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및 친구관계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8학급 이상 규모의 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503명(남학생: 245명, 여학생: 2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상관분석과 ...
이 연구는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및 친구관계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8학급 이상 규모의 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503명(남학생: 245명, 여학생: 2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실행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사회불안이 사회적 기술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사회불안이 사회적 기술과 친구관계를 중다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도 유의하였으며, 사회불안이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 역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불안은 사회적 기술, 주관적 안녕감에 각각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기술은 자기노출,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노출은 친구관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친구관계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예측과 다르게 사회불안에서 자기노출에 이르는 경로, 사회불안에서 친구관계에 이르는 경로, 자기노출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적 기술과 더불어 중다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탐색적으로 잠재변인들의 관계모형에 대해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일부 경로에서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와 자기노출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 집단에서 유의하였으나 여학생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자기노출에서 친구관계에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 집단에서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여학생 집단에서는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중다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설명을 제공하였다. 또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영향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중 가장 강력한 변인은 사회적 기술이라는 점을 밝혔다. 한편, 사회불안,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일부 경로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회불안,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관계와 관련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및 친구관계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8학급 이상 규모의 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503명(남학생: 245명, 여학생: 2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실행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사회불안이 사회적 기술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사회불안이 사회적 기술과 친구관계를 중다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도 유의하였으며, 사회불안이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 역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불안은 사회적 기술, 주관적 안녕감에 각각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기술은 자기노출,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노출은 친구관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친구관계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예측과 다르게 사회불안에서 자기노출에 이르는 경로, 사회불안에서 친구관계에 이르는 경로, 자기노출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적 기술과 더불어 중다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탐색적으로 잠재변인들의 관계모형에 대해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일부 경로에서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와 자기노출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 집단에서 유의하였으나 여학생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자기노출에서 친구관계에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 집단에서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여학생 집단에서는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중다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설명을 제공하였다. 또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영향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중 가장 강력한 변인은 사회적 기술이라는 점을 밝혔다. 한편, 사회불안,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일부 경로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회불안,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의 관계와 관련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