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 분석 지표 개발 및 현황 분석: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Park Analysis Indicators and Current Status: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3 no.1, 2022년, pp.99 - 112  

황재연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스마트모빌리티) ,  곽승연 (NICE디앤알 주식회사 스마트데이터 Biz실) ,  김상규 (한남대학교) ,  박민주 (한남대학교 빅데이터 응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무분별한 택지개발과 아파트 건설 등으로 도시공원의 확보와 접근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광역시도 낙후공원을 정비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는 도시공원 관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행정구역별 공원 관리를 위해 공원데이터를 생성·관리하고 있는데 행정구별로 다른 데이터 양식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별로 생성된 공원 데이터를 하나의 양식으로 통합하고, 공원의 면적 정보를 반영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를 생성해 대전 전체에 존재하는 공원들의 현황을 분석했다. 공원의 현황을 분석했을 때 행정구역별 공원의 불균형이 심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현황 진단 결과를 정규화한 후 순위로 도출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실제 공원들과 분석 결과를 비교 후 데이터가 공원에 대한 정보를 잘 담고 있는지 살펴봤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공원에 대한 개선방안을 강구할 수 있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공원 평가 지표를 구성하여 공원을 객관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형성하여 행정구역별 통합된 데이터 양식과 꾸준한 관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growing significance in securing urban parks and enhancing their accessibility due to irrational residential developments and apartment construction. Accordingly, Daejeon Metropolitan City has carried out urban park management proje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ks and create new parks. D...

주제어

표/그림 (20)

참고문헌 (15)

  1. 건축도시공간연구소(2019), 「공원녹지 지표개선 및 운용방안 연구」. 

  2. 고하정(2019), 「도시공원을 둘러싼 사회현상 및 담론변화 연구 - 서울을 중심으로 -」, 재단법인숲과나눔. 

  3. 국가법령정보센터(202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4. 김정민.유우상(2018), "지리정보체계(GIS) 분석을 통한 현행 어린이공원 평가", 「한국지역개발학회학술대회 논문집」, 783~791. 

  5. 김한수(2019), 「경기도 도시공원 신규지표 도입방안」, 수원: 경기연구원. 

  6. 대전 세종 연구원(2020), 「대전광역시 지역 안전 확보를 위한 조도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7. 문지영.황지수.손명혜.반영운(2016),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 서비스 수준 진단지표 개발", 「대한건축학 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81~1786. 

  8. 안동만.류선정.김혜령.이재원.김보람.윤호선.손승우.이나래.최유.이지영.이정원.신나(2013), "전국도시 일인당 공원면적 분석", 「한국조경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39-41. 

  9. 최성웅.김흥순(2016),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이용권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3): 67~88. 

  10. 한국문학중앙연구원(19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행정자치부.한국정보화진흥원(2017), 「공공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매뉴얼 CCTV분야」. 

  12. AURI(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Green Land Indicators in the Park」 (in Korean). 

  13. DSI(2020),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Illuminance to Secure Regional Safet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Korean). 

  14. Korea Law Information Center(2021), "Act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c." (in Korean) 

  15. Ministry of the Interior.NIA(2017), Public Big Data Standard Analysis Model Manual (CCTV Field) Environmental Factors Criteria (in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