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주요 NANDA-NOC -NIC 연계성을 확인하여, 간호과정의 단계별 유기적 체계화를 통해 임상 적용을 촉진하고, 간호 실무를 향상하며 향후 본 병원의 전자간호정보시스템 구축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G광역시 C대학병원에 항암화학요법을 목적으로 입원한 암 환자 30명의 전자간호기록을 분석하여 이미 적용한 간호진단목록들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전자간호기록에서 도출된 간호진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 간호진단에 관한 관련 요인들과 간호결과 목록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서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주요 NANDA-NOC -NIC 연계성을 확인하여, 간호과정의 단계별 유기적 체계화를 통해 임상 적용을 촉진하고, 간호 실무를 향상하며 향후 본 병원의 전자간호정보시스템 구축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G광역시 C대학병원에 항암화학요법을 목적으로 입원한 암 환자 30명의 전자간호기록을 분석하여 이미 적용한 간호진단목록들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전자간호기록에서 도출된 간호진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 간호진단에 관한 관련 요인들과 간호결과 목록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서 내용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임상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을 거쳐 본 연구자가 작성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 대상 병원 종양관련 병동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최종 97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간호진단과 관련요인, 간호결과와 지표 그리고 간호중재에 관한 설문지는 Johnson 등 (2001)이 개발하고 최순희 등(2012)의 번역본을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분석을 하였고 내용타당도 검증은 Fehring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진단 도출과정
전자간호기록지에서 더 이상의 새로운 간호진단 목록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암 환자 30명의 기록이 분석되었다. 간호사가 의무적으로 수시 기록하는 ‘낙상 위험성’을 제외하고 전문가 집단 타당성 조사 및 Fehring기법으로 산출된 ‘주요’ 간호진단명으로 지식부족(.88), 급성통증(.88), 건강추구행위(.80), 비효과적 방어(.80)’가 선정되었고, ‘지지적’ 간호진단으로는 ‘비효율적 건강유지(.75), 무력감 (.75)’이 확인되었다.
2. 전문가 타당성 검증에 의해 확인된 주요 간호진단과 연계된 간호결과 목록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거쳐서 4개의 간호진단으로 ‘지식부족, 급성통증, 건강추구행위 및 비효과적 방어’가 선정되었다. 또한 각 간호진단에 대하여 검증된 주요 간호결과 목록은 다음과 같다: ‘지식부족’은 타당도 지수 .80 이상인 8개 간호결과 ‘식이요법, 질병과정, 치료요법, 질병간호, 장루간호, 처방된 활동, 건강행위, 감염관리’ 이었다. ‘급성통증’의 주요 간호결과는 ‘통증수준, 통증조절, 안위수준’이었고, ‘건강추구행위’의 주요 간호결과는 ‘건강증진 행위, 건강증진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지식: 건강자원’이었고, ‘비효과적 방어 ’의 주요 간호결과는 ‘피로수준, 면역상태, 영양상태’이었다.
3. 암 간호단위 간호사에 의해 확인된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성
간호진단 ‘지식부족’의 주요 간호결과들과 연계된 간호중재 목록은 간호사들이 수행했다고 응답한 간호중재 빈도로 확인되었다. 간호결과 ‘식이요법’의 간호중재 목록은 ‘처방된 약물교육, 학습촉진’이었고; ‘질병과정’의 경우는 ‘약물교육, 활동 및 운동교육, 식이교육’이었으며; ‘치료요법’의 경우는 ‘투약관리, 절차/치료에 대한 교육, 처방된 약물교육’ 등; ‘질병간호’의 경우는 ‘약물교육, 개별교육, 수술 전 교육’ 등; ‘장루간호’의 경우는 ‘피부감시, 피부간호’; ‘처방된 활동’의 경우는 ‘학습 준비도 향상’; ‘건강행위’의 경우는 ‘개별교육, 적극적 경청, 건강교육’ 등; ‘감염관리’의 경우는 ‘위험확인, 처방된 약물교육, 감염조절’ 등이었다.
