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도 일본어처럼 경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를 배우려는,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 학습자들은 일본어의 경어습득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경어가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심리적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이 일본인의 그것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의 목적도 경어습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일본인의 언어행동(경어행동)에 초점을 두어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으로써는 菊地康人의 경어이론을 중심으로 일본의 영화와 드라마 속에 보이는 경어사용의 실태를 조사, 분석해보았다. 그 내...
한국어도 일본어처럼 경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를 배우려는,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 학습자들은 일본어의 경어습득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경어가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심리적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이 일본인의 그것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의 목적도 경어습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일본인의 언어행동(경어행동)에 초점을 두어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으로써는 菊地康人의 경어이론을 중심으로 일본의 영화와 드라마 속에 보이는 경어사용의 실태를 조사, 분석해보았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菊地는 경어선택의 요인으로써 크게 [社会的 요인(場面, 上下, 立場, 親疎, 内外의 인간관계)과 心理的요인]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사회적 요인이란 話者와 聴者사이의 연령의 上下, 은혜/권한의 立場, 처음 만나는 사람과의 親疎, 話者측과 聴者측이라는 内外의 다양한 인간관계를 말한다. 그 외에 격식 차린 공적인 장면이 포함된다. 심리적 요인이란 話者가 場面이나 인간관계라는 사회적 요인을 파악한 다음 그것을 근거로써 화자가 청자에게 어느 정도 대우를 하고 싶은가, 즉 대우의도를 말한다. 대략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上下관계 인간관계속에서도 上下관계가 언어생활에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上下요인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다음의 3가지로 나누어 분석했다. 1) 年齢의 上下관계 : 연령의 多少에 따라 경어사용이 다른 인간관계 2) 사회통념의 上下관계 : 직장내의 上下, 선후배간의 上下등 3) 사회계층의 上下관계 : 현대에는 희박해져가고 있지만 사회계층에 따라 경어사용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일본황실, 고위직업-의사, 교수, 판검사..) 2. 立場관계 1) 은혜의 授受관계 : 은혜를 주는 입장과 받는 입장에 따라 경어사용이 달라진다. 2) 권한/종속관계 : 권한을 갖는 立場, 권한을 상대방에게 맡겨야만 하는 입장에 따라 경어사용이 달라진다. 3) 사회/심리적 優劣관계 : 어떤 사정으로, 사회․심리적으로 강한 立場과 약한 立場이 되는 경우로, 약한 立場은 경어를 사용한다. 3. 親疎관계 : 친한 입장에서는 경어를 사용하지 않고, 친하지 않은 입장에서 경어를 사용하는 경우로 대부분 가족내 구성원은 경어를 사용하지 않고, 친한 친구나 동료사이에서도 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4. 内外관계 : 内라고 하는 것은 話者側 사람으로 가족, 친척 등이고, 外라고 하는 것은 聴者側 사람이다. 内측 사람을 말할 경우는 内의 사람이 자신보다 윗사람이라도 존경어 사용을 피하고, 겸양어를 사용하고, 반대로 聴者側의 인물로 어떤 경우에는 손윗사람은 물론 손아래사람에게도 존경어를 사용 한다. 5. 場面의 성질 : 私的인 장면, 公的인 장면, 1:1의 장면, 1:多数의 장면에 따라 경어사용이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6. 心理的 요인 : 화자가 있는 그대로의 객관적인 상황이 아닌 화자의 심리적 요인에 따라 경어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경우이다. 화자 자신의 품격유지를 위해 실재와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분석했지만, 6개의 구분만으로 경어사용을 완전히 분류,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는 많은 자료와 이론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일본인의 경어행동에 대해서 연구해보고 싶다.
