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서촌지역 골목의 형태 유형 및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Types and Characters of Alley in Seochon District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4, 2015년, pp.63 - 73  

서귀숙 (숭실대학교 실내건축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ley' is the community space as the fundamental living space for local residents and also it's the space which characterize the local community. Research is needed to rediscover the value of alleys which are disappearing due to urban planning. This research focuses on Seochon (current Saejong vi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골목의 형태분류를 분석하고자 한다. 골목의 형태분석은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부분으로 특히, 주민들의 주거가 밀집하는 골목 형태를 분류하고 생활공간으로서 골목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골목배치의 특성 분석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 둘째, 골목의 다양한 지표에 의한 분류는 지속적인 주거지 골목 보존 및 계획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 기반으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즉, 자동차 등이 통과할 수 있는 골목 폭을 갖지만, 교통보다는 사용자 보행이 우선이기 때문에 다수의 세대 또는 다수의 거주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골목의 성격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등의 교통 이동이 우선권을 갖는 일반도로 4 m 이상의 도로 폭을 제외한 1.5 m 이상~4.0 m 미만을 보행자 전용의 골목으로 하였다. 또한, 도로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1.
  • 이는 지역구 또는 서울시에 도면 자료는 있으나 현 골목에 대한 상세한 정량적 데이터가 미흡한 실정으로 소홀하기 쉬운 조사 자료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골목 가치의 의미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향후 지속적 유지를 위한 골목계획 및 활용 방안에 필요한 차별성 있는 기초 자료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즉, 본 연구는 서촌 골목에 대한 실증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한 연구이며, 분석 결과는 서촌골목에 대한 폭, 길이, 골목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로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서촌 각 동의 유사성 및 차이점으로 부터 지역 특성을 도출할 수 있는 골목의 중요성과 지속적인 유지의 필요성 등, 향후 서촌 지역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골목에 대한 시사점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이러한 골목에 대한 활발한 연구들의 공통점은 주민 생활이 공존하는 골목을 재인식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지역과 주민에 의한 공동체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골목의 가치를 재해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획일적인 지역개발계획으로 소멸 가능성이 있는 특히, 역사주거지의 골목 현황을 데이터로 정리하여 향후 골목변화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지역구 또는 서울시에 도면 자료는 있으나 현 골목에 대한 상세한 정량적 데이터가 미흡한 실정으로 소홀하기 쉬운 조사 자료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획일적인 지역개발계획으로 소멸 가능성이 있는 특히, 역사주거지의 골목 현황을 데이터로 정리하여 향후 골목변화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지역구 또는 서울시에 도면 자료는 있으나 현 골목에 대한 상세한 정량적 데이터가 미흡한 실정으로 소홀하기 쉬운 조사 자료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골목 가치의 의미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향후 지속적 유지를 위한 골목계획 및 활용 방안에 필요한 차별성 있는 기초 자료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체부동, 누하동, 통인동은 골목이 가장 많은 지역이며 통과골목보다는 막다른 골목이 많은 지역으로, 또한 한옥 밀집 골목이라는 이들 동의 골목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듯이 서촌은 골목에 의해 주거와 주거가 연결되고 다양한 구성과 배치로 지역 특성을 표출하고 있음을 연구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서촌 골목에 대한 실증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한 연구이며, 분석 결과는 서촌골목에 대한 폭, 길이, 골목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로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서촌 각 동의 유사성 및 차이점으로 부터 지역 특성을 도출할 수 있는 골목의 중요성과 지속적인 유지의 필요성 등, 향후 서촌 지역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골목에 대한 시사점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따라서 골목 현황조사를 기본으로 다음의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골목의 형태분류를 분석하고자 한다. 골목의 형태분석은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부분으로 특히, 주민들의 주거가 밀집하는 골목 형태를 분류하고 생활공간으로서 골목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골목배치의 특성 분석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목의 기능은? 주거지의 개방 공간인 ‘골목’은 지역주민 생활의 기반 이 되는 커뮤니티의 축으로서 지역주민의 주거환경과 라 이프 스타일을 변화시켜주며, 지역의 정체성을 유지·확 립시켜주는 공간이다. 또한, 지역공동체의 연결뿐만 아니 라 지속 가능한 도시 공간계획 및 공공사업을 개발하는 데 촉매의 기능을 수행한다.
골목이 점차 사라지게 된 배경은? 그러나 1980년대 전후 급격한 근대화·산업화·도시화 의 결과, 아파트 단지 중심의 도시계획화에 의하여 좁은 골목들은 사용불편과 청결화를 위해 점차 소멸되었고, 현 재도 도시정비계획 개발에 의해 사라지고 있다. 즉, 골목 이 도시계획 개발 등으로 도로로 변화됨은 지역의 사회 공동체 생활공간 소멸과 주민에 의한 주거문화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서촌의 지역 특성은? 특히, 서촌2)은 건축물의 노후화와 재개발계획, 한옥의 상업화 등으로 음식점, 카페 등으로 사용되고 있어 주거 환경이 악화되고 주거와 함께 공존한 골목이 점차 사라 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역사문화지역으로 경복궁과 도심지인 광화문 및 주변을 중심으로, 조선시대부터 동(洞) 분할이 이루어지고 목조구조인 개량한옥3)의 밀집지역으로 현존하는 귀중한 주거지임과 동시에 역사적 지역이기도 하다. 이러한 서촌의 특성은 재인식되기 시작하여 2010년 경복궁 서측 지구단위계획4)이 시행되어 한옥과 비한옥의 건축물 계획과 관련한 시행지침을 발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oki, Y., Yuasa, Y., & Osaragi, T. (1994). Socio Psychological Effects of Private use in Alley Space. Journal of Archit. Plan. Environ. Engng. (AIJ), 457, 125-132. 

