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회상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정서변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그 해결을 위해 과거의 삶을 회상하며 자아인식에 의한 정서변화에 따라 정서적 불안감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으로 삶의 질 향상 되는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전북에 위치한 S요양병원에서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에서 실험 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을 무작위로 할당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 사후, 혼합설계하고, 2014년 1월 15일부터 2014년 4월 2일 까지 주 1회 총 12회기를 지정된 치료실 공간에서 실시하였고, 매 회기마다 치료 시간은 60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에게 사용된 삶의 질의 측정도구는 Neugarten 등(1961)이 개발한 Life Satisfaction Index-A(LSI-A)를 Wood등(1969)이 수정한 도구를 최헌(1997)이 수정한 삶의 질(...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회상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정서변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그 해결을 위해 과거의 삶을 회상하며 자아인식에 의한 정서변화에 따라 정서적 불안감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으로 삶의 질 향상 되는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전북에 위치한 S요양병원에서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에서 실험 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을 무작위로 할당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 사후, 혼합설계하고, 2014년 1월 15일부터 2014년 4월 2일 까지 주 1회 총 12회기를 지정된 치료실 공간에서 실시하였고, 매 회기마다 치료 시간은 60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에게 사용된 삶의 질의 측정도구는 Neugarten 등(1961)이 개발한 Life Satisfaction Index-A(LSI-A)를 Wood등(1969)이 수정한 도구를 최헌(1997)이 수정한 삶의 질(Quality of life) 척도, Snyder등(1997)이 개발한 정서측정도구(The Apparent Emotion (AER) Instrument)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 분석은 Wilcoxon 검증, 대상수가 적기 때문에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 문제가 있을 수가 있으므로 자료의 분포를 전혀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통계분석’, 본 자료에 대하여 정규성 검정 결과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비모수검정(Wilcoxon의 부호순위검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삶의 질에 대한 효과성을 검정해 본 결과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법에서 통계적으로 통제집단은 유 의미하지 않게 나타났고, 실험집단은 유의미하게 나타나 시설 거주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거주 노인에게 회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정서에 대한 효과성을 검정한 결과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법에서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통제집단은 유의미하지 않고, 실험집단은 유의하게 나타나, 회상집단미술치료에 의해서 시설거주 노인에게 심리저 안정감의 향상의 정서적 변화의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에 대한 매체와 매체사용, 참여 및 목적 등을 설명하고 있는 동안에 대상자들이 집중하지 않고 긴장하며 불안한 모습 이였다. 회기 과정에서 초기단계에서는 미술치료 작품작업 참여도가 낮았는데 중기단계에 접어들면서 도입부와 워밍업에서도 적극적인 피드백과 참여를 하고, 또한 미술치료 작품 참여도가 높아 졌다. 그리고 종결단계에서는 연구자와의 이별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기도 했다. 위와 같은 현상에서 나타나 듯 회상 집단미술치료가 정서변화,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요양보호 시설에서 거주하는 초기경증 치매노인 정서변화에 따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 회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 및 장기치료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후속연구가 기대 된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회상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정서변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그 해결을 위해 과거의 삶을 회상하며 자아인식에 의한 정서변화에 따라 정서적 불안감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으로 삶의 질 향상 되는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전북에 위치한 S요양병원에서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에서 실험 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을 무작위로 할당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 사후, 혼합설계하고, 2014년 1월 15일부터 2014년 4월 2일 까지 주 1회 총 12회기를 지정된 치료실 공간에서 실시하였고, 매 회기마다 치료 시간은 60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에게 사용된 삶의 질의 측정도구는 Neugarten 등(1961)이 개발한 Life Satisfaction Index-A(LSI-A)를 Wood등(1969)이 수정한 도구를 최헌(1997)이 수정한 삶의 질(Quality of life) 척도, Snyder등(1997)이 개발한 정서측정도구(The Apparent Emotion (AER) Instrument)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 분석은 Wilcoxon 검증, 대상수가 적기 때문에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 문제가 있을 수가 있으므로 자료의 분포를 전혀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통계분석’, 본 자료에 대하여 정규성 검정 결과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비모수검정(Wilcoxon의 부호순위검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삶의 질에 대한 효과성을 검정해 본 결과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법에서 통계적으로 통제집단은 유 의미하지 않게 나타났고, 실험집단은 유의미하게 나타나 시설 거주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거주 노인에게 회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정서에 대한 효과성을 검정한 결과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법에서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통제집단은 유의미하지 않고, 실험집단은 유의하게 나타나, 회상집단미술치료에 의해서 시설거주 노인에게 심리저 안정감의 향상의 정서적 변화의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에 대한 매체와 매체사용, 참여 및 목적 등을 설명하고 있는 동안에 대상자들이 집중하지 않고 긴장하며 불안한 모습 이였다. 회기 과정에서 초기단계에서는 미술치료 작품작업 참여도가 낮았는데 중기단계에 접어들면서 도입부와 워밍업에서도 적극적인 피드백과 참여를 하고, 또한 미술치료 작품 참여도가 높아 졌다. 그리고 종결단계에서는 연구자와의 이별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기도 했다. 위와 같은 현상에서 나타나 듯 회상 집단미술치료가 정서변화,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요양보호 시설에서 거주하는 초기경증 치매노인 정서변화에 따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 회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 및 장기치료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후속연구가 기대 된다.
