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2011년 한국인 사망원인 중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당뇨병 중 90% 이상은 인슐린저항성이 나타나는 제2형 당뇨병이다. 당뇨병 치료에는 운동요법, 식사요법과 함께 약물요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제 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 혈당강하제는 장기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물에서 항당뇨 생리활성 물질을 찾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당뇨치료에 있어서 혈당을 조절하고 ...
당뇨병은 2011년 한국인 사망원인 중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당뇨병 중 90% 이상은 인슐린저항성이 나타나는 제2형 당뇨병이다. 당뇨병 치료에는 운동요법, 식사요법과 함께 약물요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제 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 혈당강하제는 장기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물에서 항당뇨 생리활성 물질을 찾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당뇨치료에 있어서 혈당을 조절하고 이상지질혈증을 개선하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김(Laver)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이상지질혈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 항당뇨 효과가 기대되지만, 당뇨 동물에 있어서 혈당조절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2형 당뇨 동물 모델인 db/db mice에서 김의 항당뇨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생후 4주령의 수컷 C57BL/Ks db/db 마우스(n=14)를 1주일간의 적응기간 후, 두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게는 AIN-93G 식이를, 김군에게는 AIN-93G 식이에 동결건조한 김 분말을 3% 수준으로 첨가한 식이를 7주간 제공하였다. 김군의 체중과 식이섭취량 및 식이섭취효율(feed efficiency ratio)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김군의 혈당 및 당화헤모글로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김군의 혈장 인슐린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HOMA-IR)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김군의 혈장 중성지방(p<0.01) 및 총콜레스테롤 농도(p<0.05)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장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김 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의 thoi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농도는 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GSH-Px) 활성은 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김의 장기적인 섭취는 제2형 당뇨 동물 모델인 db/db mice에 있어서 혈당을 조절하고 이상지질혈증을 개선하였으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김의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당뇨병은 2011년 한국인 사망원인 중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당뇨병 중 90% 이상은 인슐린저항성이 나타나는 제2형 당뇨병이다. 당뇨병 치료에는 운동요법, 식사요법과 함께 약물요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제 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 혈당강하제는 장기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물에서 항당뇨 생리활성 물질을 찾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당뇨치료에 있어서 혈당을 조절하고 이상지질혈증을 개선하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김(Laver)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이상지질혈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 항당뇨 효과가 기대되지만, 당뇨 동물에 있어서 혈당조절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2형 당뇨 동물 모델인 db/db mice에서 김의 항당뇨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생후 4주령의 수컷 C57BL/Ks db/db 마우스(n=14)를 1주일간의 적응기간 후, 두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게는 AIN-93G 식이를, 김군에게는 AIN-93G 식이에 동결건조한 김 분말을 3% 수준으로 첨가한 식이를 7주간 제공하였다. 김군의 체중과 식이섭취량 및 식이섭취효율(feed efficiency ratio)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김군의 혈당 및 당화헤모글로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김군의 혈장 인슐린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HOMA-IR)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김군의 혈장 중성지방(p<0.01) 및 총콜레스테롤 농도(p<0.05)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장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김 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의 thoi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농도는 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GSH-Px) 활성은 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김의 장기적인 섭취는 제2형 당뇨 동물 모델인 db/db mice에 있어서 혈당을 조절하고 이상지질혈증을 개선하였으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김의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Diabetes mellitus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among Koreans. Tight control of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s crucial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In addition,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oxidative stress in diabet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Although oral hyp...
Diabetes mellitus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among Koreans. Tight control of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s crucial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In addition,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oxidative stress in diabet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Although oral hypoglycemic medications are prescribed to treat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most common type of diabetes, these medications may cause adverse side effects. Therefore, a number of studies trying to find bioactive materials with antidiabetic activity from natural produc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t has been reported that laver has strong antioxidant effect in vitro and improves dyslipidemia. However, anti-diabetic effect of laver in vivo is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poglycemic,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laver (Phorphran umbilicalis) in a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Four-week-old male db/db mouse were offered an AIN-93G diet or a diet containing dried laver at 3% of the diet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food intake, and feed efficiency ratio (FER) between the control and laver groups.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of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sma insulin levels of the laver and control groups.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values of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1). Plasma triglyceride (p<0.01)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p<0.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aver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lasma HDL-cholesterol levels of the laver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hepatic concentration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the liver tissue of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It could be concluded that chronic feeding of laver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hyperglycemia, dyslipidemia and oxidative stress in db/db mice.
Diabetes mellitus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among Koreans. Tight control of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s crucial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In addition,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oxidative stress in diabet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Although oral hypoglycemic medications are prescribed to treat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most common type of diabetes, these medications may cause adverse side effects. Therefore, a number of studies trying to find bioactive materials with antidiabetic activity from natural produc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t has been reported that laver has strong antioxidant effect in vitro and improves dyslipidemia. However, anti-diabetic effect of laver in vivo is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poglycemic,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laver (Phorphran umbilicalis) in a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Four-week-old male db/db mouse were offered an AIN-93G diet or a diet containing dried laver at 3% of the diet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food intake, and feed efficiency ratio (FER) between the control and laver groups.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of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sma insulin levels of the laver and control groups.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values of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1). Plasma triglyceride (p<0.01)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p<0.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aver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lasma HDL-cholesterol levels of the laver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hepatic concentration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the liver tissue of the laver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It could be concluded that chronic feeding of laver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hyperglycemia, dyslipidemia and oxidative stress in db/db mi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