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여성 결혼이주자정책 : 상호문화주의적 조망과 함의
The Migrant Women Policy in Korea : Prospect and Implication in the point of Interculturalis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9, 2014년, pp.21 - 33  

김경숙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에서는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의 특징과 한계를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한국에서 압축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다인종사회화의 현황과 정책적 대응을 개괄하고,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종 지향적이고 젠더 편향적인 이슈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여성 결혼이주자들은 '초국적 사회적 장'(transnational social field)에서의 독특한 정체성 재형성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이 지향할 수 있는 현실적 지향점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의 개념과 특징, 유럽의 정책 및 사업 사례를 예시하고, '상호문화적 시민권'에 대한 인식 제고와 교육 프로그램 강화, '선택적 동화'를 통한 '다원적 통합' 지향, 여성 결혼이주자의 상호문화적응프로그램 강화, 한국의 특성을 고려한 상호문화성 측정 지표 개발과 평가 결과의 이주자정책에의 피드백 등 상호문화성 강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 and its limit of Korean migrant women policy to prospect and suggest in the point of interculturalism. The focus of this paper is in summing-up to current situation of multiethnic society which rapidly progressing in Korea and in reviewing the race-orien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여성 결혼이주자들은 ‘초국적 사회적 장’에서의 독특한 정체성 재형성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정책의 현실적 지향점으로 상호문화주의의 적실성을 검토하였다.
  • 이에 이 글에서는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의 특징과 한계를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한국에서 압축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다인종사회화의 현황과 정책적 대응을 개괄하고,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종 지향적이고 젠더 편향적인 이슈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여성 결혼이주자들은 새로운 나라로의 일방적이고 확실한 이동이 아니라 송출국과 유입국 사이에서 수년간 또는 수십 년간 지속될 수 있는 일련의 ‘초국적 사회적 장’(transnational social field)에서의 독특한 정체성 재형성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의 현실적 지향점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의 개념과 특징, 유럽의 정책 및 사업 사례를 예시하고, 상호문화성 강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 이에 이 글에서는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의 특징과 한계를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한국에서 압축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다인종사회화의 현황과 정책적 대응을 개괄하고,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종 지향적이고 젠더 편향적인 이슈들을 검토한다.
  • 이에 이 글에서는 한국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의 특징과 한계를 상호문화주의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인종사회화의 현황과 정책적 대응을 개괄하고, 다문화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나 법과 정책의 내용에서 동화주의 혹은 차별배제형 모형의 특징이 나타나는 여성 결혼이주자정책에서의 인종 지향적, 젠더 편향적 이슈들을 분석하였다.
  • 주요 정책들은 (1) 국제결혼중개업체 규제 및 한국 입국이전에 결혼이주자 보호 (2) 국내에서의 폭력 희생자 지원 (3) 신착 여성 결혼이주자 지원 (4) 국제결혼 자녀의 학교생활 지원 (5) 여성 결혼이주자에 대한 사회복지 지원 (6) 다문화 이슈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7) 광범위한 장기 계획수립이었다9)[9]. 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광범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결혼 및 정착과정의 다양한 난관을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이 대책은 여성 결혼이주자정책 수립의 지침이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지원 대책의 주요 정책은 무엇입니까? 이의 목표는 “여성 결혼이주자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사회 실현”이었다. 주요 정책들은 (1) 국제결혼중개업체 규제 및 한국 입국이전에 결혼이주자 보호 (2) 국내에서의 폭력 희생자 지원 (3) 신착 여성 결혼이주자 지원 (4) 국제결혼 자녀의 학교생활 지원 (5) 여성 결혼이주자에 대한 사회복지 지원 (6) 다문화 이슈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7) 광범위한 장기 계획수립이었다9)[9]. 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광범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결혼 및 정착과정의 다양한 난관을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이 대책은 여성 결혼이주자정책 수립의 지침이 되었다.
이주민 정책에서 사회통합이란?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여성 결혼이주자와 외국인근로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증가로 다문화주의 담론이 활발해지면서 어느 때보다도 이들의 사회통합 문제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주민정책에서 지칭되는 사회통합 (social integration)의 개념은 “이주민의 경제적 편입과 정치적 참여, 사회문화적 적응을 통해 내국인과 함께 성장하는 과정이자, 전체 사회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상호 작용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1)[1]. 카르허(Albert Karcher)는 사회통합을 “이주민이 내국인과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인정받게 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으며2)[2], 크트텐(Hermann Kurthen)과 하이슬러(Barbara S.
다문화 가족지원법에서 규정한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은 무엇이 있습니까? 또‘다문화가족지원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위한 실태조사를 3년마다 수행하도록 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법에서 규정한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은 (1) 다문화가족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등을 통한 이해증진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결혼이민자에게 한국생활에 필요한 기본적 소양과 지식에 관한 교육, 생활정보 제공 (3) 평등한 가족관계 유지를 위하여 상담, 가족생활교육, 부모교육, 가정폭력 방지 노력 수행 (4) 아동의 보육 및 교육 (5) 결혼과 자녀 양육, 직장생활에 대한 생활 및 법률 상담 제공 (6)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정으로 지원 및 서비스 전달조직 운영 등으로 이루어졌다11)[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ae Won Kim, Critical Review of Multicultural Phenomenon in the point of Social Integration, Minjok Munwha Nonchong, Vol. 44, 2010. 

