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서울 한강(漢江)의 누정은 은일․강학․왕실 행사 관람 외에 수경관(水景觀)을 즐기는 풍류의 문화공간이었다. 한강의 누정은 주로 15세기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왕실과 사대부들의 연회, 사신접대, 전별연, 뱃놀이, 낚시, 시회, 계회, 모임이 행해졌다. 조선시대 누정경관(樓亭景觀)이자 강호 풍류문화의 거점역할을 했던 한강 누정은 질곡의 세월을 거치며 잇따른 한강개발사업과 공유수면매립사업으로 훼손되고 방치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그 결과 한강누정의 문화적 풍류도 소멸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울 한강의 누정을 중심으로 문헌을 연구하고 현지조사를 하였다. 과거와 현재의 물리적인 변화와 장소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강을 조선시대의 권역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한강이 개발되기 전 누정의 현황은 누정이 위치하였던 경관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그린 회화식 지도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한강지역은 학문을 숭배하는 지식인들과 문인․묵객들에게 도성과 가까운 강호(江湖)의 승경지였음이 확인되었다. 당시 한강변에 위치한 누정은 자연풍광을 즐기던 장소였을 뿐 아니라 왕실과 권문세도가들, 중국 사신들이 뱃놀이를 하던 대표적인 유람코스이자 풍류의 장소였다. 둘째, 서울한강은 한국전쟁 이후 서울로 유입되는 인구와 주택문제, 한강 홍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치수․이수정책 도입 등 한강개발사업과 공유수면매립사업으로 주변이 훼손되고 방치되어 누정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문화적 풍류가 소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 한강변에 조성된 누정은 경강 유역별로 동호(18개소), 남호(12개소), 서호(35개소), 양천일대(10개소)로 나누어 고지도, 현대 지도는 물론 회화식으로 재현된 지도위에 누정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권역별 누정의 징소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호 일대의 누정은 한강 북안의 전곶장, 두모포지역 그리고 두모포 건너편 강 남안의 산언덕 등에 조성되었다. 전곶장에는 낙천정, 화양정, 성덕정의 경우와 같이 큰 규모의 누정이 세워졌고, 넓은 들에서 군대 훈련과 열병식, 말목장과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누정이 세워졌다. 남호 일대는 삼호정, 심원정의 경우처럼 ...
조선시대 서울 한강(漢江)의 누정은 은일․강학․왕실 행사 관람 외에 수경관(水景觀)을 즐기는 풍류의 문화공간이었다. 한강의 누정은 주로 15세기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왕실과 사대부들의 연회, 사신접대, 전별연, 뱃놀이, 낚시, 시회, 계회, 모임이 행해졌다. 조선시대 누정경관(樓亭景觀)이자 강호 풍류문화의 거점역할을 했던 한강 누정은 질곡의 세월을 거치며 잇따른 한강개발사업과 공유수면매립사업으로 훼손되고 방치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그 결과 한강누정의 문화적 풍류도 소멸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울 한강의 누정을 중심으로 문헌을 연구하고 현지조사를 하였다. 과거와 현재의 물리적인 변화와 장소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강을 조선시대의 권역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한강이 개발되기 전 누정의 현황은 누정이 위치하였던 경관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그린 회화식 지도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한강지역은 학문을 숭배하는 지식인들과 문인․묵객들에게 도성과 가까운 강호(江湖)의 승경지였음이 확인되었다. 당시 한강변에 위치한 누정은 자연풍광을 즐기던 장소였을 뿐 아니라 왕실과 권문세도가들, 중국 사신들이 뱃놀이를 하던 대표적인 유람코스이자 풍류의 장소였다. 둘째, 서울한강은 한국전쟁 이후 서울로 유입되는 인구와 주택문제, 한강 홍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치수․이수정책 도입 등 한강개발사업과 공유수면매립사업으로 주변이 훼손되고 방치되어 누정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문화적 풍류가 소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 한강변에 조성된 누정은 경강 유역별로 동호(18개소), 남호(12개소), 서호(35개소), 양천일대(10개소)로 나누어 고지도, 현대 지도는 물론 회화식으로 재현된 지도위에 누정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권역별 누정의 징소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호 일대의 누정은 한강 북안의 전곶장, 두모포지역 그리고 두모포 건너편 강 남안의 산언덕 등에 조성되었다. 