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부터 한국 학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은 현재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 대상의 학습 지원과 일반 학생들 대상의 다문화이해교육 등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은 학교 다문화 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역할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향후 더 강화될 것이 예측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이 다문화 교육과 이중언어교육...
2009년부터 한국 학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은 현재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 대상의 학습 지원과 일반 학생들 대상의 다문화이해교육 등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은 학교 다문화 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역할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향후 더 강화될 것이 예측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이 다문화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핵심 인력으로서 그 역량을 최대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학문적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중언어강사의 역할과 양성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내용을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미국과 영국 등 외국의 사례를 연구하여 한국 상황에서의 바람직한 역할 정립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둘째,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그들에 대한 정책과 역할 지침 마련에 그들의 경험과 전문가로서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셋째, 서울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실시된 이중언어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고찰하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과 역량 계발에 도움이 되는 발전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진행한 외국 이중언어강사 역할과 한국 이중언어강사 역할 수행 실태를 비교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과 영국에서의 이중언어강사들은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을 위한 상담과 학습 지원을 주요 역할로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기본적인 학생 지원, 일반 교사들의 교수활동 지원과 함께 다문화 학부모를 위한 학교 문화 안내, 지역사회와의 연결 등의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내에서의 역할 수행은 한국과 비슷하지만 학교 밖 지원활동 등 그 내용이 훨씬 광범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중언어강사 대상의 설문 조사 결과, 그들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중언어강사로서의 역할 수행과 교수 활동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반해 채용, 복지 및 근무 여건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았는데 이는 일반 교사, 학교 관리자에게서도 공통으로 확인된 요구 내용이었다. 일반 교사와 학교 관리자들은 이중언어강사들의 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우려 표명이 많았는데, 이는 앞으로 이중언어강사의 선발과 양성, 채용 과정에서 철저한 관리와 평가가 병행되어 해결해가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양성프로그램을 고찰한 결과, 4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을 지닌 국제결혼이주자를 대상으로 6개월 간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교육과정은 교양, 교직, 전공과목과 실습 및 문화체험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운영되었다. 2009년 이후 이중언어교육, 기초학습지도, 상담 지도 등 다문화 교육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에 맞추어 해마다 교육과정의 내용이 개선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를 보면 이중언어강사의 활동 범위가 폭넓고 학교 교육에 대한 기여가 크지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국가가 겪고 있는 이중언어강사의 과도한 업무 부여와 일반 교사들과의 의사소통 부족, 고용의 불안정, 학교 조직에서의 불평등한 지위로 인한 갈등 등을 감안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 방안이 다각도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이중언어강사에 대한 명확한 역할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설문 조사를 통해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이 너무 광범위하며 그들의 전문성과 동떨어진 역할까지 수행하는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중언어강사의 명확한 역할 지침이 정부 주도로 마련되어 교육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그들의 전문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이중언어강사 양성 프로그램의 발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이중언어강사의 활동과 제도의 성공 여부는 양성 기관에서의 교육과정을 통한 다문화 교육 담당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자질 육성에 달려 있다. 그들의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기초 단계인 양성 프로그램과 제도의 개선에 대한 정책적․학문적 논의가 장기적인 계획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의 내용이 이중언어강사 제도 정착과 나아가 한국 다문화 교육의 발전적 논의에 작은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 이중언어강사, 다문화 교육, 이중언어교육, 양성프로그램 *본 논문은 2013년 7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2009년부터 한국 학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은 현재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 대상의 학습 지원과 일반 학생들 대상의 다문화이해교육 등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은 학교 다문화 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역할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향후 더 강화될 것이 예측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이 다문화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핵심 인력으로서 그 역량을 최대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학문적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중언어강사의 역할과 양성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내용을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미국과 영국 등 외국의 사례를 연구하여 한국 상황에서의 바람직한 역할 정립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둘째,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그들에 대한 정책과 역할 지침 마련에 그들의 경험과 전문가로서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셋째, 서울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실시된 이중언어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고찰하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과 역량 계발에 도움이 되는 발전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진행한 외국 이중언어강사 역할과 한국 이중언어강사 역할 수행 실태를 비교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과 영국에서의 이중언어강사들은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을 위한 상담과 학습 지원을 주요 역할로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기본적인 학생 지원, 일반 교사들의 교수활동 지원과 함께 다문화 학부모를 위한 학교 문화 안내, 지역사회와의 연결 등의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내에서의 역할 수행은 한국과 비슷하지만 학교 밖 지원활동 등 그 내용이 훨씬 광범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중언어강사 대상의 설문 조사 결과, 그들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중언어강사로서의 역할 수행과 교수 활동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반해 채용, 복지 및 근무 여건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았는데 이는 일반 교사, 학교 관리자에게서도 공통으로 확인된 요구 내용이었다. 일반 교사와 학교 관리자들은 이중언어강사들의 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우려 표명이 많았는데, 이는 앞으로 이중언어강사의 선발과 양성, 채용 과정에서 철저한 관리와 평가가 병행되어 해결해가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양성프로그램을 고찰한 결과, 4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을 지닌 국제결혼이주자를 대상으로 6개월 간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교육과정은 교양, 교직, 전공과목과 실습 및 문화체험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운영되었다. 