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른 외상경험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 및 수퍼바이저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상담자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12월에서 2021년 1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거나 1년 이내 상담을 진행했던 경험이 있는 청소년상담자 5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설문지는 외상경험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른 외상경험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 및 수퍼바이저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상담자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12월에서 2021년 1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거나 1년 이내 상담을 진행했던 경험이 있는 청소년상담자 5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설문지는 외상경험 사건충격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수퍼바이저 지지 척도, 상담자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상담자 소진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여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 경험이 많을수록 상담자 소진에 영향을 주어 효율적으로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상담자의 정서적 어려움, 신체적 긴장과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청소년상담자가 전문가로서 요구를 충족시켜 자신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교육 및 훈련 및 수퍼비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수퍼바이저 지지가 높을수록 상담자 소진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위험요인이 높은 환경에 노출되었어도 이를 보호해주는 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수퍼바이저 지지는 외상경험의 경험으로 인한 상담자 소진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상담자의 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요인의 분석을 토대로 회복탄력성을 높여주는 지원과 외상경험을 경험한 청소년 상담자에 대한 소진 완화 대책 및 교육훈련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외적인 지원으로 청소년상담자가 속한 기관 차원의 공식적인 대처방식이 되어야 하며, 청소년상담자의 정신건강의 회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연령, 교육 수준 및 수퍼비전 유무와 외상경험으로 인한 상담자 소진 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참여한 청소년상담자의 457명(96.1%)가 수퍼비전 경험이 있었다. 연령과 교육수준은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이 상담자 소진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자들의 외상경험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회복탄력성과 수퍼바이저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고, 몇 가지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른 외상경험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 및 수퍼바이저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상담자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12월에서 2021년 1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거나 1년 이내 상담을 진행했던 경험이 있는 청소년상담자 5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설문지는 외상경험 사건충격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수퍼바이저 지지 척도, 상담자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상담자 소진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여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 경험이 많을수록 상담자 소진에 영향을 주어 효율적으로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상담자의 정서적 어려움, 신체적 긴장과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청소년상담자가 전문가로서 요구를 충족시켜 자신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교육 및 훈련 및 수퍼비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수퍼바이저 지지가 높을수록 상담자 소진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위험요인이 높은 환경에 노출되었어도 이를 보호해주는 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수퍼바이저 지지는 외상경험의 경험으로 인한 상담자 소진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상담자의 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요인의 분석을 토대로 회복탄력성을 높여주는 지원과 외상경험을 경험한 청소년 상담자에 대한 소진 완화 대책 및 교육훈련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외적인 지원으로 청소년상담자가 속한 기관 차원의 공식적인 대처방식이 되어야 하며, 청소년상담자의 정신건강의 회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연령, 교육 수준 및 수퍼비전 유무와 외상경험으로 인한 상담자 소진 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참여한 청소년상담자의 457명(96.1%)가 수퍼비전 경험이 있었다. 연령과 교육수준은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이 상담자 소진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자들의 외상경험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회복탄력성과 수퍼바이저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고, 몇 가지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rventions that can help decrease of youth counselor’s burnout by exploring his/her characteristics formed from previous trauma experiences and verifying positive effects expected from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53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rventions that can help decrease of youth counselor’s burnout by exploring his/her characteristics formed from previous trauma experiences and verifying positive effects expected from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533 youth counselors from December 2020 to January 2021 in regards to their present experiences or experiences within the past year. Research questionnaire used scales of impact on event of trauma experience, resilience, supervisor support, and counselor’s burnout.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ly, the more trauma experiences, the more youth counselors have meaningfully higher rate of burnout as counselors. The result is concurrent with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more trauma experiences influence the counselor’s burnout, therefore increased inefficient performance upon the counselor is caused. Based on this result, development of counseling training program, education and training, and supervision support are necessary to support and prevent youth counselor’s emotional difficulty, physical tension and burnout by fulfilling their requirements as a professional. Secondly, provisions for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for counselors result in significantly less burnout for counselors. It shows that a counselor’s burnout possibility decreases as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have a role of variable support to protect the counselor against burnout even though counselor is exposed to risky circumstances of burnout such as previous experience of trauma. Supports provide relieving measures for elevation of resilience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burnout and enhance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unselor’s previously experienced burnout. In addition, the relieving measures need to be officially part of an agenda of wellbeing and care to orient the counselor’s emotional recovery. Hence, concrete measures need to be provided. Lastly, age, educational leve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receiving support such as supervision and counselor’s burnout were explored in this study. 457 (96.1%) of participants have experiences of support such as supervision. Age and educational level and previous trauma experience influence significantly the level of burnout: this finding supports the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a few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provided by empirical analysis that studied counselors’ burnout impacted by their trauma experiences and positive effects achieved by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rventions that can help decrease of youth counselor’s burnout by exploring his/her characteristics formed from previous trauma experiences and verifying positive effects expected from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533 youth counselors from December 2020 to January 2021 in regards to their present experiences or experiences within the past year. Research questionnaire used scales of impact on event of trauma experience, resilience, supervisor support, and counselor’s burnout.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ly, the more trauma experiences, the more youth counselors have meaningfully higher rate of burnout as counselors. The result is concurrent with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more trauma experiences influence the counselor’s burnout, therefore increased inefficient performance upon the counselor is caused. Based on this result, development of counseling training program, education and training, and supervision support are necessary to support and prevent youth counselor’s emotional difficulty, physical tension and burnout by fulfilling their requirements as a professional. Secondly, provisions for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for counselors result in significantly less burnout for counselors. It shows that a counselor’s burnout possibility decreases as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have a role of variable support to protect the counselor against burnout even though counselor is exposed to risky circumstances of burnout such as previous experience of trauma. Supports provide relieving measures for elevation of resilience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burnout and enhance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unselor’s previously experienced burnout. In addition, the relieving measures need to be officially part of an agenda of wellbeing and care to orient the counselor’s emotional recovery. Hence, concrete measures need to be provided. Lastly, age, educational leve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receiving support such as supervision and counselor’s burnout were explored in this study. 457 (96.1%) of participants have experiences of support such as supervision. Age and educational level and previous trauma experience influence significantly the level of burnout: this finding supports the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a few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provided by empirical analysis that studied counselors’ burnout impacted by their trauma experiences and positive effects achieved by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