간호진단 ‘급성 통증’의 주요 간호결과와 연계된 간호중재 목록을 보면, 간호결과 ‘통증수준, 통증조절 및 안위수준’의 공통된 간호중재는 ‘진통제 투여, 통증 관리, 투약관리, 정맥투약, 근육투약, 구강투약’ 이었고 각 간호결과에 따라 ‘열 냉 적용, 자가 통증조절장치 보조, 환경관리, 정서지지, 유머, 지압’이 사용되었다.
간호진단 ‘건강추구행위’에 관한 주요 간호결과와 연계된 간호중재 목록을 보면, 간호결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간호중재는 ‘위험 확인, 자기책임 증진, 건강교육, 금연지지, 운동 증진, 체중관리, 정서적 지지’ 등이었고; ‘건강증진에 대한 지식’의 경우는 ‘활동/운동 교육, 약물교육, 건강교육’ 등이었고; ‘건강신념’의 경우는 ‘자기수정 보조, 자기인식 강화’등이었고; ‘지식: 건강자원’의 경우는 ‘건강교육, 퇴원교육, 학습 촉진, 개별 교육, 지지체계 강화, 학습 준비도 향상, 건강시스템 안내’였다.
간호진단 ‘비효과적 방어’에 관한 주요 간호결과와 연계된 간호중재목록을 보면, 간호결과 ‘피로수준’에 사용된 간호중재는 ‘통증관리, 에너지 관리, 영양관리’ 등이었고 ‘면역상태’의 경우에는 ‘관리: 투약/ 항암화학요법/ 체중/ 방사선치료/ 소양증, 약물 교육과 개별교육, 호흡기 모니터링 및 감염 조절’이었고; ‘영양상태’의 경우는 ‘섭식장애 관리, 수분/전해질 관리, 영양 요법/관리/상담’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항암화학요법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NANDA-NOC-NIC 연계성의 임상적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확인된 간호과정이론의 단계별 체계화된 목록으로서, 암 환자 간호단위에서의 간호과정 적용을 촉진하는 실증적 자료가 되어 간호표준으로 활용되며 나아가 간호정보기록시스템(ENR)의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주요 NANDA-NOC -NIC 연계성을 확인하여, 간호과정의 단계별 유기적 체계화를 통해 임상 적용을 촉진하고, 간호 실무를 향상하며 향후 본 병원의 전자간호정보시스템 구축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G광역시 C대학병원에 항암화학요법을 목적으로 입원한 암 환자 30명의 전자간호기록을 분석하여 이미 적용한 간호진단목록들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전자간호기록에서 도출된 간호진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 간호진단에 관한 관련 요인들과 간호결과 목록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서 내용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임상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을 거쳐 본 연구자가 작성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 대상 병원 종양관련 병동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최종 97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간호진단과 관련요인, 간호결과와 지표 그리고 간호중재에 관한 설문지는 Johnson 등 (2001)이 개발하고 최순희 등(2012)의 번역본을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분석을 하였고 내용타당도 검증은 Fehring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진단 도출과정
전자간호기록지에서 더 이상의 새로운 간호진단 목록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암 환자 30명의 기록이 분석되었다. 간호사가 의무적으로 수시 기록하는 ‘낙상 위험성’을 제외하고 전문가 집단 타당성 조사 및 Fehring기법으로 산출된 ‘주요’ 간호진단명으로 지식부족(.88), 급성통증(.88), 건강추구행위(.80), 비효과적 방어(.80)’가 선정되었고, ‘지지적’ 간호진단으로는 ‘비효율적 건강유지(.75), 무력감 (.75)’이 확인되었다.
