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도시공원 여가만족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검증 Analysis of the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in urban parks on work stress and the resilience of office workers : the mediative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원문보기
개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열한 일상을 보내는 직장인들이 필연적으로 맞닥뜨리게 되는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우울증, 자살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복잡한 현대사회가 내재하고 있는 스트레스원을 근본적으로 없애는 것보다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회복’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점에서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치유공간으로서 도시공원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도시공원은 점심시간과 같이 짧은 여유시간을 이용해 직장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녹지공간으로서, 도시공원과 같은 자연환경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의 여가활동도 큰 정신적 치유효과를 가질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환경이 이용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기능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리적 분리이론과 여가만족, ...
개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열한 일상을 보내는 직장인들이 필연적으로 맞닥뜨리게 되는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우울증, 자살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복잡한 현대사회가 내재하고 있는 스트레스원을 근본적으로 없애는 것보다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회복’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점에서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치유공간으로서 도시공원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도시공원은 점심시간과 같이 짧은 여유시간을 이용해 직장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녹지공간으로서, 도시공원과 같은 자연환경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의 여가활동도 큰 정신적 치유효과를 가질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환경이 이용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기능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리적 분리이론과 여가만족,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도시공원이 어떻게 이용자들의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시공원 여가만족과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에 대한 문헌연구의 고찰을 통해 총 9개의 가설을 도출하였고 이를 위한 측정척도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도시공원을 이용하는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서울 여의도공원을 이용하는 직장인을 표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370부의 설문지 중, 회수되지 않거나 실증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28부를 제외한 342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코딩(coding)을 통해 데이터화 되었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 외에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P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평가 및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도시공원 여가만족은 ‘휴식만족’, ‘환경만족’, ‘사회만족’, ‘자아만족’, ‘생리만족’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회복탄력성은 ‘긍정성’과 ‘적응성’ 두 개의 하위요인, 그리고 심리적 분리와 직무스트레스는 각각 단일 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식만족과 환경만족, 생리만족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휴식만족과 환경만족이 심리적 분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휴식만족과 자아만족이 긍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만족과 생리만족이 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분리가 직무스트레스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분리가 긍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적응성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휴식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여덟째, 휴식만족과 긍정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만족과 긍정성의 관계에서는 심리적 분리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홉째, 적응성이 생리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도시공원에서 이루어지는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정도가 직무스트레스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심리적 분리가 직무스트레스완화와 회복탄력성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바탕으로 도시공원이 업무공간과 대비되는 휴식·여가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시공원 안에서 이루어지는 여가활동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이겨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시공원의 자연환경이 어떻게 이용자들의 심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공원에서의 여가활동을 심각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더 나아가 도시공원의 확충에 대한 정책적인 정당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개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열한 일상을 보내는 직장인들이 필연적으로 맞닥뜨리게 되는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우울증, 자살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복잡한 현대사회가 내재하고 있는 스트레스원을 근본적으로 없애는 것보다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회복’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점에서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치유공간으로서 도시공원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도시공원은 점심시간과 같이 짧은 여유시간을 이용해 직장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녹지공간으로서, 도시공원과 같은 자연환경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의 여가활동도 큰 정신적 치유효과를 가질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환경이 이용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기능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리적 분리이론과 여가만족,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도시공원이 어떻게 이용자들의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시공원 여가만족과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에 대한 문헌연구의 고찰을 통해 총 9개의 가설을 도출하였고 이를 위한 측정척도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도시공원을 이용하는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서울 여의도공원을 이용하는 직장인을 표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370부의 설문지 중, 회수되지 않거나 실증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28부를 제외한 342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코딩(coding)을 통해 데이터화 되었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 외에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P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평가 및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도시공원 여가만족은 ‘휴식만족’, ‘환경만족’, ‘사회만족’, ‘자아만족’, ‘생리만족’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회복탄력성은 ‘긍정성’과 ‘적응성’ 두 개의 하위요인, 그리고 심리적 분리와 직무스트레스는 각각 단일 항목으로 정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식만족과 환경만족, 생리만족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휴식만족과 환경만족이 심리적 분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휴식만족과 자아만족이 긍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만족과 생리만족이 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분리가 직무스트레스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분리가 긍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적응성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휴식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여덟째, 휴식만족과 긍정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만족과 긍정성의 관계에서는 심리적 분리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홉째, 적응성이 생리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도시공원에서 이루어지는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정도가 직무스트레스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심리적 분리가 직무스트레스완화와 회복탄력성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바탕으로 도시공원이 업무공간과 대비되는 휴식·여가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시공원 안에서 이루어지는 여가활동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이겨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시공원의 자연환경이 어떻게 이용자들의 심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공원에서의 여가활동을 심각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더 나아가 도시공원의 확충에 대한 정책적인 정당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