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이 직면하고 있는 모든 상극(相剋)의 상황을 벗어나 상생의 길을 찾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붓다의 가르침을 따라 길을 찾고자 했으며 ??아함경?? 안에 고이 모셔진 붓다의 설법에서 시대적 소명의 답을 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융합과 상생 가치의 등장을 이전세대와 비교하여 총체적인 패러다임전환(paradigm shift)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의 도구로서 기획된 것이 바로 설법플랫폼이다. ??아함경??이라는 붓다의 설법 ‘정보’에서 ‘대칭’을 가지는 요소를 추리고 ‘질서’를 부여해 평형을 갖추어 무형(無形)의 공간에 ...
현대인이 직면하고 있는 모든 상극(相剋)의 상황을 벗어나 상생의 길을 찾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붓다의 가르침을 따라 길을 찾고자 했으며 ??아함경?? 안에 고이 모셔진 붓다의 설법에서 시대적 소명의 답을 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융합과 상생 가치의 등장을 이전세대와 비교하여 총체적인 패러다임전환(paradigm shift)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의 도구로서 기획된 것이 바로 설법플랫폼이다. ??아함경??이라는 붓다의 설법 ‘정보’에서 ‘대칭’을 가지는 요소를 추리고 ‘질서’를 부여해 평형을 갖추어 무형(無形)의 공간에 4차원 플랫폼을 만들었다. 플랫폼에는 소프트웨어로서 ‘심층구조와 표면구조’을 비롯한 기본원리가 설정되었고 플랫폼 운영주체인 설법자의 요건과 자세를 정립했다. 세 가지 요소로 완성된 설법 시스템의 재생산을 증명하기 위해 역사적 사례로 초전법륜과 전도선언을 분석했으며 시대환경 변화에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적응시키기 위해 창조적 파괴의 논리를 도입하였다. 이 플랫폼 형식 안에는 각종 기법과 개념들이 그 내용을 채우고 있으며 자체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것을 위해 붓다의 설법이라는 ‘사건’을 아리스토텔레스 관점에서 얻을 수 있는 x, y, z와 t라는 네 실수를 가지고 표현할 것이며, 놓치지 말아야할 것은 시간과 공간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설계 가능성이다. 이에 따라 붓다의 설법을 플랫폼으로 생각하며 정의한다면 ‘가치복합체의 법문들이 구성요소가 되어 상호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생력과 구동력을 지녀 시대를 관류하며 교화하는 생태적 기반요소’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문자화 된 ‘붓다의 설법’이라는 ‘사건’이 ‘플랫폼’으로 구조화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이와 같아서 생태적 생명을 지니는 방향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은 소유권을 주장하지 않아 배타적이지 않고 누구나 그 주인이 될 수 있다. 깨달음과 실행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 가능한 열린 체계이기 때문이다. 설법플랫폼의 시스템적 가치는 여기에 있다. 이 설법플랫폼을 여러 영역에 적용할 때 제한된 자원에 대한 갈등이 아니라 무한한 정신적 유산을 공유함으로서 상생의 가치를 체화하고 내면의 풍요로움을 창조할 수 있는 진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상생과 공존의 생태계를 이뤄낼 수 있다면 붓다의 설법시스템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가능하다.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나의 진지를 이루고 그 진지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점진적으로 확산되는 그 모습이 바로 설법 플랫폼이 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다시 생태계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그리하여 이 설법플랫폼을 시스템적으로 건설하려는 시도는 붓다의 전법정신을 오늘에도 구동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어 생명력을 부여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붓다 설법의 플랫폼은 수행자나 포교자가 붓다의 정신에 접근할 때에 그 바탕을 이루고 있는 틀이 된다. 그것은 어떻게 보면 우리 시대의 안목에서 바라본 붓다의 기본 정신이라 할 만하다. 따라서 우리는 붓다 설법이라는 플랫폼을 통하여 현대인들이 불타의 정신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붓다 정신의 이러한 재 축조는 현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재 축조는 불교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는 불교의 교리를 건축물로써 쉽게 이해하는 틀이 된다. 한편 불교의 사상을 설하고자 하는 뜻을 가진 사람에게는 이러한 플랫폼이 자신의 설법을 이루는 틀이 될 것이다.
