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에서 경험하고 이해한 작업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 중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작업 경험과 성숙 과정을 공유하고 작업치료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작업’을 주제로 다음의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작업치료사에게 의미 있는 작업이란 무엇인가?, 둘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는 데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질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경험한 ‘작업’을 구조적으로 도출하고 현상학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을 위해 ...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에서 경험하고 이해한 작업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 중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작업 경험과 성숙 과정을 공유하고 작업치료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작업’을 주제로 다음의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작업치료사에게 의미 있는 작업이란 무엇인가?, 둘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는 데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질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경험한 ‘작업’을 구조적으로 도출하고 현상학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을 위해 눈덩이표집법과 세평적 사례선택방법을 이용하였고, 임상경력과 현재 근무여부, 그 외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총 9명의 작업치료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임상 경력은 최소 6년에서 최대 19년이고 현재 의료생협, 사설센터, 대학병원, 재활병원, 정신과 등의 다양한 작업치료 영역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연구 자료는 2011년 5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고, 1~2회 심층면접과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개방형질문을 통해 연구 주제에 대한 대상자의 경험을 재구성하도록 하였고, 심층면접은 매 회 평균 1시간~2시간30분이 소요되었다. 심층면접은 진술의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이뤄졌으며,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부족한 내용은 이메일과 전화 연락을 통해 보충하였다. 분석은 질적연구의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4단계로 분석하였다. 1단계는 연구 참여자가 기술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반복하여 읽어나가면서 전체 내용을 인식하였다. 2단계는 연구 주제에 맞는 내용을 찾아 사선(/)으로 나누면서 의미 단위로 구분하였다. 3단계는 구분된 의미 단위를 범주화하여 연구자의 학문적 용어로 변형하였다. 마지막 4단계는 전체 연구 참여자들이 기술한 경험을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시공간적 맥락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가 추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경험의 본질을 의미한다. <작업치료 인식> 경험은 임상 초기에 작업치료에 대한 주변의 인식과 수용의 특성을 의미한다. 작업치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저조해 지원이 열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것에 의미를 뒀다. <환자와의 대면>은 작업치료사가 환자와 관계를 형성해가는 경험의 본질이다. 환자와 만나면서 당황스런 상황을 감수해야 했고, 신뢰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특성을 보였다. <현실적 제약>은 작업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치료실, 사람, 제도 등에 영향을 받아 한계를 느낀 경험이다. <대처와 적응>은 주어진 상황에서 작업치료사 나름의 노력을 통해 자주성, 희생, 이해로 변화를 추구했던 경험을 의미한다. 작업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과 역할을 고민하면서 환자와 소통하는 특성을 보였다. <자아탐색과 성숙>은 환경적인 조건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통해 성숙하고, 보람과 즐거움을 느끼는 작업치료사의 특성을 볼 수 있었다. <미래의 성장을 위한 노력>은 작업치료의 비전을 바라보며 나아가는 경험의 본질을 이룬다. ‘작업’에 대한 근본적 고민, 탐구, 가치관의 변화와 전문성 증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질문인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작업’에 대한 답을 본질적 의미로 함축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치료사가 경험하는 작업은 ‘사람과 소통하고 관계 맺는 가치를 추구하며, 전문가로서 환자의 삶의 질을 고민하면서 작업치료사 본인도 성숙하고 성장해가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에서 경험하고 이해한 작업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 중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작업 경험과 성숙 과정을 공유하고 작업치료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작업’을 주제로 다음의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작업치료사에게 의미 있는 작업이란 무엇인가?, 둘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는 데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질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경험한 ‘작업’을 구조적으로 도출하고 현상학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을 위해 눈덩이표집법과 세평적 사례선택방법을 이용하였고, 임상경력과 현재 근무여부, 그 외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총 9명의 작업치료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임상 경력은 최소 6년에서 최대 19년이고 현재 의료생협, 사설센터, 대학병원, 재활병원, 정신과 등의 다양한 작업치료 영역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연구 자료는 2011년 5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고, 1~2회 심층면접과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개방형질문을 통해 연구 주제에 대한 대상자의 경험을 재구성하도록 하였고, 심층면접은 매 회 평균 1시간~2시간30분이 소요되었다. 심층면접은 진술의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이뤄졌으며,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부족한 내용은 이메일과 전화 연락을 통해 보충하였다. 분석은 질적연구의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4단계로 분석하였다. 1단계는 연구 참여자가 기술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반복하여 읽어나가면서 전체 내용을 인식하였다. 2단계는 연구 주제에 맞는 내용을 찾아 사선(/)으로 나누면서 의미 단위로 구분하였다. 3단계는 구분된 의미 단위를 범주화하여 연구자의 학문적 용어로 변형하였다. 마지막 4단계는 전체 연구 참여자들이 기술한 경험을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시공간적 맥락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가 추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경험의 본질을 의미한다. <작업치료 인식> 경험은 임상 초기에 작업치료에 대한 주변의 인식과 수용의 특성을 의미한다. 작업치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저조해 지원이 열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것에 의미를 뒀다. <환자와의 대면>은 작업치료사가 환자와 관계를 형성해가는 경험의 본질이다. 환자와 만나면서 당황스런 상황을 감수해야 했고, 신뢰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특성을 보였다. <현실적 제약>은 작업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치료실, 사람, 제도 등에 영향을 받아 한계를 느낀 경험이다. <대처와 적응>은 주어진 상황에서 작업치료사 나름의 노력을 통해 자주성, 희생, 이해로 변화를 추구했던 경험을 의미한다. 작업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과 역할을 고민하면서 환자와 소통하는 특성을 보였다. <자아탐색과 성숙>은 환경적인 조건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통해 성숙하고, 보람과 즐거움을 느끼는 작업치료사의 특성을 볼 수 있었다. <미래의 성장을 위한 노력>은 작업치료의 비전을 바라보며 나아가는 경험의 본질을 이룬다. ‘작업’에 대한 근본적 고민, 탐구, 가치관의 변화와 전문성 증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질문인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작업’에 대한 답을 본질적 의미로 함축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치료사가 경험하는 작업은 ‘사람과 소통하고 관계 맺는 가치를 추구하며, 전문가로서 환자의 삶의 질을 고민하면서 작업치료사 본인도 성숙하고 성장해가는 과정’이었다.
