로 번역 및 역번역한 후 지도교수와의 토의를 거쳐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한국판 상태자존감 예비척도를 질문지로 구성하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소재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239부에 대해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 문항이 제거되고 최종적으로 18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3요인 구조의 척도가 제작되었으며, 요인명은 각각 기능적 자존감, 본질적 자존감, 사회적 자존감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내적합치도 및 반분신뢰도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냈으며, 4주 간격으로 문항별 검사-재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도 양호한 수준의 값을 나타내어 척도로서의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K-SSE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Rosenberg 자존감척도, 자기효능감척도, 심리적 안녕감척도, 신체 존중감척도와 같이 자기개념을 측정하는 척도들과는 모두 양호한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Beck의 불안척도 및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S-D)등과 같은 병리를 측정하는 척도들과는 양호한 수준의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K-SSES의 척도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증명되었다. 추출된 3요인구조에 대한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표본 300부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전반적 적합도 평가에 사용되는 절대적합지수 중 하나인 RMSEA값과 증분적합지수 중 하나인 TLI값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3요인 측정모형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기존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존감 측정에 있어 대부분 연구에서 하나의 척도만이 사용되어 온 국내의 연구현실을 감안하였을 때, 이 척도의 타당화로 인해 1990년 후반부터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의 성인자존감척도 개발과 더불어, 성인자존감척도 사용에 있어 선택의 폭을 보다 넓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자존감 측정에 있어 다면적 척도를 제안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osenberg의 자존감척도는 단일차원의 척도인 점을 감안할 때, 자존감을 구성하는 다면적인 하위요인에 대한 제시는 몇몇 향후 다양한 관련 변인들과의 연구에서 자존감에 대한 보다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는 인간의 기질적 성향인 특질자존감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상황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자존감을 측정하는 척도의 타당화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자존감 강화와 같은 개입프로그램들의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에서, 시간적이고 상황적인 면에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특질적 자존감측정을 위한 척도보다는 프로그램 사전, 사후의 자존감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본 척도의 사용이 효과성 검증에 있어 훨씬 더 신뢰롭고 유용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