전곶장에는 낙천정, 화양정, 성덕정의 경우와 같이 큰 규모의 누정이 세워졌고, 넓은 들에서 군대 훈련과 열병식, 말목장과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누정이 세워졌다. 남호 일대는 삼호정, 심원정의 경우처럼 산과 강이 조망되는 높은 곳에 정자가 세워졌고, 용양봉저정, 효사정의 경우처럼 강 남안에 조성되기도 하었다. 서호 일대의 누정은 담담정, 영복정의 경우처럼 강 북안 산언덕에 조성되었고 망원정의 경우 경사지에 조성되었다. 양천 일대는 강 남단에 누정이 조성되었다. 이 지역은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므로 누정이 남단 염창과 공암진이 있던 산언덕에 세워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네째, 한강 누정의 권역별 경관적 장소성으로 동호지역은 외사산과 내사산으로 둘러싸인 중랑천, 청계천, 저자도, 입석포, 두모포가 있었으며, 이중 누정은 전별과 이별의 장소였다. 남호지역의 누정은 용산강 모래톱, 연지, 갈매기, 한강 등의 자연요소와 별영창, 동작진, 노량진, 나루터 등 수변 문화경관의 경관요소를 지니고 있다. 서호일대의 누정은 조운선박, 염창, 새우젓 시장이었던 마포나루와 같은 생활문화경관과 잠두봉, 선유봉, 밤섬, 여의도와 같은 유람터였다. 양천일대의 누정은 성산, 공암, 구암, 외사산, 궁산등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세워졌고, 향교, 누정, 행주산성과 같은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서울 한강의 과거와 현재의 권역별 장소성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동호일대 나루터는 과거 전별과 이별, 마을로 가는 나루터였으나 지금은 교량과 자동차도로에 차단되거나 아파트의 기초가 되어 접근이 어려우며 남호일대의 용산, 동작진, 노량진 등은 나룻터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주거지역이나 군사시설, 철도 교량, 자동차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서호일대의 마포나루터는 새우젓을 팔던 나루터였으며 여의도는 양과 염소 목장, 정자터로 이용되었으며 모래톱의 경관이 아름다웠다. 그러나 마포지역은 교량과 자동차도로, 여의도는 국회의사당 등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지로 이용되고 있다. 양천일대 누정 주변으로는 양촌향교가 보존되고 있으며 허가바위가 있는 나루터인 공암진은 공원과 연못을 조성한 후 광주암의 바위가 재현되어 있다. 여섯째, 서울 한강 장소성 복원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동호지역은 한강 정자 중 가장 지명도를 지녔던 압구정을 복원하고, 전별연을 하였던 제천정과 나루터 등 문화적 장소로의 복원이 필요하다. 남호지역의 누정은 용양봉저정, 효사정 등 효와 관련된 장소성을 복원함으로써 선비문화에 대한 지역의 정체성을 살려야 한다. ③ 서호지역의 누정은 현재 생태공원지역으로 보존되고 있는 밤섬과 생태공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선유공원을 과거 시인묵객들이 탐승하던 문화를 복원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만들 필요가 있다. ④ 양천지역의 누정은 남산과 행주산성의 조망 등이 양호하므로 조망경관 보존에 힘써야 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
조선시대 서울 한강(漢江)의 누정은 은일․강학․왕실 행사 관람 외에 수경관(水景觀)을 즐기는 풍류의 문화공간이었다. 한강의 누정은 주로 15세기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왕실과 사대부들의 연회, 사신접대, 전별연, 뱃놀이, 낚시, 시회, 계회, 모임이 행해졌다. 조선시대 누정경관(樓亭景觀)이자 강호 풍류문화의 거점역할을 했던 한강 누정은 질곡의 세월을 거치며 잇따른 한강개발사업과 공유수면매립사업으로 훼손되고 방치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그 결과 한강누정의 문화적 풍류도 소멸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울 한강의 누정을 중심으로 문헌을 연구하고 현지조사를 하였다. 과거와 현재의 물리적인 변화와 장소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강을 조선시대의 권역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한강이 개발되기 전 누정의 현황은 누정이 위치하였던 경관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그린 회화식 지도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한강지역은 학문을 숭배하는 지식인들과 문인․묵객들에게 도성과 가까운 강호(江湖)의 승경지였음이 확인되었다. 