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수계로 흘러들어가는 전체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오염부하가 42~6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대로 둔다면 2015년에는 65~7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수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비점오염원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을 건설하여 쉽게 처리 할 수 있는 점오염원과 달리 강우에 의해 시가지, 농경지, 산림 등으로부터 넓게 확산되어 배출되므로 처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의 체계적인 관리 없이는 하천이나 호소수질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에서 관할하고 있는 영산강․섬진강수계 상수원관리지역인 주암호 인근의 ...
<국문초록> 수계로 흘러들어가는 전체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오염부하가 42~6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대로 둔다면 2015년에는 65~7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수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비점오염원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을 건설하여 쉽게 처리 할 수 있는 점오염원과 달리 강우에 의해 시가지, 농경지, 산림 등으로부터 넓게 확산되어 배출되므로 처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의 체계적인 관리 없이는 하천이나 호소수질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에서 관할하고 있는 영산강․섬진강수계 상수원관리지역인 주암호 인근의 인공습지 4개소에 대하여 오염원의 처리효율을 분석하고, 기간의 지남에 따른 오염원 저감효과 반감정도와 함께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증가 또는 적정선 유지를 위해 수해나 침전․기상에 의해 본래 기능을 상실한 인공습지에 대하여 최적의 유지관리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인공습지 특성별 유지관리 방법 적용전후의 오염원 처리효율을 분석하여 향후 인공습지 설계 및 준공후 유지관리 체계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의 제공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인공습지 복원 전, 본 연구의 대상인 4곳의 인공습지 모니터링 결과 처음 2~3년간은 수질개선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이후부터는 유입수량 부족, 갈대 등 수질정화식물의 고사, 침강조의 유기물 등 협잡물 침전, 전체 공정의 체류시간 및 유량관리 부실 등 여러 제반사항의 훼손으로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공습지 복원 후, 식생여과대 수해복원, 저류지 침전물 준설, 고사한 수질정화 식물 제거 및 제 식재 등 복원 후 4곳의 인공습지 모니터링 결과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지속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인공습지의 유지관리 매뉴얼을 마련하고 여러 기능적 요소들의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인공습지 유지관리 매뉴얼 마련을 위해 공정별 맞춤식 복원기술 및 주기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문초록> 수계로 흘러들어가는 전체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오염부하가 42~6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대로 둔다면 2015년에는 65~7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수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비점오염원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을 건설하여 쉽게 처리 할 수 있는 점오염원과 달리 강우에 의해 시가지, 농경지, 산림 등으로부터 넓게 확산되어 배출되므로 처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의 체계적인 관리 없이는 하천이나 호소수질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에서 관할하고 있는 영산강․섬진강수계 상수원관리지역인 주암호 인근의 인공습지 4개소에 대하여 오염원의 처리효율을 분석하고, 기간의 지남에 따른 오염원 저감효과 반감정도와 함께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증가 또는 적정선 유지를 위해 수해나 침전․기상에 의해 본래 기능을 상실한 인공습지에 대하여 최적의 유지관리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인공습지 특성별 유지관리 방법 적용전후의 오염원 처리효율을 분석하여 향후 인공습지 설계 및 준공후 유지관리 체계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의 제공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인공습지 복원 전, 본 연구의 대상인 4곳의 인공습지 모니터링 결과 처음 2~3년간은 수질개선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이후부터는 유입수량 부족, 갈대 등 수질정화식물의 고사, 침강조의 유기물 등 협잡물 침전, 전체 공정의 체류시간 및 유량관리 부실 등 여러 제반사항의 훼손으로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공습지 복원 후, 식생여과대 수해복원, 저류지 침전물 준설, 고사한 수질정화 식물 제거 및 제 식재 등 복원 후 4곳의 인공습지 모니터링 결과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지속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인공습지의 유지관리 매뉴얼을 마련하고 여러 기능적 요소들의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인공습지 유지관리 매뉴얼 마련을 위해 공정별 맞춤식 복원기술 및 주기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ll sources of water flowing into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occupies 42-69% are estimated to be worth, if continue, 65-70% more than in 2015 is expected to increase. Thus a lot of water nonpoint source pollution affecting the construc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wastewater trea...
All sources of water flowing into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occupies 42-69% are estimated to be worth, if continue, 65-70% more than in 2015 is expected to increase. Thus a lot of water nonpoint source pollution affecting the construc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can be handled easily by a point source, unlike rainfall town, farmland, forests, etc. Is discharged from the wide spread it is difficult to handle. Thus, withou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to improve river water quality and appeal is limited. In this study, the Yongsan river in Jeollanam-do. Seomjin river of juamho water source water management area for four places nearby wetland treatment efficiency analysis of sources, and the sources of the period over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antipathy reduction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degree be settled in order to maintain or lower than the price they suggest. vapor lost by the original functions of wetlands for the optimal method for the study was to maintain. In addition, by maintaining wetland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applying methods to analyze the future of the contaminant removal efficiency and maintain wetland design and construction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basis to provid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Wetland restoration b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tland monitoring results of four first 2-3 years a distinct improvement in the water quality, but lack of quantity flowing onwards, water purification plants, such as the death of Reed, such as emphasizing the organic impurities precipitate, residence time, and flow of the entire process, and other matters of mismanagement of damage significantly decreased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ere analyzed. Restore wetlands and vegetation recovery over excessive flooding, pond sediment dredging, water purification plants and remove dead and as my planting wetland restoration monitoring results of the four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as analyzed to be constantly increasing. Thus, the maintenance of wetlands provide manuals and continuous follow-up of multiple functional elements that you need to believe.
All sources of water flowing into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occupies 42-69% are estimated to be worth, if continue, 65-70% more than in 2015 is expected to increase. Thus a lot of water nonpoint source pollution affecting the construc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can be handled easily by a point source, unlike rainfall town, farmland, forests, etc. Is discharged from the wide spread it is difficult to handle. Thus, withou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to improve river water quality and appeal is limited. In this study, the Yongsan river in Jeollanam-do. Seomjin river of juamho water source water management area for four places nearby wetland treatment efficiency analysis of sources, and the sources of the period over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antipathy reduction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degree be settled in order to maintain or lower than the price they suggest. vapor lost by the original functions of wetlands for the optimal method for the study was to maintain. In addition, by maintaining wetland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applying methods to analyze the future of the contaminant removal efficiency and maintain wetland design and construction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basis to provid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Wetland restoration b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tland monitoring results of four first 2-3 years a distinct improvement in the water quality, but lack of quantity flowing onwards, water purification plants, such as the death of Reed, such as emphasizing the organic impurities precipitate, residence time, and flow of the entire process, and other matters of mismanagement of damage significantly decreased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ere analyzed. Restore wetlands and vegetation recovery over excessive flooding, pond sediment dredging, water purification plants and remove dead and as my planting wetland restoration monitoring results of the four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was analyzed to be constantly increasing. Thus, the maintenance of wetlands provide manuals and continuous follow-up of multiple functional elements that you need to believ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