현대인이 직면하고 있는 모든 상극(相剋)의 상황을 벗어나 상생의 길을 찾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붓다의 가르침을 따라 길을 찾고자 했으며 ??아함경?? 안에 고이 모셔진 붓다의 설법에서 시대적 소명의 답을 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융합과 상생 가치의 등장을 이전세대와 비교하여 총체적인 패러다임전환(paradigm shift)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의 도구로서 기획된 것이 바로 설법플랫폼이다. ??아함경??이라는 붓다의 설법 ‘정보’에서 ‘대칭’을 가지는 요소를 추리고 ‘질서’를 부여해 평형을 갖추어 무형(無形)의 공간에 4차원 플랫폼을 만들었다. 플랫폼에는 소프트웨어로서 ‘심층구조와 표면구조’을 비롯한 기본원리가 설정되었고 플랫폼 운영주체인 설법자의 요건과 자세를 정립했다. 세 가지 요소로 완성된 설법 시스템의 재생산을 증명하기 위해 역사적 사례로 초전법륜과 전도선언을 분석했으며 시대환경 변화에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적응시키기 위해 창조적 파괴의 논리를 도입하였다. 이 플랫폼 형식 안에는 각종 기법과 개념들이 그 내용을 채우고 있으며 자체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것을 위해 붓다의 설법이라는 ‘사건’을 아리스토텔레스 관점에서 얻을 수 있는 x, y, z와 t라는 네 실수를 가지고 표현할 것이며, 놓치지 말아야할 것은 시간과 공간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설계 가능성이다. 이에 따라 붓다의 설법을 플랫폼으로 생각하며 정의한다면 ‘가치복합체의 법문들이 구성요소가 되어 상호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생력과 구동력을 지녀 시대를 관류하며 교화하는 생태적 기반요소’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문자화 된 ‘붓다의 설법’이라는 ‘사건’이 ‘플랫폼’으로 구조화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이와 같아서 생태적 생명을 지니는 방향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은 소유권을 주장하지 않아 배타적이지 않고 누구나 그 주인이 될 수 있다. 깨달음과 실행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 가능한 열린 체계이기 때문이다. 설법플랫폼의 시스템적 가치는 여기에 있다. 이 설법플랫폼을 여러 영역에 적용할 때 제한된 자원에 대한 갈등이 아니라 무한한 정신적 유산을 공유함으로서 상생의 가치를 체화하고 내면의 풍요로움을 창조할 수 있는 진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상생과 공존의 생태계를 이뤄낼 수 있다면 붓다의 설법시스템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가능하다.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나의 진지를 이루고 그 진지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점진적으로 확산되는 그 모습이 바로 설법 플랫폼이 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다시 생태계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그리하여 이 설법플랫폼을 시스템적으로 건설하려는 시도는 붓다의 전법정신을 오늘에도 구동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어 생명력을 부여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붓다 설법의 플랫폼은 수행자나 포교자가 붓다의 정신에 접근할 때에 그 바탕을 이루고 있는 틀이 된다. 그것은 어떻게 보면 우리 시대의 안목에서 바라본 붓다의 기본 정신이라 할 만하다. 따라서 우리는 붓다 설법이라는 플랫폼을 통하여 현대인들이 불타의 정신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붓다 정신의 이러한 재 축조는 현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재 축조는 불교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는 불교의 교리를 건축물로써 쉽게 이해하는 틀이 된다. 한편 불교의 사상을 설하고자 하는 뜻을 가진 사람에게는 이러한 플랫폼이 자신의 설법을 이루는 틀이 될 것이다.
Searching for the way of cooperating each other to keep people from being under incompatible circumstances, this dissertation is inquiring answer to critical will of Buddha's sermon from The ?gama. Emergence of values of coexistence and fusion made a paradigm shift recently. Teaching platform is des...