This study made an approach with focus on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grasp essence of occupation which was experienced and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ho worked at a clinic. It intends to share work experience a...
This study made an approach with focus on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grasp essence of occupation which was experienced and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ho worked at a clinic. It intends to share work experience and maturity process with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investigate his identity and role.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ith a subject of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First, which occupation is meaningful to an occupational therapist? Second, which elements do prevent an occupational therapist from realizing meaningful occupation? Third, what is the method for an occupational therapist to realize a meaningful occupation? Through such ques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structurally draw the ‘occupation’ experienced from the viewpoint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o describe it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Snowball sampling and reputation case selection method were used for sel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otal 9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considering clinic experience, present working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Clinic experience extended from minimum 6 years to maximum 19 years and they were working in the various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such as medical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 private center, university hospital, rehabilitation hospital and psychiatric clinic.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1~2 times in-depth interviews from May to September 2011 an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research subject were restructured through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required for average 1hour~2 and half hours every tim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ntil saturated condition of statement and were supplemented through e-mails or phone conversations in the case of vague meanings or insufficient contents. Analysis was made in 4 phases with focus on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uring the 1st phase, the whole contents, which were described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peatedly read and then, recognized. During the 2nd phase, contents suitable for this research subject were examined and then, divided into meaning units by slash. During the 3rd phase, divided meaning units were categorized and then, transformed into academic terminologies of researcher. The 4th phase is to structurally integrate experiences described by the all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y properly reflect space-time context. Finally, 6 components and 18 sub-components were extracted. 6 components mean essence of experience as follows. Experience in means characteristics recognized and accepted by neighborhood with respect to occupational therapy at the initial stage of clinic. Even though support was poor becaus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by people was low, meaning was placed on challenge to a new field. was the essence of experience to form relationships with a patient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Facing with a patient, the occupational therapist had to endure embarrassing situations and also had to make efforts to form trust. was the experience which felt limitations influenced by treatment room, people, system and the like during occupational therapy. means the experience that an occupational therapist pursued a change through independence, sacrifice and understanding by way of his own efforts under a given situation. Agonizing quality and role of patient’ life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it showed characteristics to communicate with a patient. showed characteristics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ho felt ripeness, happiness and pleasure through a patient in spite of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constitutes the essence of experience seeing the vision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n, moving forward. It revealed characteristics to continuously make efforts for fundamental worry of ‘occupation’, study, change in values and improvement of specialty. If the answer to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implied by an essential meaning, it will be as follows;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was ‘a course to pursue values communicating and hav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nd to become ripened and grown by agonizing patient’s quality of life as a specialist’.
This study made an approach with focus on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grasp essence of occupation which was experienced and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ho worked at a clinic. It intends to share work experience and maturity process with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investigate his identity and role.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ith a subject of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First, which occupation is meaningful to an occupational therapist? Second, which elements do prevent an occupational therapist from realizing meaningful occupation? Third, what is the method for an occupational therapist to realize a meaningful occupation? Through such ques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structurally draw the ‘occupation’ experienced from the viewpoint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o describe it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Snowball sampling and reputation case selection method were used for sel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otal 9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considering clinic experience, present working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Clinic experience extended from minimum 6 years to maximum 19 years and they were working in the various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such as medical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 private center, university hospital, rehabilitation hospital and psychiatric clinic.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1~2 times in-depth interviews from May to September 2011 an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research subject were restructured through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required for average 1hour~2 and half hours every tim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ntil saturated condition of statement and were supplemented through e-mails or phone conversations in the case of vague meanings or insufficient contents. Analysis was made in 4 phases with focus on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uring the 1st phase, the whole contents, which were described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peatedly read and then, recognized. During the 2nd phase, contents suitable for this research subject were examined and then, divided into meaning units by slash. During the 3rd phase, divided meaning units were categorized and then, transformed into academic terminologies of researcher. The 4th phase is to structurally integrate experiences described by the all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y properly reflect space-time context. Finally, 6 components and 18 sub-components were extracted. 6 components mean essence of experience as follows. Experience in means characteristics recognized and accepted by neighborhood with respect to occupational therapy at the initial stage of clinic. Even though support was poor becaus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by people was low, meaning was placed on challenge to a new field. was the essence of experience to form relationships with a patient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Facing with a patient, the occupational therapist had to endure embarrassing situations and also had to make efforts to form trust. was the experience which felt limitations influenced by treatment room, people, system and the like during occupational therapy. means the experience that an occupational therapist pursued a change through independence, sacrifice and understanding by way of his own efforts under a given situation. Agonizing quality and role of patient’ life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it showed characteristics to communicate with a patient. showed characteristics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ho felt ripeness, happiness and pleasure through a patient in spite of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constitutes the essence of experience seeing the vision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n, moving forward. It revealed characteristics to continuously make efforts for fundamental worry of ‘occupation’, study, change in values and improvement of specialty. If the answer to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implied by an essential meaning, it will be as follows;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was ‘a course to pursue values communicating and hav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nd to become ripened and grown by agonizing patient’s quality of life as a speciali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