  2. Albert Karcher, Integration Turks in Germany : The Separation of Turks from German Society, Discrimination against Turks in the German Labor Market and Policy Recommendation to Integrate Turks into German Society, Public Policy Studies, April 2010. 

  3. Hermann Kurthen and Barbara Schmitter Heisler, Immigrant Integration : Comparative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Ethnic and Racial Studies 32-1, 2009. 

  4. Cho YongMarn, Park SungBum, A Study of Developing Social Integration Countermeasures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Centered 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German Statistical Data,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 53, No.3, 2013. 

  5. Friedrich Heckmann et al., Quantitative Integration Research in Europe - Data Needs and Data Availability, PROMINSTAT Working Paper 3, 2010. 

  6. Geun Koh, Multiculturalism in Korea? : Gendered Multiculturalism and Marriage Migrant Women,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2010. 

  7. Hyun Mee Kim, Integration for Whom? : Marriage Migrant Women Policies in Korea and Patriarchal Imagination, 2008. 

  8. Ministry of Justice,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3. 12. 

  9. Hye-Kyung Lee,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State in South Korea : focusing on Governmental Policy, Citizenship Studies, 12(1), 2008. 

  10. Kwon, Young-Ho, Ji, Seong-Woo, Kang, Hyun-Cheol, Evaluation of Legislation abou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09. 

  11.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Prime Minister's Secretaria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Families. 

  12. Ministry of Justice, Social Integration Programme of Immigrants. 

  13. Walker Connor, Ethnonationalism, Princeton, N. 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14. Ki-Wook Shin, Ethnic Nationalism in Korea, Stanford, California :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15. Yong Seung Lee, Critical Review of Korean Multicultural Policy, Minjok Yeonku, Korea Research Center of Ethnology, Vol. 44, 2010. 

  16. Hwa-Sung Cho, Social Integration between De-and Re-ethnization : A Case Study of Korea, Minjok Yeonku, Korea Research Center of Ethnology, Vol. 40, 2009. 

  17. Lydia Morris, Managing Contradiction: Civic Stratification and Migrants' Right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Vol. 37, No. 1, 2003. 

  18. LeeAn Jiyoung, Resistance to 'integration' by Marriage Migrants, Asian Regional Exchange for New Alternatives, 2008. 

  19. Seol, Dong-Hoon, Multicultural Discourse and Human Right in Korean Society, The 7th Human Right Education Forum, National Human Right Commission of Korea, 2009. 

  20. Hwa-Sung Cho, A Review of Social Integration Model of the Marital Immigration in Korea : Application of Two-way Integration Model, Minjok Yeonku, Korean Research Center of Ethnology, Vol. 44, 2010. 

  21. Elizabeth Beck-Gernsheim, Family Life Today : New Migrants Choose Partners from Their Country of Family Origins, Gender and Society 7, 2, 2008. 

  22. P. Levitt & N. Jaworsky, Transnational Migration Studies : Past Developments and Future Trend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3, 2007. 

  23. Young Hee Shim, Transnational Field and Transnational Identity among Women Marriage Migrants in Korea,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 19(1), 2011, So Hee Son(ed.), Multicultural Society, Im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Bo-Go-Sa, 2012. 

  24. Jung Eun Oh, Interculturalism in Europe, Multiculture & Peace,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Sungkyul University, Vol. 6(1), 2012. 

  25. Young-Sik Huh, Interculturalism as an Approach for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Studies, Vol.2(2),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3. 12. 

  26. Tekessidis, M. Interkultur, Berlin: Suhrkamp, 2010. 

  27. Young-Sik Huh, Chang-Hwa Jung, Interculturalism and the Identity of Korea, Won-Mi-Sa, 2012. 

  28. Hwa-Sung Cho,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and the New Membership Model, Kongju National University Seminar Paper, 2012. 

  29. Jung Eun Oh, Intercultural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born Residents in Netherlands, European Studies, Vol. 29(3), The Korean Society of Contemporary European Studies, 2011. 

  3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A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2010. 

  31. Yong Seung Lee, Multiculturalism in Korea, Kongju National University Seminar Paper,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