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심박동 변이도 분석을 이용한 자율신경 기능의 평가 Assessment of autonomic function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using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원문보기
목적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나타나는 자율신경기능의 이상 및 그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를 지나 보행 가능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율 신경계의 생리학적 신호 분석 방법으로 그 유용성이 입증된 심박동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분석을 통하여, 외상성 ...
목적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나타나는 자율신경기능의 이상 및 그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를 지나 보행 가능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율 신경계의 생리학적 신호 분석 방법으로 그 유용성이 입증된 심박동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분석을 통하여, 외상성 뇌손상과 관련된 자율신경 기능의 이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외상성 뇌손상 환자 21명과 이들과 나이, 성별을 일치시킨 정상 대조군 21명을 대상군으로 하여, 심박동 변이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파워 스펙트럼 분석, 시간 영역 분석 및 비선형 복잡도 분석을 이용하여 심박동 변이도 지수들을 산출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통하여 환자군의 외상성 뇌손상 관련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시간 영역 분석 결과,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SDNN, RMSSD, TSRD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파워 스펙트럼 분석에서는 VLF 값이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환자군을 경도의 뇌손상군과 중등도의 뇌손상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 심박동 변이도 지표 값을 비교한 결과, 중등도 군에서 경도의 군에 비해 VLF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환자군에서 불안 증상의 심각도와 평균 심박동수, LF/HF 값 간에 각각 정적 상관관계의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반영하는 심박동 변이도 지수 값이 뇌손상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박동 변이도를 이용한 자율신경계 조절 능력의 정량적 분석이 외상성 뇌손상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목적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나타나는 자율신경기능의 이상 및 그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를 지나 보행 가능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율 신경계의 생리학적 신호 분석 방법으로 그 유용성이 입증된 심박동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분석을 통하여, 외상성 뇌손상과 관련된 자율신경 기능의 이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외상성 뇌손상 환자 21명과 이들과 나이, 성별을 일치시킨 정상 대조군 21명을 대상군으로 하여, 심박동 변이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파워 스펙트럼 분석, 시간 영역 분석 및 비선형 복잡도 분석을 이용하여 심박동 변이도 지수들을 산출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통하여 환자군의 외상성 뇌손상 관련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시간 영역 분석 결과,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SDNN, RMSSD, TSRD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파워 스펙트럼 분석에서는 VLF 값이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환자군을 경도의 뇌손상군과 중등도의 뇌손상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 심박동 변이도 지표 값을 비교한 결과, 중등도 군에서 경도의 군에 비해 VLF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환자군에서 불안 증상의 심각도와 평균 심박동수, LF/HF 값 간에 각각 정적 상관관계의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반영하는 심박동 변이도 지수 값이 뇌손상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박동 변이도를 이용한 자율신경계 조절 능력의 정량적 분석이 외상성 뇌손상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Objectives: Autonomic nerve system dysfunction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TBI). However, studies providing direct evidence have been scar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cardiac autonomic modulation in post-acute ambulatory outpatients with TB...
Objectives: Autonomic nerve system dysfunction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TBI). However, studies providing direct evidence have been scar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cardiac autonomic modulation in post-acute ambulatory outpatients with TBI using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TBI and 21 age- and gender- matched normal controls were evaluated. The HRV assessments were performed using conventional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es as well as non-linear complexity analysis. Results: In the patient group, the values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R intervals (SDNN), 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normal sinus intervals (RMSSD), total successive RR interval difference (TSRD) and the very low frequency (VLF) power spectral parame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with moderate severity of TBI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value of VLF than those with mild severity. The severity of anxiety symptoms had a tendency to be correlated with the mean heart rate and the ratio of low-to-high frequency spectral pow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evidence that TBI is associated with reduced HRV, suggesting the critical involvement of central autonomic structures in the pathogenesis of TBI. The HRV measures may serve as an index for monitoring aspects of autonomic function in patients with TBI.
Objectives: Autonomic nerve system dysfunction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TBI). However, studies providing direct evidence have been scar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cardiac autonomic modulation in post-acute ambulatory outpatients with TBI using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TBI and 21 age- and gender- matched normal controls were evaluated. The HRV assessments were performed using conventional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es as well as non-linear complexity analysis. Results: In the patient group, the values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R intervals (SDNN), 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normal sinus intervals (RMSSD), total successive RR interval difference (TSRD) and the very low frequency (VLF) power spectral parame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with moderate severity of TBI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value of VLF than those with mild severity. The severity of anxiety symptoms had a tendency to be correlated with the mean heart rate and the ratio of low-to-high frequency spectral pow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evidence that TBI is associated with reduced HRV, suggesting the critical involvement of central autonomic structures in the pathogenesis of TBI. The HRV measures may serve as an index for monitoring aspects of autonomic function in patients with TBI.
Keyword
#외상성 뇌손상 자율신경계 기능 심박동 변이도 Brain injuries Autonomic nervous system Heart rate
학위논문 정보
저자
안준형
학위수여기관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의학
지도교수
김종훈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23 p.
키워드
외상성 뇌손상 자율신경계 기능 심박동 변이도 Brain injuries Autonomic nervous system Heart rat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