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에서의 상담은 상담전문가 뿐만 아니라 군 간부들이 담당하는 비중이 크다. 군 간부들이 상담을 진행할 때 자신의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을 경우 내담자에 대한 상담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간부들이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회복탄력성’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및 기관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3단계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1단계는 예비조사로서 군 간부들이 느끼는 상담의 제한사항과 상담에 대한 인식, 상담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2단계는 군 상담의 개념과 군 간부상담자의 역할, 회복탄력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3단계는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측정하고, 개인 및 기관적 요인에 따라 간부들의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육군 소위부터 대위까지의 장교와 하사에서 상사까지의 부사관으로 구성하였다. 그 이유는 이들이 병영내에서 병사들과 직접 대면하여 상담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때 그들이 가진 회복탄력성의 정도가 상담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또한 군 상담의 제한사항을 극복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일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조사의 결과 군 간부가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타인이해 및 공감능력, 경청자세, 인내심, 감정조절 등이 도출되었다. 본조사에서는 예비조사에서 도출된 개인역량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회복탄력성’으로 명명하고 각각의 하위요인별 근거들을 확인하였다. 본조사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은 어떠한가? 둘째, 군 간부상담자의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에 대한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하위요인별로는 정서조절력, 공감능력, ...
군에서의 상담은 상담전문가 뿐만 아니라 군 간부들이 담당하는 비중이 크다. 군 간부들이 상담을 진행할 때 자신의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을 경우 내담자에 대한 상담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간부들이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회복탄력성’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및 기관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3단계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1단계는 예비조사로서 군 간부들이 느끼는 상담의 제한사항과 상담에 대한 인식, 상담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2단계는 군 상담의 개념과 군 간부상담자의 역할, 회복탄력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3단계는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측정하고, 개인 및 기관적 요인에 따라 간부들의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육군 소위부터 대위까지의 장교와 하사에서 상사까지의 부사관으로 구성하였다. 그 이유는 이들이 병영내에서 병사들과 직접 대면하여 상담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때 그들이 가진 회복탄력성의 정도가 상담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또한 군 상담의 제한사항을 극복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일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조사의 결과 군 간부가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타인이해 및 공감능력, 경청자세, 인내심, 감정조절 등이 도출되었다. 본조사에서는 예비조사에서 도출된 개인역량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회복탄력성’으로 명명하고 각각의 하위요인별 근거들을 확인하였다. 본조사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은 어떠한가? 둘째, 군 간부상담자의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에 대한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하위요인별로는 정서조절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낙관성,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 원인분석력의 순으로 회복탄력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군 간부의 회복탄력성과 선행연구(Reivich, K & Shatte, 2003)의 일반인 회복탄력성을 비교했을 때, 충동통제력은 높은 수준, 자기효능감은 낮은 수준, 기타 하위요인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군 간부상담자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연령, 성별, 결혼여부, 계급, 복무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운동횟수가 많은 간부, 종교를 가진 간부, 취미활동을 하는 간부, 미래계획이 있는 간부, 친구 수가 많은 간부일수록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군 간부상담자의 기관적 변인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부대위치나 부대유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개인이 지각한 부대의 근무여건이 편할수록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시스템 구축과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군에서의 상담은 상담전문가 뿐만 아니라 군 간부들이 담당하는 비중이 크다. 군 간부들이 상담을 진행할 때 자신의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을 경우 내담자에 대한 상담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간부들이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회복탄력성’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및 기관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3단계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1단계는 예비조사로서 군 간부들이 느끼는 상담의 제한사항과 상담에 대한 인식, 상담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2단계는 군 상담의 개념과 군 간부상담자의 역할, 회복탄력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3단계는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측정하고, 개인 및 기관적 요인에 따라 간부들의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육군 소위부터 대위까지의 장교와 하사에서 상사까지의 부사관으로 구성하였다. 그 이유는 이들이 병영내에서 병사들과 직접 대면하여 상담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때 그들이 가진 회복탄력성의 정도가 상담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또한 군 상담의 제한사항을 극복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일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조사의 결과 군 간부가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타인이해 및 공감능력, 경청자세, 인내심, 감정조절 등이 도출되었다. 본조사에서는 예비조사에서 도출된 개인역량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회복탄력성’으로 명명하고 각각의 하위요인별 근거들을 확인하였다. 본조사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은 어떠한가? 둘째, 군 간부상담자의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에 대한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하위요인별로는 정서조절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낙관성,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 원인분석력의 순으로 회복탄력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군 간부의 회복탄력성과 선행연구(Reivich, K & Shatte, 2003)의 일반인 회복탄력성을 비교했을 때, 충동통제력은 높은 수준, 자기효능감은 낮은 수준, 기타 하위요인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군 간부상담자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연령, 성별, 결혼여부, 계급, 복무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운동횟수가 많은 간부, 종교를 가진 간부, 취미활동을 하는 간부, 미래계획이 있는 간부, 친구 수가 많은 간부일수록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군 간부상담자의 기관적 변인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부대위치나 부대유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개인이 지각한 부대의 근무여건이 편할수록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군 간부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시스템 