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중소병원 간호사의 결핵관련 지식과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Knowledge of Tuberculosis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in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원문보기
국 문 초 록 중소병원간호사의 결핵관련 지식과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박은경 지도교수: 정경희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결핵관련지식 및 결핵감염관리 인식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중소병원의 결핵감염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5개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19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김수정(2009)이 개발한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C+ 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
국 문 초 록 중소병원간호사의 결핵관련 지식과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박은경 지도교수: 정경희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결핵관련지식 및 결핵감염관리 인식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중소병원의 결핵감염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5개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19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김수정(2009)이 개발한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C+ 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결핵관련 지식에 대한 평균점수는 13점 만점에 10.63±1.47점이었으며, 평균 정답률은 81.8%이었다. 각 문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90% 이상의 정답률 을 보인 문항은 13개 문항 중 5개 문항이었다. 그 중 결핵약(98.7%)과 결핵환자 의 객담을 채취하는 방법(98.7%)에 대한 문항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가장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결핵환자 격리(19.3%)였다. 2.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76점,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23점으로 인식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았다. 인식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결핵환자는 1인실에 격리한다’(4.88점)와 ‘결핵약은 반드시 환자가 복용하는 것 을 확인한다’(4.88점)이었으며, 인식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결핵환자가 있을 때 모든 직원은 결핵용 특수마스크를 사용한다’(4.64점)이었다. 3.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30개 문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1.954, p<.000).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핵감염관리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핵관련 지식은 결핵감염관리지침 준수여부(t=2.258, p=.027), 격리실 존재여부(t=2.160, p=.032), 흉부방사선촬영의 정기적 시행(t=6.622, p=.036), 병원 내 감염관리실 여부(t=2.376, p=.018)에서, 결핵감염관리 인식도는 평소 근무부서 내 결핵환자관리정도(t=17.027, p<.001), 결핵관련 체계적 교육경험(t=11.250, p=.004), 결핵감염관리지침서 보유여부(t=2.154, p=.036), 결핵감염 관리지침서 읽어본 경험(t=2.648, p=.009),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준수여부(t=2.587, p=.012), 결핵균 전파방지를 위한 보호구 제공(t=2.054, p=.041), 병원감염에 대한 내·외부 1년에 교육 횟수(t=8.869, p=.031)에서, 결핵감염관리 수행도는 평소 근무부서 내 결핵환자 관리정도(t=38.217, p<.000), 결핵환자 발생 시 감염에 대한 나 자신의 안전여부(t=3.219, p=.002), 지난 1년간 결핵환자 간호경험(t=-2.096, p=.037), 결핵관련 체계적 교육경험(t=14.14, p<.001), 결핵감염관리지침서 보유여부(t=4.476, p<.000),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읽어본 경험(t=6.083, p<.000),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준수여부(t=4.522, p<.000), 결핵균 전파방지를 위한 보호구 제공(t=4.682, p<.000), 동료들의 보호구 착용(t=4.981, p<.000),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을 들어본 경험(t=2.259, p=.025), 병원 내 감염관리실 여부 (t=2.923, p=.004), 병원감염에 대한 내·외부적 1년에 교육 횟수(t=4.125, p=.0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uncan 사후검정 결과, 병원 내 감염관리실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수행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1년에 한 번도 병원감염에 대한 내·외부 교육에 참여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에 비해 수행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6.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핵관련 지식은 결핵감염관리 인식도(r=.155) 및 수행도(r=.179)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결핵감염관리 인식도는 수행도(r=.503)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결핵감염관리 수행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결핵감염관리 인식도(β=0.65, p<.000),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참고여부(β=0.44, p<.000), 보호구착용 준수여부(β=0.28, p<.001), 업무량이 매우 많은 경우(β=-0.56, p<.000), 병동 내 결핵환자관리 정도(β=0.21, p=.015), 업무량이 많은 경우(β=-0.19, p=.043)였으며, 변수들의 설명력은 41.8%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소병원 간호사의 결핵관련 지식 수준은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는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므로 각 기관에서는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 사업 실시와 관련된 체계적인 교육 프