Searching for the way of cooperating each other to keep people from being under incompatible circumstances, this dissertation is inquiring answer to critical will of Buddha's sermon from The ?gama. Emergence of values of coexistence and fusion made a paradigm shift recently. Teaching platform is designed as a tool for paradigm shift. By drawing 'overlapping' substances from 'information' section within Buddhist teaching which is called The ?gama and granting 'order' to create a parallel system, I created a four dimensional platform within an intangible space. Teaching platform involves basic principles as a multi-dimensionality of a software and operation principles as several qualification of a preacher. In order to demonstrate reproduction of preaching system consists of three elements, I analyzed historic examples such in The first Buddhist sermon and declaration of mission and introduced a logic of creative destruction so as to adjust the system to constant change in era environment. This platform is enriched with various techniques and conception, and it is said that it has its own vital life force. To support this, I will express Buddhist teaching as an 'event' in terms of variables, x,y,z, and t stated in Aristotelian study, and one essential idea i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on of a time-space limitation. The definition of Buddhist teaching in the context of platform is 'Combined value composition of Dharma that are interacted each other' and ' Basic ecological substances that includes flows and interactions of forces of sustainability.' When an 'event', detailed in print of 'Buddhist teaching', is into the platform, it is expected to be reinterpreted as an ecological life. On the other hand, this platform is not exclusive for anyone in realizing and possessing it for him or herself. The system is open and flexible in any circumstances, adjustable to individual's realization and devotion. When this 'Teaching Platform' is adapted in many fields of studies, it stands for a significant role that shares limitless spiritual values, not a conflict in between limited resources. Therefore it achieves for exercise of coexistence and creation of one's inner enrichment. If we can achieve for creating enrichment of ecosystem through coexistence, it is possible for "Buddhist teaching system" to become sustainable by constantly growing. Each of us gets together to form a group, and as the number of group gradually increases, they become a network, which indicates a way of 'Teaching platform' multiplies its influences over the ecosystem. Buddhist Teaching became practical system by a great deal of attempts to systemize its noble spirit and life force. Buddhist teaching platform bases its fundamentals on an approach of practioners such like monks and missionary workers. On the perspective of our generation, it stands for fundamental spirit of Buddha. Employing the use of Buddhist teaching platform, people in modern days are easily able to access to Buddhist spirit. In that sense, reconstruction of Buddhist spirit encouraged a lot of people to better understand The Buddha's scriptures in the form of on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for those who want to preach Buddhist philosophy this platform can work as a frame that forms their own sermon.
Searching for the way of cooperating each other to keep people from being under incompatible circumstances, this dissertation is inquiring answer to critical will of Buddha's sermon from The ?gama. Emergence of values of coexistence and fusion made a paradigm shift recently. Teaching platform is designed as a tool for paradigm shift. By drawing 'overlapping' substances from 'information' section within Buddhist teaching which is called The ?gama and granting 'order' to create a parallel system, I created a four dimensional platform within an intangible space. Teaching platform involves basic principles as a multi-dimensionality of a software and operation principles as several qualification of a preacher. In order to demonstrate reproduction of preaching system consists of three elements, I analyzed historic examples such in The first Buddhist sermon and declaration of mission and introduced a logic of creative destruction so as to adjust the system to constant change in era environment. This platform is enriched with various techniques and conception, and it is said that it has its own vital life force. To support this, I will express Buddhist teaching as an 'event' in terms of variables, x,y,z, and t stated in Aristotelian study, and one essential idea i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on of a time-space limitation. The definition of Buddhist teaching in the context of platform is 'Combined value composition of Dharma that are interacted each other' and ' Basic ecological substances that includes flows and interactions of forces of sustainability.' When an 'event', detailed in print of 'Buddhist teaching', is into the platform, it is expected to be reinterpreted as an ecological life. On the other hand, this platform is not exclusive for anyone in realizing and possessing it for him or herself. The system is open and flexible in any circumstances, adjustable to individual's realization and devotion. When this 'Teaching Platform' is adapted in many fields of studies, it stands for a significant role that shares limitless spiritual values, not a conflict in between limited resources. Therefore it achieves for exercise of coexistence and creation of one's inner enrichment. If we can achieve for creating enrichment of ecosystem through coexistence, it is possible for "Buddhist teaching system" to become sustainable by constantly growing. Each of us gets together to form a group, and as the number of group gradually increases, they become a network, which indicates a way of 'Teaching platform' multiplies its influences over the ecosystem. Buddhist Teaching became practical system by a great deal of attempts to systemize its noble spirit and life force. Buddhist teaching platform bases its fundamentals on an approach of practioners such like monks and missionary workers. On the perspective of our generation, it stands for fundamental spirit of Buddha. Employing the use of Buddhist teaching platform, people in modern days are easily able to access to Buddhist spirit. In that sense, reconstruction of Buddhist spirit encouraged a lot of people to better understand The Buddha's scriptures in the form of on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for those who want to preach Buddhist philosophy this platform can work as a frame that forms their own serm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