당시 한강변에 위치한 누정은 자연풍광을 즐기던 장소였을 뿐 아니라 왕실과 권문세도가들, 중국 사신들이 뱃놀이를 하던 대표적인 유람코스이자 풍류의 장소였다. 둘째, 서울한강은 한국전쟁 이후 서울로 유입되는 인구와 주택문제, 한강 홍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치수․이수정책 도입 등 한강개발사업과 공유수면매립사업으로 주변이 훼손되고 방치되어 누정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문화적 풍류가 소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 한강변에 조성된 누정은 경강 유역별로 동호(18개소), 남호(12개소), 서호(35개소), 양천일대(10개소)로 나누어 고지도, 현대 지도는 물론 회화식으로 재현된 지도위에 누정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권역별 누정의 징소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호 일대의 누정은 한강 북안의 전곶장, 두모포지역 그리고 두모포 건너편 강 남안의 산언덕 등에 조성되었다. 전곶장에는 낙천정, 화양정, 성덕정의 경우와 같이 큰 규모의 누정이 세워졌고, 넓은 들에서 군대 훈련과 열병식, 말목장과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누정이 세워졌다. 남호 일대는 삼호정, 심원정의 경우처럼 산과 강이 조망되는 높은 곳에 정자가 세워졌고, 용양봉저정, 효사정의 경우처럼 강 남안에 조성되기도 하었다. 서호 일대의 누정은 담담정, 영복정의 경우처럼 강 북안 산언덕에 조성되었고 망원정의 경우 경사지에 조성되었다. 양천 일대는 강 남단에 누정이 조성되었다. 이 지역은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므로 누정이 남단 염창과 공암진이 있던 산언덕에 세워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네째, 한강 누정의 권역별 경관적 장소성으로 동호지역은 외사산과 내사산으로 둘러싸인 중랑천, 청계천, 저자도, 입석포, 두모포가 있었으며, 이중 누정은 전별과 이별의 장소였다. 남호지역의 누정은 용산강 모래톱, 연지, 갈매기, 한강 등의 자연요소와 별영창, 동작진, 노량진, 나루터 등 수변 문화경관의 경관요소를 지니고 있다. 서호일대의 누정은 조운선박, 염창, 새우젓 시장이었던 마포나루와 같은 생활문화경관과 잠두봉, 선유봉, 밤섬, 여의도와 같은 유람터였다. 양천일대의 누정은 성산, 공암, 구암, 외사산, 궁산등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세워졌고, 향교, 누정, 행주산성과 같은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서울 한강의 과거와 현재의 권역별 장소성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동호일대 나루터는 과거 전별과 이별, 마을로 가는 나루터였으나 지금은 교량과 자동차도로에 차단되거나 아파트의 기초가 되어 접근이 어려우며 남호일대의 용산, 동작진, 노량진 등은 나룻터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주거지역이나 군사시설, 철도 교량, 자동차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서호일대의 마포나루터는 새우젓을 팔던 나루터였으며 여의도는 양과 염소 목장, 정자터로 이용되었으며 모래톱의 경관이 아름다웠다. 그러나 마포지역은 교량과 자동차도로, 여의도는 국회의사당 등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지로 이용되고 있다. 양천일대 누정 주변으로는 양촌향교가 보존되고 있으며 허가바위가 있는 나루터인 공암진은 공원과 연못을 조성한 후 광주암의 바위가 재현되어 있다. 여섯째, 서울 한강 장소성 복원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동호지역은 한강 정자 중 가장 지명도를 지녔던 압구정을 복원하고, 전별연을 하였던 제천정과 나루터 등 문화적 장소로의 복원이 필요하다. 남호지역의 누정은 용양봉저정, 효사정 등 효와 관련된 장소성을 복원함으로써 선비문화에 대한 지역의 정체성을 살려야 한다. ③ 서호지역의 누정은 현재 생태공원지역으로 보존되고 있는 밤섬과 생태공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선유공원을 과거 시인묵객들이 탐승하던 문화를 복원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만들 필요가 있다. ④ 양천지역의 누정은 남산과 행주산성의 조망 등이 양호하므로 조망경관 보존에 힘써야 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
The pavilion of Han River in Joseon Dynasty was a cultural space for granting official rank, pursuit of study, viewing royal event, and enjoying water landscape. The pavilion of Han River was constructed since 15th century and banquet for royal family and noblemen, entertainment for official posts, ...