국 문 초 록 중소병원간호사의 결핵관련 지식과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박은경 지도교수: 정경희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결핵관련지식 및 결핵감염관리 인식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중소병원의 결핵감염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5개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19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김수정(2009)이 개발한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C+ 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결핵관련 지식에 대한 평균점수는 13점 만점에 10.63±1.47점이었으며, 평균 정답률은 81.8%이었다. 각 문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90% 이상의 정답률 을 보인 문항은 13개 문항 중 5개 문항이었다. 그 중 결핵약(98.7%)과 결핵환자 의 객담을 채취하는 방법(98.7%)에 대한 문항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가장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결핵환자 격리(19.3%)였다. 2.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76점,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23점으로 인식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았다. 인식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결핵환자는 1인실에 격리한다’(4.88점)와 ‘결핵약은 반드시 환자가 복용하는 것 을 확인한다’(4.88점)이었으며, 인식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결핵환자가 있을 때 모든 직원은 결핵용 특수마스크를 사용한다’(4.64점)이었다. 3.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30개 문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1.954, p<.000).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핵감염관리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핵관련 지식은 결핵감염관리지침 준수여부(t=2.258, p=.027), 격리실 존재여부(t=2.160, p=.032), 흉부방사선촬영의 정기적 시행(t=6.622, p=.036), 병원 내 감염관리실 여부(t=2.376, p=.018)에서, 결핵감염관리 인식도는 평소 근무부서 내 결핵환자관리정도(t=17.027, p<.001), 결핵관련 체계적 교육경험(t=11.250, p=.004), 결핵감염관리지침서 보유여부(t=2.154, p=.036), 결핵감염 관리지침서 읽어본 경험(t=2.648, p=.009),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준수여부(t=2.587, p=.012), 결핵균 전파방지를 위한 보호구 제공(t=2.054, p=.041), 병원감염에 대한 내·외부 1년에 교육 횟수(t=8.869, p=.031)에서, 결핵감염관리 수행도는 평소 근무부서 내 결핵환자 관리정도(t=38.217, p<.000), 결핵환자 발생 시 감염에 대한 나 자신의 안전여부(t=3.219, p=.002), 지난 1년간 결핵환자 간호경험(t=-2.096, p=.037), 결핵관련 체계적 교육경험(t=14.14, p<.001), 결핵감염관리지침서 보유여부(t=4.476, p<.000),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읽어본 경험(t=6.083, p<.000),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준수여부(t=4.522, p<.000), 결핵균 전파방지를 위한 보호구 제공(t=4.682, p<.000), 동료들의 보호구 착용(t=4.981, p<.000),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을 들어본 경험(t=2.259, p=.025), 병원 내 감염관리실 여부 (t=2.923, p=.004), 병원감염에 대한 내·외부적 1년에 교육 횟수(t=4.125, p=.0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uncan 사후검정 결과, 병원 내 감염관리실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수행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1년에 한 번도 병원감염에 대한 내·외부 교육에 참여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에 비해 수행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6.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리 인식도 및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핵관련 지식은 결핵감염관리 인식도(r=.155) 및 수행도(r=.179)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결핵감염관리 인식도는 수행도(r=.503)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결핵감염관리 수행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결핵감염관리 인식도(β=0.65, p<.000),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참고여부(β=0.44, p<.000), 보호구착용 준수여부(β=0.28, p<.001), 업무량이 매우 많은 경우(β=-0.56, p<.000), 병동 내 결핵환자관리 정도(β=0.21, p=.015), 업무량이 많은 경우(β=-0.19, p=.043)였으며, 변수들의 설명력은 41.8%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소병원 간호사의 결핵관련 지식 수준은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는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므로 각 기관에서는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 사업 실시와 관련된 체계적인 교육 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