한국어도 일본어처럼 경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를 배우려는,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 학습자들은 일본어의 경어습득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경어가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심리적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이 일본인의 그것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의 목적도 경어습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일본인의 언어행동(경어행동)에 초점을 두어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으로써는 菊地康人의 경어이론을 중심으로 일본의 영화와 드라마 속에 보이는 경어사용의 실태를 조사, 분석해보았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菊地는 경어선택의 요인으로써 크게 [社会的 요인(場面, 上下, 立場, 親疎, 内外의 인간관계)과 心理的요인]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사회적 요인이란 話者와 聴者사이의 연령의 上下, 은혜/권한의 立場, 처음 만나는 사람과의 親疎, 話者측과 聴者측이라는 内外의 다양한 인간관계를 말한다. 그 외에 격식 차린 공적인 장면이 포함된다. 심리적 요인이란 話者가 場面이나 인간관계라는 사회적 요인을 파악한 다음 그것을 근거로써 화자가 청자에게 어느 정도 대우를 하고 싶은가, 즉 대우의도를 말한다. 대략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上下관계 인간관계속에서도 上下관계가 언어생활에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上下요인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다음의 3가지로 나누어 분석했다. 1) 年齢의 上下관계 : 연령의 多少에 따라 경어사용이 다른 인간관계 2) 사회통념의 上下관계 : 직장내의 上下, 선후배간의 上下등 3) 사회계층의 上下관계 : 현대에는 희박해져가고 있지만 사회계층에 따라 경어사용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일본황실, 고위직업-의사, 교수, 판검사..) 2. 立場관계 1) 은혜의 授受관계 : 은혜를 주는 입장과 받는 입장에 따라 경어사용이 달라진다. 2) 권한/종속관계 : 권한을 갖는 立場, 권한을 상대방에게 맡겨야만 하는 입장에 따라 경어사용이 달라진다. 3) 사회/심리적 優劣관계 : 어떤 사정으로, 사회․심리적으로 강한 立場과 약한 立場이 되는 경우로, 약한 立場은 경어를 사용한다. 3. 親疎관계 : 친한 입장에서는 경어를 사용하지 않고, 친하지 않은 입장에서 경어를 사용하는 경우로 대부분 가족내 구성원은 경어를 사용하지 않고, 친한 친구나 동료사이에서도 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4. 内外관계 : 内라고 하는 것은 話者側 사람으로 가족, 친척 등이고, 外라고 하는 것은 聴者側 사람이다. 内측 사람을 말할 경우는 内의 사람이 자신보다 윗사람이라도 존경어 사용을 피하고, 겸양어를 사용하고, 반대로 聴者側의 인물로 어떤 경우에는 손윗사람은 물론 손아래사람에게도 존경어를 사용 한다. 5. 場面의 성질 : 私的인 장면, 公的인 장면, 1:1의 장면, 1:多数의 장면에 따라 경어사용이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6. 心理的 요인 : 화자가 있는 그대로의 객관적인 상황이 아닌 화자의 심리적 요인에 따라 경어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경우이다. 화자 자신의 품격유지를 위해 실재와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분석했지만, 6개의 구분만으로 경어사용을 완전히 분류,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는 많은 자료와 이론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일본인의 경어행동에 대해서 연구해보고 싶다.
韓国語も日本語と同じように敬語を持っている。しかし日本語を習おうとすると、ほとんどの韓国人の学習者たちは日本語の敬語を習得するのに難しさを感ずる。その理由は色々あるだろうが、敬語が使われている社会的,心理的な人間関係に対する認識が日本人のそれと違うからだと思う。 この論文の目的も敬語習得の難しさを解決する方案として、日本人の言語行動(敬語行動)に焦点をおいて人間関係を理解することである。 研究方法としては菊地康人の敬語理論をもとで日本の映画とドラマの中で見られる敬語使いの実態を調査、分析した。その内容は次のようである。 菊地は敬語選択の要因として大きく[社会的要因(場面, 上下, 立場, 親疎...