2009년 이후 이중언어교육, 기초학습지도, 상담 지도 등 다문화 교육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에 맞추어 해마다 교육과정의 내용이 개선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를 보면 이중언어강사의 활동 범위가 폭넓고 학교 교육에 대한 기여가 크지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국가가 겪고 있는 이중언어강사의 과도한 업무 부여와 일반 교사들과의 의사소통 부족, 고용의 불안정, 학교 조직에서의 불평등한 지위로 인한 갈등 등을 감안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 방안이 다각도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이중언어강사에 대한 명확한 역할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설문 조사를 통해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이 너무 광범위하며 그들의 전문성과 동떨어진 역할까지 수행하는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중언어강사의 명확한 역할 지침이 정부 주도로 마련되어 교육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그들의 전문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이중언어강사 양성 프로그램의 발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이중언어강사의 활동과 제도의 성공 여부는 양성 기관에서의 교육과정을 통한 다문화 교육 담당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자질 육성에 달려 있다. 그들의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기초 단계인 양성 프로그램과 제도의 개선에 대한 정책적․학문적 논의가 장기적인 계획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의 내용이 이중언어강사 제도 정착과 나아가 한국 다문화 교육의 발전적 논의에 작은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 이중언어강사, 다문화 교육, 이중언어교육, 양성프로그램 *본 논문은 2013년 7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have carried out a variety of roles in kindergarten,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s since 2009, includ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learning and regular students’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play a central rol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have carried out a variety of roles in kindergarten,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s since 2009, includ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learning and regular students’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play a central rol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ir role and needs may be further strengthe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is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political and academic support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to fully develop their capabilities as core professionals of bilingual education in public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regards to the role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nd their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proceeded with three research criteria,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from case studies of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role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n the context of Korea. Second, this study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grasp how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carry out their role and how much they are satisfied. The responses provided documentation showing that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as professionals could be reflected in future policies and programs. Third, this study examined training program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mplemented mainly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an effort to make expansive suggestions to help them carry out their roles and develop their capabilities. The results drawn from comparative reviews on roles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of the U.S. and the U.K. and those of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show that the major role of the U.S. and the U.K.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s counseling service for multicultura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and support for their schoolwork. In addition, other extensive roles they carry out include basic student support, instruction assistance for general teachers, school culture guidance for multicultural parents, and ties with local community. Their performances inside school are similar to those of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bur their supporting efforts outside were found very extensive. The results of the survey administered to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show that they carry out various roles and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performances in their roles 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By contrast, they showed strong demands for improvement of employment, benefits, and work environment, which was commonly agreed by general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On the other hand, general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expressed their concern about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qualifications. Thorough management and assessment during the process of selection, training, and hiring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can ease their concern. The examination of training programs reveals that training programs were undertaken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with 4-year college education or higher for 6 months, and their curriculum consisted of liberal arts courses, teacher education courses, major courses, practicum, and cultural experiences. Their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ever since 2009, reflecting demand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s multicultural education professionals such as bilingual education, basic study guidance, and counseling. A brief summary of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case studies in other countries show, thei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have a wide scope of activity and contribute greatly to their school’s education. Their activities, performance in their role, and academic and political discussions can shed light on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which is still at its early stage,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their roles. Considering heavy workload, lack of communication with general teachers, negative educational effect due to unstable employment, limited information sharing, and conflicts due to unequal status within the school organization that those countries have faced with regard to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desirable measures to prevent these issues should be sought in every way. Second, precise guideline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should be provided.