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도급계약은 공사수행능력 확보, 위험의 분산, 중소건설업체 보호를 위해 국가계약법에 도입된 이후 20여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공동이행방식의 공동도급계약 형태는 법원의 판단도 서로 상반되거나 일률적이지 못하다. 이에 분쟁의 원인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공사 공동이행방식의 공동도급계약에 있어서 분쟁유형별로 판례, 유권해석 사례 및 감사원 감사결과의 세부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법률적․제도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는 공사대금, 하도금대금 등 분쟁유형별로 대표 판례를 선별하여 사업진행과정, 법원판단, 시사점 및 문제점 분석 형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권해석 사례는 문제된 사안의 해석결과를 문석하고, 감사원 감사결과는 일부를 선별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
공동도급계약은 공사수행능력 확보, 위험의 분산, 중소건설업체 보호를 위해 국가계약법에 도입된 이후 20여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공동이행방식의 공동도급계약 형태는 법원의 판단도 서로 상반되거나 일률적이지 못하다. 이에 분쟁의 원인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공사 공동이행방식의 공동도급계약에 있어서 분쟁유형별로 판례, 유권해석 사례 및 감사원 감사결과의 세부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법률적․제도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는 공사대금, 하도금대금 등 분쟁유형별로 대표 판례를 선별하여 사업진행과정, 법원판단, 시사점 및 문제점 분석 형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권해석 사례는 문제된 사안의 해석결과를 문석하고, 감사원 감사결과는 일부를 선별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으로 법률적․제도적 측면에서는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인 계약운용요령 대가지급 관련 조항이 불명확하여 조합의 법리와 충돌하고, 선급금 및 보증금 정산 방법이 미비하였다. 또한 부정당제재기간이 도과한 경우 입찰참가 및 낙찰기준이 모호하고 가장공동수급체 제재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었다. 운영적 측면에서는 대가조항의 계약편입 방법에 따른 개별청구권 인정여부 혼선 발생, 하도급 계약체결방법 기준 모호, 세부운영규정의 미비, 부적격업체의 시공능력 검증시스템 미비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법적ㆍ제도적 측면에서는 민법상 조합의 법리에 맞게 대가지급 관련 조항을 개정하고, 선급금 및 보증금 정산방법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부정당제재 기간이 도과한 업체의 경우에는 입찰참가 및 계약체결을 함에 있어 불이익이 없도록 제도적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정상적인 공동수급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가장공동수급체의 개념 및 명확한 제재기준을 정립하여야 한다. 운영적 측면에서는 대가조항의 계약내용 편입여부에 대해 명시적 약정을 하고, 입찰참가자격을 다양화 하며, 공동수급체 선정방식을 자율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공동수급체 하도급계약을 체결할 때는 대표자 및 구성원 단독명의로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명확히 기준을 마련하여야 하고, 부적격업체 시공능력 평가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과제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례이후 변화가 예상되는 법률적 쟁점 및 건설현장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시각에서의 공동도급계약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보증보험 관련한 법률적, 실무적 측면의 연구를 분석하여 문제점 보완이 필요하다.
공동도급계약은 공사수행능력 확보, 위험의 분산, 중소건설업체 보호를 위해 국가계약법에 도입된 이후 20여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공동이행방식의 공동도급계약 형태는 법원의 판단도 서로 상반되거나 일률적이지 못하다. 이에 분쟁의 원인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공사 공동이행방식의 공동도급계약에 있어서 분쟁유형별로 판례, 유권해석 사례 및 감사원 감사결과의 세부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법률적․제도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는 공사대금, 하도금대금 등 분쟁유형별로 대표 판례를 선별하여 사업진행과정, 법원판단, 시사점 및 문제점 분석 형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권해석 사례는 문제된 사안의 해석결과를 문석하고, 감사원 감사결과는 일부를 선별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으로 법률적․제도적 측면에서는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인 계약운용요령 대가지급 관련 조항이 불명확하여 조합의 법리와 충돌하고, 선급금 및 보증금 정산 방법이 미비하였다. 또한 부정당제재기간이 도과한 경우 입찰참가 및 낙찰기준이 모호하고 가장공동수급체 제재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었다. 운영적 측면에서는 대가조항의 계약편입 방법에 따른 개별청구권 인정여부 혼선 발생, 하도급 계약체결방법 기준 모호, 세부운영규정의 미비, 부적격업체의 시공능력 검증시스템 미비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법적ㆍ제도적 측면에서는 민법상 조합의 법리에 맞게 대가지급 관련 조항을 개정하고, 선급금 및 보증금 정산방법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부정당제재 기간이 도과한 업체의 경우에는 입찰참가 및 계약체결을 함에 있어 불이익이 없도록 제도적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정상적인 공동수급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가장공동수급체의 개념 및 명확한 제재기준을 정립하여야 한다. 운영적 측면에서는 대가조항의 계약내용 편입여부에 대해 명시적 약정을 하고, 입찰참가자격을 다양화 하며, 공동수급체 선정방식을 자율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공동수급체 하도급계약을 체결할 때는 대표자 및 구성원 단독명의로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명확히 기준을 마련하여야 하고, 부적격업체 시공능력 평가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과제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례이후 변화가 예상되는 법률적 쟁점 및 건설현장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시각에서의 공동도급계약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보증보험 관련한 법률적, 실무적 측면의 연구를 분석하여 문제점 보완이 필요하다.