The pavilion of Han River in Joseon Dynasty was a cultural space for granting official rank, pursuit of study, viewing royal event, and enjoying water landscape. The pavilion of Han River was constructed since 15th century and banquet for royal family and noblemen, entertainment for official posts, farewell party, boating, fishing, poetry party, and meeting were conducted here. The pavilion of Han River which was the landscape of pavilion of Joseon Dynasty and played a role of public artistic culture faded into the mists of history through life's ordeal and as it was damaged and left unattended by successive development project of Han River and Riverside reclamation development, and tasteful cultural art of pavilion of Han River became extinct resultingly as well. This study researched literatures around the pavilion of Han River in Joseon Dynasty and investigated the field location. To identify physic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from the past and present, this study classified and considered the Han River by region of Joseon Dynasty. The present condition of pavilio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Han River used a map which painted the landscape from modern perspective. The deduced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documentary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the Han River of Joseon Dynasty was a picturesque place of nature nearby a capital city to intellectuals and literary people who worship learning. The palace and pavilion located along the riverside of Han River at the time was not only a place of enjoying the nature scenery, but was a representative cruising course and a place of cultural taste where the royal family, influential families, and Chinese envoys enjoyed boating.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Seoul Han River was faded into the mists of history and cultural taste became extinct as the surrounding got damaged and left unattended due to the incoming population into Seoul, housing problem, measurement․completed policy for flood and for water for living, and other Han River development business and Riverside reclamation development. Thirdly, the pavilion created around Han River in Joseon Dynasty is classified into East(18), South(12), West(35), and the Yangcheon area(10), and marked locations of pavilions on an old map, present age map, and a map recreated in painting. Summaries of the placeness of pavilion by district are as follows. Pavilion of the whole eastern region were created in Jeongotjang and Doomopo region of the north shore of Han River and on the hills of the southern shore across the Doomopo. Large sized pavilions are build in Jeongotjang as in Nakcheonjung, Hwayangjung, and Sungdukjung, and pavilions for military training, formal military inspection, horse farm, and for viewing Han River were established in extensive field. Pavilions are established in high place of the whole southern region of Jeongotjang as in Samhojung and Shimwonjung, and they were also established on the southern shore of river as in Yongyangbongjeojung and Hyosajung. The pavilion of the whole western region were established on the north shore mountain hill as in Damdamjung and Youngbokjung, and they were created on slopes for Mangwonjung case. Pavilions were established on the southern shore for the whole Yangcheon region. As this regions was a significant region in military aspect, it was identified that pavilions were constructed in southern Yeomchang and on mountain hills. Fourthly, for scenic placeness by zone of the pavilion of Han River, there were Junglyangcheon, Chungyecheon, Jeojado, Ipseokpo, and Doomopo surrounded by Wesasan and Naesasan in Eastern region, and they were places for giving farewell parties and for parting. Pavilions in Southern region contained natural elements as Yongsan River sandbank, seagull, and Han River and the waterside cultural landscape as Byeolyoungchang, Dongjakjin, Noryangjin, and Naruteo. The pavilion of Western region were the living culture landscape for marine transportation and Maponaru which was a salted shrimp market, and for sightseeing as Jamdoobong, Sunyoobong, Bam Island, and Yeouido. The pavilion of the whole Yangcheon region were established in places with beautiful natural landscape as Sungsan, Gongam, Gooam, Wesasan, and Gungsan,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y contained complex cultural space characteristics as Hyanggyo, Noojung, and Haengjoosansung. Fifthly, comparisons of the placeness of the past and present of Han River by region are as follows. the ferry in Easter region was for farewell party, parting, and pathway to go to the village in the past, but access became difficult as it got blocked by bridge or streets or as apartments got constructed, and Yongsan, Dongjakjin, and Noryangjin of the southern region were used for ferry but it is used for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bridge for railroad, and streets. The Mapo ferry of Western region was a ferry where people sold salted shrimps, Yeouido was used for sheep and goat ranch and pavilions, and the scenery of a sand bank was beautiful. However, Mapo region is being used for bridge and streets and Yeouido is being used as the governmental center of Republic of Korea. The Yangchon hyanggyo is preserved around pavilions in Yangchon region, and the Gwangju rock is recreated in Gongamjin where the Heoga Rock is after a park and pond were constructed. Sixthly, suggestion for restoration of the placeness of Seoul Han River are as follows. For Eastern reg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Aapgujung of highest stature among pavilions in Han River, and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place as a cultural place as ferry where farewell parties were held. For Southern reg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identity of the region of classical scholars by restoring the placeness in relation to filiar duty as Yongyangbongjeojung and Hyosajung. ③ For the pavilions of Western region, it i