  2. Choi, Y. E., Hong, W. H., & Ha, J. M. (2000). A Study on the Dead-end Street's Characteristics and the Housing Access Types in Residential Area-Case Studies of Daegu-. JAIK Conference Proceedings, 20(1), 371-374. 

  3. Choi, Y. M., Seo, H. L., & Park, S. H. (2011). Walking Destinations and Boundaries of Everyday Lives in Residential Areas. JAIK, 27(8), 91-102. 

  4. Kim, S. I., & Jung, S. W. (2015). Analysis of cul-de-sac permeability factors of residential area impact on the burglar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roceeding of Conference i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5(1), 67-68. 

  5. Kim, K. C. (2011). The World of Alleys. Seoul: Noorbit. 

  6. Lee, S. P., Byun, K. H., & Kim, T. Y. (2013). The Spatial Elements for Community in the old Settlements of Cheongju City. JAIK Conference Proceedings, 33(1), 211-212. 

  7. Masubuchi, T. (2012). Birth of culture from the back-street. Tokyo: Seikyusha. 

  8. Min, M. H., & Suh, K. S. (2010). A Study of the Green Sequence Research Project of the Alley Spaces in Tokyo. KIID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12(1), 39-42. 

  9. Morishige, S., Takada, M., Kanki, K., Emoto, K., Yasueda, H., Kobayasi, A., & Shibasaki, K. (2008). Blind Alley Resident's Community State and Satisfaction in Kyoto City Area. Journal of Housing Research Report (AIJ), 3, 201-208. 

  10. Okada, Y., & Miyazaki, T. (2012). A Study on Community Formation of the Street Space in a Historical Area (1).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1421-1422. 

  11. Omori, S., Morishige, S., Takada, M., Maeda, M., Kim, H., Nishino, L., Murada, S., Kubota, Y., Yamazaki, K., & Wallin, D. (2014). Research on Alleys in Central kyoto City in the Present State.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Kinki Branch, 557-560. 

  12. Park, S. H., Choi, Y. M., Seo, H. L., & Kim, J. H. (2009).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JAIK, 25(8), 253-261. 

  13. Park, S. K., & Moon, J. M. (2015). A Design of the 'Path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JKHA, 26(2), 39-46. 

  14. Radovic, D., & Boontharm, D. (2012). small Tokyo. Tokyo: flickstudio. 

  15. Radovic, D., Boontharm, D., Kuma, K., & Grgic, A. (2012). The Split Case-Density Intensity Resilience-. Tokyo: flickstudio. 

  16. Seo, H. L., Choi, Y. M., & Park, S. H. (2011). An Empirical Study of Walking Amounts and Routes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JAIK, 27(9), 271-281. 

  17. Seoul Design Foundation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lleys -Alley, Discovery-. Seoul Museum of History all Rights Reserved, Seoul: Seoul Design Foundation. 1-126. 

  18. Seoul Design Foundation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lleys. DDP, Seoul: Seoul Design Foundation. 1-87. 

  19. Seoul Design Foundation (2013). Research of alley design in Seoul, Case study of international alley 2012. Seoul: Seoul Design Foundation. 

  20. Seoul Design Foundation (2013). 2012 Seoul design report. Seoul: Seoul Design Foundation. 

  2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0). West regional district unit plan of Gyeongbok Palace.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2. Takagi, M., Morita, T., & Sakata, K. (2010). The Characteristic of Alleys In Kyoto Higashiyama Area and its Contribution to Safety. Journa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AIJ), 75(652), 1349-1354. 

  23. Usugi, K., & Iseki, K. (2010). Design for regeneration of alley. Tokyo: Shokokush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