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자만 궁항 마을 앞 갯벌 실험구에 오염물질의 분해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정착성 저서동물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usis)를 이식하여 2012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 12개월 간 대조구와 실험구의 군집생태조사와 저질 입도 분석을 통해 대형 저서동물의 유기오염물질 정화능력을 파악하였다.
조사지는 육상부에 경작지와 저수지가 있으며 수문을 통해 방류되는 저수지 유출수에 의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본 실험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
본 연구는 여자만 궁항 마을 앞 갯벌 실험구에 오염물질의 분해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정착성 저서동물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usis)를 이식하여 2012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 12개월 간 대조구와 실험구의 군집생태조사와 저질 입도 분석을 통해 대형 저서동물의 유기오염물질 정화능력을 파악하였다.
조사지는 육상부에 경작지와 저수지가 있으며 수문을 통해 방류되는 저수지 유출수에 의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본 실험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갯지렁이에 의한 유기 오염 물질 정화 연구에 적절한 실험지로 판단되었다.
조사 결과, 대조구와 실험구의 군집 생태를 조사한 결과 각각 11종, 12종이 출현하였고, 이 중 대조구에서는 환형동물 5종(45%), 연체동물 5종(45%)등으로 조사되었고, 실험구에서는 각각 6종(50%), 4종(33%) 등으로 조사되었다. 평균 서식 밀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서는 227.6 inds/㎡, 실험구에서는 289.8 inds/㎡로 실험구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우점한 종은 갯고둥으로 평균 각각 129.9 inds/㎡와 137.0 inds/㎡로 나타났다.
종 풍부도는 대조구에서 1.19에서 1.27로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실험구는 1.48에서 1.10으로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실험구의 다양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며, 조사기간 동안 실험구의 다양도 지수가 증가하여 군집의 종 조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저질 입도분석 결과 50 cm 깊이에서 점토의 비율이 42.87%에서 56.59%로 변화하여 퇴적상이 silty clay로 나타난 것은 저질과 표면을 이동하기 위한 갯지렁이 굴과 배설작용 등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추측되어 지며, 이로 인해 갯벌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로 인하여 군집생태와 저질이 개선되어 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는 대형 저서동물이 갯벌의 환경 복원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되어 진다.
본 연구는 여자만 궁항 마을 앞 갯벌 실험구에 오염물질의 분해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정착성 저서동물인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usis)를 이식하여 2012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 12개월 간 대조구와 실험구의 군집생태조사와 저질 입도 분석을 통해 대형 저서동물의 유기오염물질 정화능력을 파악하였다.
조사지는 육상부에 경작지와 저수지가 있으며 수문을 통해 방류되는 저수지 유출수에 의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본 실험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갯지렁이에 의한 유기 오염 물질 정화 연구에 적절한 실험지로 판단되었다.
조사 결과, 대조구와 실험구의 군집 생태를 조사한 결과 각각 11종, 12종이 출현하였고, 이 중 대조구에서는 환형동물 5종(45%), 연체동물 5종(45%)등으로 조사되었고, 실험구에서는 각각 6종(50%), 4종(33%) 등으로 조사되었다. 평균 서식 밀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서는 227.6 inds/㎡, 실험구에서는 289.8 inds/㎡로 실험구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우점한 종은 갯고둥으로 평균 각각 129.9 inds/㎡와 137.0 inds/㎡로 나타났다.
종 풍부도는 대조구에서 1.19에서 1.27로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실험구는 1.48에서 1.10으로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실험구의 다양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며, 조사기간 동안 실험구의 다양도 지수가 증가하여 군집의 종 조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저질 입도분석 결과 50 cm 깊이에서 점토의 비율이 42.87%에서 56.59%로 변화하여 퇴적상이 silty clay로 나타난 것은 저질과 표면을 이동하기 위한 갯지렁이 굴과 배설작용 등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추측되어 지며, 이로 인해 갯벌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로 인하여 군집생태와 저질이 개선되어 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는 대형 저서동물이 갯벌의 환경 복원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되어 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rehend the organic pollutant purification ability of macrozoobenthos through a grain-size substratum analysis and community ecology survey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period of 12 months from July 2012 until June 2013 by transplanting Peri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rehend the organic pollutant purification ability of macrozoobenthos through a grain-size substratum analysis and community ecology survey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period of 12 months from July 2012 until June 2013 by transplanting Perinerseis aibuhiteusis, a sedentary zoobenthos that is known to have an excellent ability to disintegrate pollutants, at the experimental mud flat area in front of Gunghang village at Yeoja Bay.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community ecology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11 species and 12 species respectively appeared in each group. Among these specie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5 species of annelids (45%) and 5 species of mollusks (45%).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6 species of annelids (50%) and 4 species of mollusks (3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inhabitation density, the control group revealed a density of 227.6 in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a relatively higher density of 289.8 inds/㎡. Among these species, the dominant specie was the Batillaria multiformis which had a density level of 129.9 inds/㎡ and 137.0 ind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grain-size substratu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clay changed from 42.87% to 56.59% at the depth of 50 cm where the sedimentary facies was silty clay. This is assumed to have increased due to the digging and discharge to migrate through the substratum and the surface and the community ecology and substratum is found to have been improved due to the organisms living in the mud flats. It is suspected that macrozoobenthos play a role in restoring the environment of the mud fl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rehend the organic pollutant purification ability of macrozoobenthos through a grain-size substratum analysis and community ecology survey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period of 12 months from July 2012 until June 2013 by transplanting Perinerseis aibuhiteusis, a sedentary zoobenthos that is known to have an excellent ability to disintegrate pollutants, at the experimental mud flat area in front of Gunghang village at Yeoja Bay.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community ecology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11 species and 12 species respectively appeared in each group. Among these specie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5 species of annelids (45%) and 5 species of mollusks (45%).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6 species of annelids (50%) and 4 species of mollusks (3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inhabitation density, the control group revealed a density of 227.6 in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a relatively higher density of 289.8 inds/㎡. Among these species, the dominant specie was the Batillaria multiformis which had a density level of 129.9 inds/㎡ and 137.0 ind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grain-size substratu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clay changed from 42.87% to 56.59% at the depth of 50 cm where the sedimentary facies was silty clay. This is assumed to have increased due to the digging and discharge to migrate through the substratum and the surface and the community ecology and substratum is found to have been improved due to the organisms living in the mud flats. It is suspected that macrozoobenthos play a role in restoring the environment of the mud fla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