The pavilion of Han River in Joseon Dynasty was a cultural space for granting official rank, pursuit of study, viewing royal event, and enjoying water landscape. The pavilion of Han River was constructed since 15th century and banquet for royal family and noblemen, entertainment for official posts, farewell party, boating, fishing, poetry party, and meeting were conducted here. The pavilion of Han River which was the landscape of pavilion of Joseon Dynasty and played a role of public artistic culture faded into the mists of history through life's ordeal and as it was damaged and left unattended by successive development project of Han River and Riverside reclamation development, and tasteful cultural art of pavilion of Han River became extinct resultingly as well. This study researched literatures around the pavilion of Han River in Joseon Dynasty and investigated the field location. To identify physic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from the past and present, this study classified and considered the Han River by region of Joseon Dynasty. The present condition of pavilio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Han River used a map which painted the landscape from modern perspective. The deduced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documentary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the Han River of Joseon Dynasty was a picturesque place of nature nearby a capital city to intellectuals and literary people who worship learning. The palace and pavilion located along the riverside of Han River at the time was not only a place of enjoying the nature scenery, but was a representative cruising course and a place of cultural taste where the royal family, influential families, and Chinese envoys enjoyed boating.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Seoul Han River was faded into the mists of history and cultural taste became extinct as the surrounding got damaged and left unattended due to the incoming population into Seoul, housing problem, measurement․completed policy for flood and for water for living, and other Han River development business and Riverside reclamation development. Thirdly, the pavilion created around Han River in Joseon Dynasty is classified into East(18), South(12), West(35), and the Yangcheon area(10), and marked locations of pavilions on an old map, present age map, and a map recreated in painting. Summaries of the placeness of pavilion by district are as follows. Pavilion of the whole eastern region were created in Jeongotjang and Doomopo region of the north shore of Han River and on the hills of the southern shore across the Doomopo. Large sized pavilions are build in Jeongotjang as in Nakcheonjung, Hwayangjung, and Sungdukjung, and pavilions for military training, formal military inspection, horse farm, and for viewing Han River were established in extensive field. Pavilions are established in high place of the whole southern region of Jeongotjang as in Samhojung and Shimwonjung, and they were also established on the southern shore of river as in Yongyangbongjeojung and Hyosajung. The pavilion of the whole western region were established on the north shore mountain hill as in Damdamjung and Youngbokjung, and they were created on slopes for Mangwonjung case. Pavilions were established on the southern shore for the whole Yangcheon region. As this regions was a significant region in military aspect, it was identified that pavilions were constructed in southern Yeomchang and on mountain hills. Fourthly, for scenic placeness by zone of the pavilion of Han River, there were Junglyangcheon, Chungyecheon, Jeojado, Ipseokpo, and Doomopo surrounded by Wesasan and Naesasan in Eastern region, and they were places for giving farewell parties and for parting. Pavilions in Southern region contained natural elements as Yongsan River sandbank, seagull, and Han River and the waterside cultural landscape as Byeolyoungchang, Dongjakjin, Noryangjin, and Naruteo. The pavilion of Western region were the living culture landscape for marine transportation and Maponaru which was a salted shrimp market, and for sightseeing as Jamdoobong, Sunyoobong, Bam Island, and Yeouido. The pavilion of the whole Yangcheon region were established in places with beautiful natural landscape as Sungsan, Gongam, Gooam, Wesasan, and Gungsan,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y contained complex cultural space characteristics as Hyanggyo, Noojung, and Haengjoosansung. Fifthly, comparisons of the placeness of the past and present of Han River by region are as follows. the ferry in Easter region was for farewell party, parting, and pathway to go to the village in the past, but access became difficult as it got blocked by bridge or streets or as apartments got constructed, and Yongsan, Dongjakjin, and Noryangjin of the southern region were used for ferry but it is used for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bridge for railroad, and streets. The Mapo ferry of Western region was a ferry where people sold salted shrimps, Yeouido was used for sheep and goat ranch and pavilions, and the scenery of a sand bank was beautiful. However, Mapo region is being used for bridge and streets and Yeouido is being used as the governmental center of Republic of Korea. The Yangchon hyanggyo is preserved around pavilions in Yangchon region, and the Gwangju rock is recreated in Gongamjin where the Heoga Rock is after a park and pond were constructed. Sixthly, suggestion for restoration of the placeness of Seoul Han River are as follows. For Eastern reg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Aapgujung of highest stature among pavilions in Han River, and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place as a cultural place as ferry where farewell parties were held. For Southern reg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identity of the region of classical scholars by restoring the placeness in relation to filiar duty as Yongyangbongjeojung and Hyosajung. ③ For the pavilions of Western region, it i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