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대 중반 이후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2012년 말 현재 결혼이주여성은 148,498명에 이른다. 따라서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여성 지원 정책이 정부 차원의 ‘대책’으로서 추진ㆍ관리되는 가운데 정책의 대상이나 범위도 확대되어 왔다. 그 결과 결혼이민자·귀화자 중 71.4%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알고 있고, 46.2%가 한 가지 이상의 교육 및 지원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2009년에 비해 초기 적응이 진전되고 빈곤이 완화된 데에는 건전한 국제결혼 관행 정립, 다문화가족 초기 적응 지원,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부담 완화 등 다문화 지원 정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동안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답한 경제적 문제가 일정부분 개선되었으나 결혼이주여성가구를 포함한 다문화가구의 빈곤은 이전에 비하여 개선된 측면이 있으나 아직도 월평균가구소득 200만 원 미만인 가구 비율이 2012년 41.9%에 이르고 여성 결혼이민자의 고용률은 크게 증가했으나, 단순노무직 비율이 2009년 21.6%에서 2012년 29.9%로 악화되고 여성결혼이민자 일용직 비율이 18.9%로 오히려 증가하였다. 월평균임금 역시 결혼 이주여성들은 47.4%는 100~200만원 미만, 30.0%는 50~100만원 미만 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다양한 언어교육프로그램 실시에도 아직도 40% 이상이 언어사용에 불편을 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사용의 미흡은 취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결혼이주자의 41.4%가 사회적차별을 경험하였다고 답하였으며 지난 3년간 사회적 차별 경험자 비율은 감소하기보다 오히려 2009년 36.4%에서 2012년 41.3%로 4.9%p 증가 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녀들 역시 일반 학생에 비하여 상급학교 취학률도 낮고 학교 폭력에도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동안 정책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들의 ...
1990년 대 중반 이후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2012년 말 현재 결혼이주여성은 148,498명에 이른다. 따라서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여성 지원 정책이 정부 차원의 ‘대책’으로서 추진ㆍ관리되는 가운데 정책의 대상이나 범위도 확대되어 왔다. 그 결과 결혼이민자·귀화자 중 71.4%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알고 있고, 46.2%가 한 가지 이상의 교육 및 지원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2009년에 비해 초기 적응이 진전되고 빈곤이 완화된 데에는 건전한 국제결혼 관행 정립, 다문화가족 초기 적응 지원,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부담 완화 등 다문화 지원 정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동안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답한 경제적 문제가 일정부분 개선되었으나 결혼이주여성가구를 포함한 다문화가구의 빈곤은 이전에 비하여 개선된 측면이 있으나 아직도 월평균가구소득 200만 원 미만인 가구 비율이 2012년 41.9%에 이르고 여성 결혼이민자의 고용률은 크게 증가했으나, 단순노무직 비율이 2009년 21.6%에서 2012년 29.9%로 악화되고 여성결혼이민자 일용직 비율이 18.9%로 오히려 증가하였다. 월평균임금 역시 결혼 이주여성들은 47.4%는 100~200만원 미만, 30.0%는 50~100만원 미만 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다양한 언어교육프로그램 실시에도 아직도 40% 이상이 언어사용에 불편을 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사용의 미흡은 취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결혼이주자의 41.4%가 사회적차별을 경험하였다고 답하였으며 지난 3년간 사회적 차별 경험자 비율은 감소하기보다 오히려 2009년 36.4%에서 2012년 41.3%로 4.9%p 증가 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녀들 역시 일반 학생에 비하여 상급학교 취학률도 낮고 학교 폭력에도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동안 정책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들의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하여 경제적 빈곤, 폭력과 인권침해 등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복지, 인권적 측면과, 법적 제도적 측면 등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언어교육을 강화하고 대상자 확대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빈곤 완화를 위한 일자리 제공 및 사회보장제도의 확대이다. 셋째 수요자욕구에 기반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출산과 양육 지원 정책 확대 및 내실화이다. 다섯째 민주주의와 평등주의의 원칙 하에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법칙 및 사회적 지위를 강화시켜야 한다. 여섯째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에 대한 차별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지역별 특성에 맞는 현실적인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선심성행사를 폐지하여 일반인들이 이주여성을 보는 시각을 왜곡시키지 말아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나 교육대상자들이 지원정책에 불응하는 결과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1990년 대 중반 이후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2012년 말 현재 결혼이주여성은 148,498명에 이른다. 따라서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결혼 이주여성 지원 정책이 정부 차원의 ‘대책’으로서 추진ㆍ관리되는 가운데 정책의 대상이나 범위도 확대되어 왔다. 그 결과 결혼이민자·귀화자 중 71.4%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알고 있고, 46.2%가 한 가지 이상의 교육 및 지원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2009년에 비해 초기 적응이 진전되고 빈곤이 완화된 데에는 건전한 국제결혼 관행 정립, 다문화가족 초기 적응 지원,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부담 완화 등 다문화 지원 정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동안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답한 경제적 문제가 일정부분 개선되었으나 결혼이주여성가구를 포함한 다문화가구의 빈곤은 이전에 비하여 개선된 측면이 있으나 아직도 월평균가구소득 200만 원 미만인 가구 비율이 2012년 41.9%에 이르고 여성 결혼이민자의 고용률은 크게 증가했으나, 단순노무직 비율이 2009년 21.6%에서 2012년 29.9%로 악화되고 여성결혼이민자 일용직 비율이 18.9%로 오히려 증가하였다. 월평균임금 역시 결혼 이주여성들은 47.4%는 100~200만원 미만, 30.0%는 50~100만원 미만 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다양한 언어교육프로그램 실시에도 아직도 40% 이상이 언어사용에 불편을 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사용의 미흡은 취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결혼이주자의 41.4%가 사회적차별을 경험하였다고 답하였으며 지난 3년간 사회적 차별 경험자 비율은 감소하기보다 오히려 2009년 36.4%에서 2012년 41.3%로 4.9%p 증가 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녀들 역시 일반 학생에 비하여 상급학교 취학률도 낮고 학교 폭력에도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동안 정책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들의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하여 경제적 빈곤, 폭력과 인권침해 등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복지, 인권적 측면과, 법적 제도적 측면 등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언어교육을 강화하고 대상자 확대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빈곤 완화를 위한 일자리 제공 및 사회보장제도의 확대이다. 셋째 수요자욕구에 기반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출산과 양육 지원 정책 확대 및 내실화이다. 다섯째 민주주의와 평등주의의 원칙 하에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법칙 및 사회적 지위를 강화시켜야 한다. 여섯째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에 대한 차별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지역별 특성에 맞는 현실적인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선심성행사를 폐지하여 일반인들이 이주여성을 보는 시각을 왜곡시키지 말아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나 교육대상자들이 지원정책에 불응하는 결과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mid-1990s, marriage immigrant women increased rapidly so at the end of 2012 they are amounting to 148,498. Therefore, the support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 womens target and range has expanded having propelled and managed as the government measures. As a result, 71.4 percent of immigra...
