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가족형태와 가족기능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orm and Function of the Family ove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Attending Local Child Care Cent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기족기능을 측정하여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변수들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 중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23명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출생순위에서 둘째이후가, 가족기능에서는 가족응집성과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기족기능을 측정하여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변수들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 중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23명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출생순위에서 둘째이후가, 가족기능에서는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가족형태, 부모학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가족기능에서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사회성 발달수준이 높았지만 가족적응성은 낮을수록 사회성 발달수준이 높았다. 이는 부모 한쪽의 부재를 경험하고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아동이 가족의 규칙이나 변화에 적응하는 가족적응성의 기능은 낮게 인지하고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상호의존성, 가족체계 내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자율성의 정도인 가족응집성을 더 높게 인지한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발달수준에 가족응집성이 가족적응성보다 높게 영향을 미치고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사회성 발달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사회성 발달 평균은 2.74로 각 하위요인별로는 근면성 2.84, 책임감 2.60, 협동성 2.84, 준법성 2.77, 자주성 2.63으로 근면성과 협동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사회성 발달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향상시키고 가족성원들이 응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가족단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놀이활동 및 가족행사, 다양한 문화체험활동 등은 가족의 화합을 도모하고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결속력을 높이고 강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낮은 가족기능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가정의 아동과는 차별화된 가족기능에 대한 교육의 실시와 아동과 부모가 함께하는 상담 및 가족치료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상호간의 이해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 여러 사회복지기관에서 저소득 한부모와 아동이 함께하는 가족통합캠프나 가족야외활동 등 가족특화사업의 활성화를 통해 가족기능을 긍정적으로 강화시키고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낮은 사회성 발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적 안정과 심리발달을 위한 놀이와 미술치료, 또래 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는 집단놀이 프로그램 등 사회적 관계에서의 적응력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과 부모상담 및 교육을 통한 가정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기족기능을 측정하여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변수들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 중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23명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출생순위에서 둘째이후가, 가족기능에서는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가족형태, 부모학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가족기능에서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사회성 발달수준이 높았지만 가족적응성은 낮을수록 사회성 발달수준이 높았다. 이는 부모 한쪽의 부재를 경험하고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아동이 가족의 규칙이나 변화에 적응하는 가족적응성의 기능은 낮게 인지하고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상호의존성, 가족체계 내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자율성의 정도인 가족응집성을 더 높게 인지한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발달수준에 가족응집성이 가족적응성보다 높게 영향을 미치고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사회성 발달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사회성 발달 평균은 2.74로 각 하위요인별로는 근면성 2.84, 책임감 2.60, 협동성 2.84, 준법성 2.77, 자주성 2.63으로 근면성과 협동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사회성 발달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향상시키고 가족성원들이 응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가족단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놀이활동 및 가족행사, 다양한 문화체험활동 등은 가족의 화합을 도모하고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결속력을 높이고 강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낮은 가족기능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가정의 아동과는 차별화된 가족기능에 대한 교육의 실시와 아동과 부모가 함께하는 상담 및 가족치료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상호간의 이해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 여러 사회복지기관에서 저소득 한부모와 아동이 함께하는 가족통합캠프나 가족야외활동 등 가족특화사업의 활성화를 통해 가족기능을 긍정적으로 강화시키고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의 낮은 사회성 발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적 안정과 심리발달을 위한 놀이와 미술치료, 또래 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는 집단놀이 프로그램 등 사회적 관계에서의 적응력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과 부모상담 및 교육을 통한 가정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family functions of children from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attending local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reveal how much a child’s social development is affected by which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3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 o...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family functions of children from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attending local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reveal how much a child’s social development is affected by which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3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and attending local child care centers in Kimhae, Gyeongsangnam-do, an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y showed that a child’s ag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s for a variable of the birth order, the second born or later bor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lso, in the function of the family, family cohesiveness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but the gender, form of the family, and parents’ education background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Second, in the function of the family,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family cohesiveness, the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was also the higher and vice versa. It might be due to a circumstance that a child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y have experienced the absence of one parent and he/she is not economically favorable, resulting in poor recognition of a function the family cohesiveness, and children experiencing high levels of emotional fellowship, mutual dependence and system of the family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family cohesivenes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amily cohesiveness has a higher influence over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than th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higher the family cohesiveness, the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gets higher as well. Third, the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was 2.74 and for each of sub variables, there were diligence of 2.84, responsibility of 2.60, cooperativity of 2.84, law abidance of 2.77, and independence of 2.63. Diligence and cooperativity had the highest scor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the following. First, from the study result of that the higher the family cohesiveness, the higher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family-unit program in which the emotional bonding between family members can be enhanced should be promoted. Leisure activities, family events and various cultural activities in which all the family members can participate could promote the concordance between family members, raising the emotional bonding and cohesiveness between family members. Second, it would be essential to provide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on the role of the single parent family for children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in order to enhance the function of the family and also, it would be critical to support a deeper understanding between family members by providing proper consultation programs and/or family therapy programs in which all the family members can participate. Moreover, by promoting social welfare institutes including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social welfare institute and local child care centers of the family-oriented projects such as family camp program, the function of the family should be strengthened and enhanced in a positive manner. Third, to raise a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programs formulated for enhancing their social adaptability such as peer play programs, which allow of enhancing a peer relationship, as well as play therapy and art therapy programs that help the children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the proper consultation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paren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hom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family functions of children from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attending local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reveal how much a child’s social development is affected by which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3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and attending local child care centers in Kimhae, Gyeongsangnam-do, an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y showed that a child’s ag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s for a variable of the birth order, the second born or later bor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lso, in the function of the family, family cohesiveness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but the gender, form of the family, and parents’ education background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Second, in the function of the family,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family cohesiveness, the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was also the higher and vice versa. It might be due to a circumstance that a child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y have experienced the absence of one parent and he/she is not economically favorable, resulting in poor recognition of a function the family cohesiveness, and children experiencing high levels of emotional fellowship, mutual dependence and system of the family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family cohesivenes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amily cohesiveness has a higher influence over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than th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higher the family cohesiveness, the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gets higher as well. Third, the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was 2.74 and for each of sub variables, there were diligence of 2.84, responsibility of 2.60, cooperativity of 2.84, law abidance of 2.77, and independence of 2.63. Diligence and cooperativity had the highest scor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the following. First, from the study result of that the higher the family cohesiveness, the higher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family-unit program in which the emotional bonding between family members can be enhanced should be promoted. Leisure activities, family events and various cultural activities in which all the family members can participate could promote the concordance between family members, raising the emotional bonding and cohesiveness between family members. Second, it would be essential to provide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on the role of the single parent family for children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in order to enhance the function of the family and also, it would be critical to support a deeper understanding between family members by providing proper consultation programs and/or family therapy programs in which all the family members can participate. Moreover, by promoting social welfare institutes including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social welfare institute and local child care centers of the family-oriented projects such as family camp program, the function of the family should be strengthened and enhanced in a positive manner. Third, to raise a level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programs formulated for enhancing their social adaptability such as peer play programs, which allow of enhancing a peer relationship, as well as play therapy and art therapy programs that help the children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the proper consultation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paren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home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