2. 전문가 타당성 검증에 의해 확인된 주요 간호진단과 연계된 간호결과 목록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거쳐서 4개의 간호진단으로 ‘지식부족, 급성통증, 건강추구행위 및 비효과적 방어’가 선정되었다. 또한 각 간호진단에 대하여 검증된 주요 간호결과 목록은 다음과 같다: ‘지식부족’은 타당도 지수 .80 이상인 8개 간호결과 ‘식이요법, 질병과정, 치료요법, 질병간호, 장루간호, 처방된 활동, 건강행위, 감염관리’ 이었다. ‘급성통증’의 주요 간호결과는 ‘통증수준, 통증조절, 안위수준’이었고, ‘건강추구행위’의 주요 간호결과는 ‘건강증진 행위, 건강증진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지식: 건강자원’이었고, ‘비효과적 방어 ’의 주요 간호결과는 ‘피로수준, 면역상태, 영양상태’이었다.
3. 암 간호단위 간호사에 의해 확인된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성
간호진단 ‘지식부족’의 주요 간호결과들과 연계된 간호중재 목록은 간호사들이 수행했다고 응답한 간호중재 빈도로 확인되었다. 간호결과 ‘식이요법’의 간호중재 목록은 ‘처방된 약물교육, 학습촉진’이었고; ‘질병과정’의 경우는 ‘약물교육, 활동 및 운동교육, 식이교육’이었으며; ‘치료요법’의 경우는 ‘투약관리, 절차/치료에 대한 교육, 처방된 약물교육’ 등; ‘질병간호’의 경우는 ‘약물교육, 개별교육, 수술 전 교육’ 등; ‘장루간호’의 경우는 ‘피부감시, 피부간호’; ‘처방된 활동’의 경우는 ‘학습 준비도 향상’; ‘건강행위’의 경우는 ‘개별교육, 적극적 경청, 건강교육’ 등; ‘감염관리’의 경우는 ‘위험확인, 처방된 약물교육, 감염조절’ 등이었다.
간호진단 ‘급성 통증’의 주요 간호결과와 연계된 간호중재 목록을 보면, 간호결과 ‘통증수준, 통증조절 및 안위수준’의 공통된 간호중재는 ‘진통제 투여, 통증 관리, 투약관리, 정맥투약, 근육투약, 구강투약’ 이었고 각 간호결과에 따라 ‘열 냉 적용, 자가 통증조절장치 보조, 환경관리, 정서지지, 유머, 지압’이 사용되었다.
간호진단 ‘건강추구행위’에 관한 주요 간호결과와 연계된 간호중재 목록을 보면, 간호결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간호중재는 ‘위험 확인, 자기책임 증진, 건강교육, 금연지지, 운동 증진, 체중관리, 정서적 지지’ 등이었고; ‘건강증진에 대한 지식’의 경우는 ‘활동/운동 교육, 약물교육, 건강교육’ 등이었고; ‘건강신념’의 경우는 ‘자기수정 보조, 자기인식 강화’등이었고; ‘지식: 건강자원’의 경우는 ‘건강교육, 퇴원교육, 학습 촉진, 개별 교육, 지지체계 강화, 학습 준비도 향상, 건강시스템 안내’였다.
간호진단 ‘비효과적 방어’에 관한 주요 간호결과와 연계된 간호중재목록을 보면, 간호결과 ‘피로수준’에 사용된 간호중재는 ‘통증관리, 에너지 관리, 영양관리’ 등이었고 ‘면역상태’의 경우에는 ‘관리: 투약/ 항암화학요법/ 체중/ 방사선치료/ 소양증, 약물 교육과 개별교육, 호흡기 모니터링 및 감염 조절’이었고; ‘영양상태’의 경우는 ‘섭식장애 관리, 수분/전해질 관리, 영양 요법/관리/상담’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항암화학요법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NANDA-NOC-NIC 연계성의 임상적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확인된 간호과정이론의 단계별 체계화된 목록으로서, 암 환자 간호단위에서의 간호과정 적용을 촉진하는 실증적 자료가 되어 간호표준으로 활용되며 나아가 간호정보기록시스템(ENR)의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Keyword
#nursing process
#nursing diagnosis
#nursing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cancer chemotherapy
학위논문 정보
저자
송수미
학위수여기관
전남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간호학과
지도교수
소향숙
발행연도
2013
총페이지
viii, 77 p.
키워드
nursing process,
nursing diagnosis,
nursing outcome,
nursing intervention,
cancer chemotherap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