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ger Control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EBD원문보기
분노는 학교폭력, 학교생활 부적응, 비행, 가정문제 등 문제의 심리적 근본 원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들에게 충동적이고 공격적 행동, 과도한 언쟁 등의 외현적 행동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분노를 포함한 감정의 통제와 적절한 표현을 돕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중재로 제안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상대방과 자신의 분노와 감정 이해 및 인지, 실제적인 분노조절 방법 학습 및 반복 훈련, 합리적인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 찾기, 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전환하는 개별화된 방법 찾아 익히기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실패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긍정적인 정서와 행동을 유지하며, 이를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표출 방식과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이 분노를 포함하여 감정을 인지하도록 하고 이를 조절하여 건전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문제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면,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표현할 줄 알며, 실제 삶에서 정서를 활용할 수 있는 ...
분노는 학교폭력, 학교생활 부적응, 비행, 가정문제 등 문제의 심리적 근본 원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들에게 충동적이고 공격적 행동, 과도한 언쟁 등의 외현적 행동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분노를 포함한 감정의 통제와 적절한 표현을 돕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중재로 제안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상대방과 자신의 분노와 감정 이해 및 인지, 실제적인 분노조절 방법 학습 및 반복 훈련, 합리적인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 찾기, 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전환하는 개별화된 방법 찾아 익히기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실패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긍정적인 정서와 행동을 유지하며, 이를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표출 방식과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이 분노를 포함하여 감정을 인지하도록 하고 이를 조절하여 건전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문제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면,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표현할 줄 알며, 실제 삶에서 정서를 활용할 수 있는 정서지능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되어 온 분노조절 접근들을 통합하여 인지·정서·행동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여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6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20명이다.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K-CBCL)을 실시하여 문제행동증후군 외현화 척도 점수가 T점수 60(84% tile)이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한 뒤, 본 연구자의 학급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검사 점수가 비슷한 타 학급 10명의 아동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8회기에 걸쳐 일반학급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 아동들에게는 별도의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종속변인인 정서지능 측정에는 문용린(1997)의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검사를 연구 대상 아동들이 문항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일부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들의 정서지능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에 의한 양적 결과가 지닌 타당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회기별 실험집단원의 소감문과, 마지막 회기 실시 후에는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전체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하위 요소별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켰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을 포함하는 일반 학급 내에서 담임교사가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 능력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으로 사회적 통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예방적 중재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인적 변인, 가족 구성원과 가정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가정과 연계 진행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지와 일반화 할 수 있는 추후 검사가 요구되며,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타당한 정서지능 측정도구의 개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분노는 학교폭력, 학교생활 부적응, 비행, 가정문제 등 문제의 심리적 근본 원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들에게 충동적이고 공격적 행동, 과도한 언쟁 등의 외현적 행동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분노를 포함한 감정의 통제와 적절한 표현을 돕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중재로 제안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상대방과 자신의 분노와 감정 이해 및 인지, 실제적인 분노조절 방법 학습 및 반복 훈련, 합리적인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 찾기, 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전환하는 개별화된 방법 찾아 익히기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실패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긍정적인 정서와 행동을 유지하며, 이를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표출 방식과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이 분노를 포함하여 감정을 인지하도록 하고 이를 조절하여 건전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문제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면,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표현할 줄 알며, 실제 삶에서 정서를 활용할 수 있는 정서지능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되어 온 분노조절 접근들을 통합하여 인지·정서·행동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여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6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20명이다.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K-CBCL)을 실시하여 문제행동증후군 외현화 척도 점수가 T점수 60(84% tile)이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한 뒤, 본 연구자의 학급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검사 점수가 비슷한 타 학급 10명의 아동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8회기에 걸쳐 일반학급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 아동들에게는 별도의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종속변인인 정서지능 측정에는 문용린(1997)의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검사를 연구 대상 아동들이 문항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일부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들의 정서지능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에 의한 양적 결과가 지닌 타당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회기별 실험집단원의 소감문과, 마지막 회기 실시 후에는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전체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하위 요소별 점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켰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을 포함하는 일반 학급 내에서 담임교사가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지능 능력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으로 사회적 통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예방적 중재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인적 변인, 가족 구성원과 가정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가정과 연계 진행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지와 일반화 할 수 있는 추후 검사가 요구되며,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타당한 정서지능 측정도구의 개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