Effects of the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on the Sentimen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s who Live in Care Facilities
Lee, Ki-Moon Major in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nd Administration and Culture Woosuk University
ABSTRACT
Effects of the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on the Sentimen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s who Live in Care Facilities
Lee, Ki-Moon Major in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nd Administration and Culture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 Seo, Dong-Suk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nalyze how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affects the sentiment and quality of life of elders who live in c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e group art treatment was to decrease emotional instability, improving self-esteem by recalling one's past and understanding self-awareness. For this research, specific number of people was chosen among the citizens who is over 65 year’s old and is living in S convalescent hospital in Jeonbuk. 11 people were chosen a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11 people were chosen as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predesigned, prodesigned and mixdesigned. Taking place on designated treatment place from January 15, 2014 to April 2, 2014, the program was performed once a week, a total of 12 times. To measure quality of life, Criterion for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dex-A(LSI-A)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by Neugaten et al.(1961) and then revised by Wood(1969) and Choi Hun(1997) were used. Measured data was verified by Wilcoxon's non-parametric test. Since there was not enough number of the people in this experiment, usage of non-parametric test method, which disregards the number of the object, was essential.
The following is research result in brief. First, after testing reminiscence therapy, the control group appeared to be powerles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seemed to be very enthusiastic in Wilcoxon's non-parametric test. It also proved itself to be effective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s who live in care facilities. Second, after testing the effects of emotion in this reminiscence therapy, Wilcoxon's non-parametric test appeared to be effective on experimental group. This experiment proved that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improved elder's mental security. Third, while we explained the main purpose of the art therapy to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they appeared to be nervou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showed very low participation. However, as the experiment continued, participation improved significantly. showing positive attitude with feedback. On the last stage, they showed a sense of gratitude for the researchers. Consequently, we are able to see that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improved mental security and quality of life. On the downside, this art therapy program needs further development for dementia of early stage to improve mental security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needs long-term medical care for them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follow-up study.
ABSTRACT
Effects of the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on the Sentimen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s who Live in Care Facilities
Lee, Ki-Moon Major in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nd Administration and Culture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 Seo, Dong-Suk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nalyze how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affects the sentiment and quality of life of elders who live in c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e group art treatment was to decrease emotional instability, improving self-esteem by recalling one's past and understanding self-awareness. For this research, specific number of people was chosen among the citizens who is over 65 year’s old and is living in S convalescent hospital in Jeonbuk. 11 people were chosen a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11 people were chosen as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predesigned, prodesigned and mixdesigned. Taking place on designated treatment place from January 15, 2014 to April 2, 2014, the program was performed once a week, a total of 12 times. To measure quality of life, Criterion for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dex-A(LSI-A)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by Neugaten et al.(1961) and then revised by Wood(1969) and Choi Hun(1997) were used. Measured data was verified by Wilcoxon's non-parametric test. Since there was not enough number of the people in this experiment, usage of non-parametric test method, which disregards the number of the object, was essential.
The following is research result in brief. First, after testing reminiscence therapy, the control group appeared to be powerles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seemed to be very enthusiastic in Wilcoxon's non-parametric test. It also proved itself to be effective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s who live in care facilities. Second, after testing the effects of emotion in this reminiscence therapy, Wilcoxon's non-parametric test appeared to be effective on experimental group. This experiment proved that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improved elder's mental security. Third, while we explained the main purpose of the art therapy to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they appeared to be nervou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showed very low participation. However, as the experiment continued, participation improved significantly. showing positive attitude with feedback. On the last stage, they showed a sense of gratitude for the researchers. Consequently, we are able to see that reminiscence therapy with group art treatment improved mental security and quality of life. On the downside, this art therapy program needs further development for dementia of early stage to improve mental security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needs long-term medical care for them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follow-up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