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은 흑염소에서 조사료원에 따른 소화율과 메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거세 교잡종 흑염소 4두 (평균체중 : 48.50 ± 0.58kg) 를 공시하여 알팔파베일, 톨폐스큐, 볏짚과 옥수수 사일리지를 100%로 급여한 시험동물을 4 × 4 Latin square design에 따라 총 14일간 (사료적응기간 10일, 측정기간 4일) 급여하여 영양소 소화율과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각 급여구간 건물 및 유기물, ...
본 실험은 흑염소에서 조사료원에 따른 소화율과 메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거세 교잡종 흑염소 4두 (평균체중 : 48.50 ± 0.58kg) 를 공시하여 알팔파베일, 톨폐스큐, 볏짚과 옥수수 사일리지를 100%로 급여한 시험동물을 4 × 4 Latin square design에 따라 총 14일간 (사료적응기간 10일, 측정기간 4일) 급여하여 영양소 소화율과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각 급여구간 건물 및 유기물, 조단백질,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소화율, 음수량 및 뇨량,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각 급여구간 실험기간 동안 흑염소의 체중과 건물섭취량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은 옥수수 사일리지가 79.50%로 모든 급여구와 유의차를 나타내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유기물 소화율은 옥수수 사일리지가 90.50%로 모든 급여구와 유의차를 나타내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알팔파베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옥수수 사일리지와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톨페스큐, 볏짚과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NDF 소화율은 톨페스큐가 45.75%의 가장 낮은 소화율을 나타냈다 (P<0.05). ADF 소화율은 톨페스큐 급여구가 37.50%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고, 나머지 급여구들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음수량과 뇨량은 알팔파베일 급여구가 가장 많은 음수량과 배설량을 보였으며, 옥수수 사일리지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음수량을 나타냈다 (P<0.05). 메탄발생량은 45.65 l/day로 볏짚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옥수수 사일리지와 알팔파 베일 급여구와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ry matter intake (DMI)와 organic matter intake (OMI) 당 발생량은 볏짚이 68.51, 78.08 l/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알팔파 베일과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와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Crude protein intake (CPI) 당 발생량은 1177.03 l/kg/day으로 볏짚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알팔파베일 급여구는 250.83으로 가장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P<0.05). Neutral detergent fiber intake (NDFI) 당 발생량은 모든 급여구간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Acid detergent fiber intake (ADFI) 당 메탄발생량은 옥수수 사일리지가 187.70 l/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톨페스큐를 제외한 나머지 급여구와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igested dry matter intake (DDMI) 당 발생량은 120.63와 130.68 l/kg/day의 발생량을 보인 톨페스큐와 볏짚이 옥수수 사일리지와 알팔파 베일 급여구와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igested organic matter intake (DOMI) 당 발생량은 볏짚이 101.91 l/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톨페스큐를 제외한 나머지 급여구와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Digested Crude protein intake (DCPI) 당 발생량은 2241.42 l/kg/day로 볏짚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그 다음 톨페스큐가 1390.40, 알팔파 베일이 325.14의 발생량을 보이며 볏짚과 유의차를 나타냈다(P<0.05). Digested neutral detergent fiber intake (DNDFI) 당 발생량은 209.27로 가장 높은 톨페스큐와 117.37 l/kg/day의 가장 낮은 발생량을 보인 알팔파베일 급여구만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igested Acid detergent fiber intake (DADFI)당 메탄발생량은 모든 급여구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428.41 l/day 볏짚 급여구에서 가장 낮게 발생하였으며, 모든 급여구들과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저질 조사료보다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메탄이 적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료의 영양적 가치를 높여 소화율 높이고,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줄여 사료의 가치를 증진시키면 반추동물의 생산성과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실험은 흑염소에서 조사료원에 따른 소화율과 메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거세 교잡종 흑염소 4두 (평균체중 : 48.50 ± 0.58kg) 를 공시하여 알팔파베일, 톨폐스큐, 볏짚과 옥수수 사일리지를 100%로 급여한 시험동물을 4 × 4 Latin square design에 따라 총 14일간 (사료적응기간 10일, 측정기간 4일) 급여하여 영양소 소화율과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각 급여구간 건물 및 유기물, 조단백질,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소화율, 음수량 및 뇨량,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각 급여구간 실험기간 동안 흑염소의 체중과 건물섭취량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은 옥수수 사일리지가 79.50%로 모든 급여구와 유의차를 나타내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유기물 소화율은 옥수수 사일리지가 90.50%로 모든 급여구와 유의차를 나타내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알팔파베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옥수수 사일리지와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톨페스큐, 볏짚과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NDF 소화율은 톨페스큐가 45.75%의 가장 낮은 소화율을 나타냈다 (P<0.05). ADF 소화율은 톨페스큐 급여구가 37.50%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고, 나머지 급여구들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음수량과 뇨량은 알팔파베일 급여구가 가장 많은 음수량과 배설량을 보였으며, 옥수수 사일리지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음수량을 나타냈다 (P<0.05). 메탄발생량은 45.65 l/day로 볏짚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옥수수 사일리지와 알팔파 베일 급여구와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ry matter intake (DMI)와 organic matter intake (OMI) 당 발생량은 볏짚이 68.51, 78.08 l/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알팔파 베일과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와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Crude protein intake (CPI) 당 발생량은 1177.03 l/kg/day으로 볏짚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알팔파베일 급여구는 250.83으로 가장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P<0.05). Neutral detergent fiber intake (NDFI) 당 발생량은 모든 급여구간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Acid detergent fiber intake (ADFI) 당 메탄발생량은 옥수수 사일리지가 187.70 l/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톨페스큐를 제외한 나머지 급여구와는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igested dry matter intake (DDMI) 당 발생량은 120.63와 130.68 l/kg/day의 발생량을 보인 톨페스큐와 볏짚이 옥수수 사일리지와 알팔파 베일 급여구와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igested organic matter intake (DOMI) 당 발생량은 볏짚이 101.91 l/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톨페스큐를 제외한 나머지 급여구와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Digested Crude protein intake (DCPI) 당 발생량은 2241.42 l/kg/day로 볏짚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그 다음 톨페스큐가 1390.40, 알팔파 베일이 325.14의 발생량을 보이며 볏짚과 유의차를 나타냈다(P<0.05). Digested neutral detergent fiber intake (DNDFI) 당 발생량은 209.27로 가장 높은 톨페스큐와 117.37 l/kg/day의 가장 낮은 발생량을 보인 알팔파베일 급여구만 유의차가 나타났다 (P<0.05). Digested Acid detergent fiber intake (DADFI)당 메탄발생량은 모든 급여구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428.41 l/day 볏짚 급여구에서 가장 낮게 발생하였으며, 모든 급여구들과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저질 조사료보다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메탄이 적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료의 영양적 가치를 높여 소화율 높이고,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줄여 사료의 가치를 증진시키면 반추동물의 생산성과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