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ir roles are so extensive that they have to perform duties out of their area of expertise. By providing precise guidelines for their roles, confusion can be reduced and conditions in which they can fully demonstrate their expertise can be created. Third, extensive changes in training program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re needed. The success of their activities and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m depends on training and proper qualifications required for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ppropriate curriculum of training institutions. Pol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about training programs and improvement of relevant systems should also be implemented in order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to better carry out their roles and expand their professionalism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can hopefully be a foundation to create a positive system for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nd further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KEY WORD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 Multicultura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 A Thesis Submitted in July 2013 to the Graduate Committee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have carried out a variety of roles in kindergarten,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s since 2009, includ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learning and regular students’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play a central rol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ir role and needs may be further strengthe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is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political and academic support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to fully develop their capabilities as core professionals of bilingual education in public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regards to the role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nd their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proceeded with three research criteria,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from case studies of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role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n the context of Korea. Second, this study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grasp how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carry out their role and how much they are satisfied. The responses provided documentation showing that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as professionals could be reflected in future policies and programs. Third, this study examined training program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mplemented mainly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an effort to make expansive suggestions to help them carry out their roles and develop their capabilities. The results drawn from comparative reviews on roles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of the U.S. and the U.K. and those of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show that the major role of the U.S. and the U.K.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s counseling service for multicultura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and support for their schoolwork. In addition, other extensive roles they carry out include basic student support, instruction assistance for general teachers, school culture guidance for multicultural parents, and ties with local community. Their performances inside school are similar to those of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bur their supporting efforts outside were found very extensive. The results of the survey administered to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show that they carry out various roles and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performances in their roles 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By contrast, they showed strong demands for improvement of employment, benefits, and work environment, which was commonly agreed by general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On the other hand, general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expressed their concern about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qualifications. Thorough management and assessment during the process of selection, training, and hiring of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can ease their concern. The examination of training programs reveals that training programs were undertaken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with 4-year college education or higher for 6 months, and their curriculum consisted of liberal arts courses, teacher education courses, major courses, practicum, and cultural experiences. Their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ever since 2009, reflecting demand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s multicultural education professionals such as bilingual education, basic study guidance, and counseling. A brief summary of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case studies in other countries show, thei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have a wide scope of activity and contribute greatly to their school’s education. Their activities, performance in their role, and academic and political discussions can shed light on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which is still at its early stage,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their roles. Considering heavy workload, lack of communication with general teachers, negative educational effect due to unstable employment, limited information sharing, and conflicts due to unequal status within the school organization that those countries have faced with regard to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desirable measures to prevent these issues should be sought in every way. Second, precise guideline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should be provided.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ir roles are so extensive that they have to perform duties out of their area of expertise. By providing precise guidelines for their roles, confusion can be reduced and conditions in which they can fully demonstrate their expertise can be created. Third, extensive changes in training programs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re needed. The success of their activities and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m depends on training and proper qualifications required for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ppropriate curriculum of training institutions. Pol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about training programs and improvement of relevant systems should also be implemented in order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to better carry out their roles and expand their professionalism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can hopefully be a foundation to create a positive system for Korea’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nd further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KEY WORDS: Bilingual teaching assistant, Multicultura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 A Thesis Submitted in July 2013 to the Graduate Committee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