구축과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general level of resilience for leader counselors, especially the capability of counseling, and the difference of the resili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background. This research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conducted b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general level of resilience for leader counselors, especially the capability of counseling, and the difference of the resili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background. This research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conduct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drew the difficulties that army executive members are experiencing and the abilities required for counselling. The second stage covered the conception of military counseling, the role of military leader counselor,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ilience. During the last stage, the level of resilience of army executive members was measured, and the research examined how pers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e on resilience of the executive members in the arm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officers of second lieutenant, first lieutenant, captain, staff sergeant, sergeant first class, master sergeant in the army because they are those who have in person consultations with soldiers in barracks. Therefore, the research presumed that the degree of resilience maximize the achievement of counseling and can be essential element to overcome restrictions on counseling in the army. As the researcher presumed, the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bove all, the results of first research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attitude to listen to client's words attentively, ability to empathize, patience, and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are prerequisite conditions for counseling provided to help subordinates in the army. After the second research, in order to name more inclusive elements of individuals including the elements which were drawn through the first research. The third research drew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ordinary people, the level of resilience of army executive members was relatively high, and following that the list of sub-factors were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 sense of empathy, optimism, ability to control the impulse, the will to challenge, and analytical skills for the causes. Second. in terms of resilience depending on personal variations, the army executive members who more frequently work out and have religions, hobbies, future plans, or more friends tended to display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when it comes to the resilience affected by the institutional variations, the executive members showed higher level of resilience when they feel that their working condition is comfortable. Based on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through research tools, the researcher proposes that the results should be applied to the procedure of selecting army executive members and refresher training.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general level of resilience for leader counselors, especially the capability of counseling, and the difference of the resili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background. This research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conduct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drew the difficulties that army executive members are experiencing and the abilities required for counselling. The second stage covered the conception of military counseling, the role of military leader counselor,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ilience. During the last stage, the level of resilience of army executive members was measured, and the research examined how pers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e on resilience of the executive members in the arm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officers of second lieutenant, first lieutenant, captain, staff sergeant, sergeant first class, master sergeant in the army because they are those who have in person consultations with soldiers in barracks. Therefore, the research presumed that the degree of resilience maximize the achievement of counseling and can be essential element to overcome restrictions on counseling in the army. As the researcher presumed, the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bove all, the results of first research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attitude to listen to client's words attentively, ability to empathize, patience, and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are prerequisite conditions for counseling provided to help subordinates in the army. After the second research, in order to name more inclusive elements of individuals including the elements which were drawn through the first research. The third research drew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ordinary people, the level of resilience of army executive members was relatively high, and following that the list of sub-factors were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 sense of empathy, optimism, ability to control the impulse, the will to challenge, and analytical skills for the causes. Second. in terms of resilience depending on personal variations, the army executive members who more frequently work out and have religions, hobbies, future plans, or more friends tended to display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when it comes to the resilience affected by the institutional variations, the executive members showed higher level of resilience when they feel that their working condition is comfortable. Based on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through research tools, the researcher proposes that the results should be applied to the procedure of selecting army executive members and refresher train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