Since the mid-1990s, marriage immigrant women increased rapidly so at the end of 2012 they are amounting to 148,498. Therefore, the support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 womens target and range has expanded having propelled and managed as the government measures. As a result, 71.4 percent of immigrants, naturalized citizens are awar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46.2% of them have experienced one or more training and support services. Compared to 2009, the initial adaptation is progressed and poverty is alleviated, because establishing a healthy international marriage practices, initial adapt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y and easing the child-rearing burden of immigrant women give positive effects. But, economic problem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of marriage migrant women has improved partly, still households ratio of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less than ₩ 2,000,000 reached 41.9% in 2012. Also immigrant women's employmen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simple labor job rate worsened from 21.6% in 2009 to 29.9% in 2012, and immigrant women dayworkers increased to 18.9%. Average monthly wage of 47.4% immigrant women are also between 1,000,000 and 2,000,000 won and 30.0% immigrant women are between 500,000 and 1,000,000won. Also despite carrying out various language training programs, still more than 40% of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difficulties in using language. The lack of language usage is a disturbing factor that makes employment difficult. 41.4% of marriage immigrants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social discrimin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e experienced social discrimination increased 4.9% rather than decreased from 36.4% in 2009 to 41.3% in 2012. But still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struggling to adjust to life in Korea. Children of immigrant women have a lower rate of higher education enrollment than general students and they are also more exposed to school violence. So,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ppeared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to support for social integration and to escape from the economic deprivation, violence and human right violation, effor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welfare, humans rights, legal, institutional are required. Let's look at it in detail. First, We need to strengthen language education and devise a method for expanding clients. Second, in order to alleviate poverty, providing jobs and expansion of the social security are needed. Thir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lients needs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support policies for childbirth and nurturing should be expanded and ensure internal stability. Fifth, under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egalitarianism, immigrant women's legal and social status should be strengthened. Sixth, comprehensive measures for marriage immigrants and naturalized people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prevent discrimination. Seventh, a realistic policies to meet regional characteristic should be provided. Finally, doing immigrant women a kindness should be abolished so as to prevent people's sight from being distorted. And teachers or students should accept the support policies.
Since the mid-1990s, marriage immigrant women increased rapidly so at the end of 2012 they are amounting to 148,498. Therefore, the support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 womens target and range has expanded having propelled and managed as the government measures. As a result, 71.4 percent of immigrants, naturalized citizens are awar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46.2% of them have experienced one or more training and support services. Compared to 2009, the initial adaptation is progressed and poverty is alleviated, because establishing a healthy international marriage practices, initial adapt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y and easing the child-rearing burden of immigrant women give positive effects. But, economic problem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of marriage migrant women has improved partly, still households ratio of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less than ₩ 2,000,000 reached 41.9% in 2012. Also immigrant women's employmen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simple labor job rate worsened from 21.6% in 2009 to 29.9% in 2012, and immigrant women dayworkers increased to 18.9%. Average monthly wage of 47.4% immigrant women are also between 1,000,000 and 2,000,000 won and 30.0% immigrant women are between 500,000 and 1,000,000won. Also despite carrying out various language training programs, still more than 40% of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difficulties in using language. The lack of language usage is a disturbing factor that makes employment difficult. 41.4% of marriage immigrants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social discrimin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e experienced social discrimination increased 4.9% rather than decreased from 36.4% in 2009 to 41.3% in 2012. But still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struggling to adjust to life in Korea. Children of immigrant women have a lower rate of higher education enrollment than general students and they are also more exposed to school violence. So,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ppeared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to support for social integration and to escape from the economic deprivation, violence and human right violation, effor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welfare, humans rights, legal, institutional are required. Let's look at it in detail. First, We need to strengthen language education and devise a method for expanding clients. Second, in order to alleviate poverty, providing jobs and expansion of the social security are needed. Thir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lients needs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support policies for childbirth and nurturing should be expanded and ensure internal stability. Fifth, under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egalitarianism, immigrant women's legal and social status should be strengthened. Sixth, comprehensive measures for marriage immigrants and naturalized people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prevent discrimination. Seventh, a realistic policies to meet regional characteristic should be provided. Finally, doing immigrant women a kindness should be abolished so as to prevent people's sight from being distorted. And teachers or students should accept the support polic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