韓国語も日本語と同じように敬語を持っている。しかし日本語を習おうとすると、ほとんどの韓国人の学習者たちは日本語の敬語を習得するのに難しさを感ずる。その理由は色々あるだろうが、敬語が使われている社会的,心理的な人間関係に対する認識が日本人のそれと違うからだと思う。 この論文の目的も敬語習得の難しさを解決する方案として、日本人の言語行動(敬語行動)に焦点をおいて人間関係を理解することである。 研究方法としては菊地康人の敬語理論をもとで日本の映画とドラマの中で見られる敬語使いの実態を調査、分析した。その内容は次のようである。 菊地は敬語選択の要因として大きく[社会的要因(場面, 上下, 立場, 親疎, 内外の人間関係)と心理的要因(話してがどういう待遇をするか)]に分けて説明した。 社会的要因とは話し手と聞き手の間年齢の上下、恩恵/権限の立場、初めて会う人との親疎、話し手側と聞き手側という内外の多様な人間関係を言う。他に格式ばった公的な場面が含まれている。 心理的要因とは話し手が場面とか人間関係といった社会的要因を把握した上でそれを根拠として話し手が聞き手にどれほど待遇をしたいのかである。即ち話し手の心理による待遇意図であると説明している。 大体説明してみると以下のようである。 1. 上下関係 人間関係の中でも上下関係が言語生活にもっとも基本的な要因だということができる。上下要因もさまざまであるが次の三つに分けて分析した。 1) 年齢の上下関係 : 年齢の多少によって敬語を使うか、使わないかという 人間関係を言う。 2) 社会通念の上下関係 : 職場内の上下, 先後輩間上下など。 3) 社会階層の上下関係:現代には薄らぐなていくが社会階層によって 敬語使いが変わ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 日本皇室, 高位職業-医師. 教授..)。 2. 立場関係 1) 恩恵の授受関係 : 恩恵をあたえる立場ともらう立場によって敬語使いが 変わる。 2) 権限/従属関係 : 権限を持つ立場,権限を相対にまかせなければならない立場によっ て敬語使いが変わる。 3) 社会/心理的優劣関係 : ある事情で、社会心理的で強い立場と弱い立場になる 境遇で,弱い立場は丁寧な話し方を使う。 3. 親疎関係 : 親の立場では敬語を使わなく、疎立場で使うようになる場合。 4. 内外関係 : 内というのは話し手側の人物で家族, 身内など、外というのは聞き手側の 人物打ということができる内の人のことの話をする場合は内の人が自分より目上でも尊敬 語の使用を控えて、謙譲語を使う、反対で聞き手側の人物である場合には目上はもち ろん目下でも尊敬語をつかうべきだ。 5. 場面の性質 : 私的の場面, 公的の場面, 1:1の場面, 1:多数の場面のよって敬語 使いが決定されることを言う。 6. 心理的要因 : 話し手がありのままの客観的な状況ではない話し手の心理的要因のよって敬語が選択されて使われるものである.はなして自分の品格維持のために実状とは異なる表現を使う場合が多い。 このように分析したが六つの区分だけで敬語使いを完全に分類、理解するのが難しいのを分かった。それでこれからも多い資料を使って正確で客観的に日本人の敬語行動について研究していきたいと思う。
韓国語も日本語と同じように敬語を持っている。しかし日本語を習おうとすると、ほとんどの韓国人の学習者たちは日本語の敬語を習得するのに難しさを感ずる。その理由は色々あるだろうが、敬語が使われている社会的,心理的な人間関係に対する認識が日本人のそれと違うからだと思う。 この論文の目的も敬語習得の難しさを解決する方案として、日本人の言語行動(敬語行動)に焦点をおいて人間関係を理解することである。 研究方法としては菊地康人の敬語理論をもとで日本の映画とドラマの中で見られる敬語使いの実態を調査、分析した。その内容は次のようである。 菊地は敬語選択の要因として大きく[社会的要因(場面, 上下, 立場, 親疎, 内外の人間関係)と心理的要因(話してがどういう待遇をするか)]に分けて説明した。 社会的要因とは話し手と聞き手の間年齢の上下、恩恵/権限の立場、初めて会う人との親疎、話し手側と聞き手側という内外の多様な人間関係を言う。他に格式ばった公的な場面が含まれている。 心理的要因とは話し手が場面とか人間関係といった社会的要因を把握した上でそれを根拠として話し手が聞き手にどれほど待遇をしたいのかである。即ち話し手の心理による待遇意図であると説明している。 大体説明してみると以下のようである。 1. 上下関係 人間関係の中でも上下関係が言語生活にもっとも基本的な要因だということができる。上下要因もさまざまであるが次の三つに分けて分析した。 1) 年齢の上下関係 : 年齢の多少によって敬語を使うか、使わないかという 人間関係を言う。 2) 社会通念の上下関係 : 職場内の上下, 先後輩間上下など。 3) 社会階層の上下関係:現代には薄らぐなていくが社会階層によって 敬語使いが変わ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 日本皇室, 高位職業-医師. 教授..)。 2. 立場関係 1) 恩恵の授受関係 : 恩恵をあたえる立場ともらう立場によって敬語使いが 変わる。 2) 権限/従属関係 : 権限を持つ立場,権限を相対にまかせなければならない立場によっ て敬語使いが変わる。 3) 社会/心理的優劣関係 : ある事情で、社会心理的で強い立場と弱い立場になる 境遇で,弱い立場は丁寧な話し方を使う。 3. 親疎関係 : 親の立場では敬語を使わなく、疎立場で使うようになる場合。 4. 内外関係 : 内というのは話し手側の人物で家族, 身内など、外というのは聞き手側の 人物打ということができる内の人のことの話をする場合は内の人が自分より目上でも尊敬 語の使用を控えて、謙譲語を使う、反対で聞き手側の人物である場合には目上はもち ろん目下でも尊敬語をつかうべきだ。 5. 場面の性質 : 私的の場面, 公的の場面, 1:1の場面, 1:多数の場面のよって敬語 使いが決定されることを言う。 6. 心理的要因 : 話し手がありのままの客観的な状況ではない話し手の心理的要因のよって敬語が選択されて使われるものである.はなして自分の品格維持のために実状とは異なる表現を使う場合が多い。 このように分析したが六つの区分だけで敬語使いを完全に分類、理解するのが難しいのを分かった。それでこれからも多い資料を使って正確で客観的に日本人の敬語行動について研究していきたいと思う。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