For more than 20 years, joint venture contracts have provided assurance of construction capacity, dispersion of risk, and protection of small to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but related disputes persisted. Especially, courts have rendered conflicting or inconsistent judgments on disputes regard...
For more than 20 years, joint venture contracts have provided assurance of construction capacity, dispersion of risk, and protection of small to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but related disputes persisted. Especially, courts have rendered conflicting or inconsistent judgments on disputes regarding partnership joint venture contracts.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use of such disputes, analyze related issues, and think about ways to improve such deal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cases, authoritative interpretations, decisions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sorted by types of disputes regarding partnership joint venture contracts for public construction deals. Further, it aims to deduct the problems in law and policy, and suggest ways to cure such defects. To this end, this study has sorted major court cases by the general categories into which such disputes fall, such as construction payment and subcontract payment, and proceeded with the analysis of the deal-making process, court rulings, implications, and problems. The problems extracted from such case studies and their solu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As for the problems from a law and policy standpoint, the obscurity of the payment provision i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Regulation on contracts regarding guidelines for contracts management renders itself incompatible with the theory of partnership, and the method for calculating prepayments and deposits is lacking. Moreover, the qualifications for participation in the bidding and the standards for successful bids are wanting in cases where the period for penalizing unfair practices has lapsed, and the standards for regulating phony joint ventures have been unclear. From a managerial standpoint, issues such as confusion as to whether the validity of individual claims will vary according to the ways in which the payment provision has been integrated in the contract, lack of standards on executing subcontracts, lack of detailed management regulations, and lack of an evaluation system to disqualify businesses without the necessary construction capability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from a law and policy standpoin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ayment provisions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partnerships under the civil law, and to clearly state the calculation methods for prepayments and deposits. Moreover, the law should not allow the businesses whose penalty period for unfair practices has lapsed to suffer further setbacks. Also, a clear definition and regulation of phony joint ventures should be in place in order to establish a functioning joint venture system. From a managerial standpoint, parties need to explicitly agree on whether the payment provision should be integrated in the contract, a greater variety of qualifications for biddings and a greater autonomy in the selection process of joint ventures should be introduced. Furthermore, in subcontracting with joint ventures clearer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as to whether a representative or a member could be an eligible party to the contract, and an enhanced evaluation mechanism should be devised for weeding out businesses lacking the suitable qualifications in terms of construction capabilities. Further studies on improving joint venture contracts are necessary, incorporating a renewed aspect on and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legal issues and the construction business landscape that are bound to happen following the unanimous supreme court decision. In addition, issues with surety insurance need to be addressed through the analyses of studies conducted from both leg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For more than 20 years, joint venture contracts have provided assurance of construction capacity, dispersion of risk, and protection of small to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but related disputes persisted. Especially, courts have rendered conflicting or inconsistent judgments on disputes regarding partnership joint venture contracts.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use of such disputes, analyze related issues, and think about ways to improve such deal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cases, authoritative interpretations, decisions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sorted by types of disputes regarding partnership joint venture contracts for public construction deals. Further, it aims to deduct the problems in law and policy, and suggest ways to cure such defects. To this end, this study has sorted major court cases by the general categories into which such disputes fall, such as construction payment and subcontract payment, and proceeded with the analysis of the deal-making process, court rulings, implications, and problems. The problems extracted from such case studies and their solu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As for the problems from a law and policy standpoint, the obscurity of the payment provision i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Regulation on contracts regarding guidelines for contracts management renders itself incompatible with the theory of partnership, and the method for calculating prepayments and deposits is lacking. Moreover, the qualifications for participation in the bidding and the standards for successful bids are wanting in cases where the period for penalizing unfair practices has lapsed, and the standards for regulating phony joint ventures have been unclear. From a managerial standpoint, issues such as confusion as to whether the validity of individual claims will vary according to the ways in which the payment provision has been integrated in the contract, lack of standards on executing subcontracts, lack of detailed management regulations, and lack of an evaluation system to disqualify businesses without the necessary construction capability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from a law and policy standpoin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ayment provisions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partnerships under the civil law, and to clearly state the calculation methods for prepayments and deposits. Moreover, the law should not allow the businesses whose penalty period for unfair practices has lapsed to suffer further setbacks. Also, a clear definition and regulation of phony joint ventures should be in place in order to establish a functioning joint venture system. From a managerial standpoint, parties need to explicitly agree on whether the payment provision should be integrated in the contract, a greater variety of qualifications for biddings and a greater autonomy in the selection process of joint ventures should be introduced. Furthermore, in subcontracting with joint ventures clearer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as to whether a representative or a member could be an eligible party to the contract, and an enhanced evaluation mechanism should be devised for weeding out businesses lacking the suitable qualifications in terms of construction capabilities. Further studies on improving joint venture contracts are necessary, incorporating a renewed aspect on and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legal issues and the construction business landscape that are bound to happen following the unanimous supreme court decision. In addition, issues with surety insurance need to be addressed through the analyses of studies conducted from both leg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