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금과 처벌 속에서 성범죄 재소자는 수치심과 저항감으로 치료자를 맞이하고 있다. 교도관은 이 과정을 경계하고 보호하기 위해 항상 치료현장을 계호·참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심리치료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인 예술이 결합된 집단미술치료는 언어 능력을 많이 의지하는 접근들과 달리, 성범죄 재소자들에게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정서적인 표현을 촉진하고 심리적인 고통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으나, 교도소는 정책적인 연구가 아니면 성범죄 재소자와 외부인과의 접촉이 허용되지...
감금과 처벌 속에서 성범죄 재소자는 수치심과 저항감으로 치료자를 맞이하고 있다. 교도관은 이 과정을 경계하고 보호하기 위해 항상 치료현장을 계호·참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심리치료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인 예술이 결합된 집단미술치료는 언어 능력을 많이 의지하는 접근들과 달리, 성범죄 재소자들에게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정서적인 표현을 촉진하고 심리적인 고통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으나, 교도소는 정책적인 연구가 아니면 성범죄 재소자와 외부인과의 접촉이 허용되지 않는 보안과 통제의 장소이다. 이곳에서 교도관은 치료진행을 경계하고 보호하기 위해 성범죄 재소자에게 실시되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석하여 현장의 모든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세밀한 관찰자이자, 대외적으로 중립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협력자로서 교도소와 관련된 모든 체험이 담겨진 존재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범죄 재소자의 집단미술치료를 계호·참관한 교도관의 체험이 담고 있는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범죄 재소자에게 집단미술치료가 실시될 때 계호·참관한 교도관 15명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취 하였고 자료수집이 포화 상태에 이르는 시점에 종료하였다. 또한, 문학 및 예술 작품도 분석 시 참조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1990)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본질적 주제 9개와 하위주제 36개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 내용은, <숱한 외부 강사들과의 만남에서 느껴온 허탈함과 염려가 배어나옴>, <돌발 상황의 모든 책임을 져야하는 압박감속에서 첫 시작을 경계함>, <교육생의 몰입된 미소에 끌려 미술을 탐구하다가 내 자신도 빠져듦>, <돌봄이 필요한 나와 교육생이 모두 집단미술치료를 기다림>, <침묵의 재소자 문화가 진실함으로 뒤바뀜에 숨죽여 참관하게 됨>, <좋은 삶을 꿈꾸며 나누는 사람다움의 동질감을 나눔>, <인간애가 탄력적으로 발휘되어 나의 역할이 고무됨>, <높은 참여와 만족도에 관리자로 인정받고 있음을 느껴 벅차오름>, <미술치료사마다의 다름과 극복하고 싶은 한계들을 털어놓고 싶어짐>이다.
이러한 본질적 주제를 토대로 성범죄 재소자의 집단미술치료를 계호·참관한 교도관의 체험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강사는 교도관이 끊임없이 강조하는 교도소의 규율과 교육생에 대한 이해를 책임감 있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교도관이 교도소 보안과 관련지어 예측한 미술재료의 분실과 저항에 대한 정보는 교도소 전체 치료프로그램의 운영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요소이다. 셋째, 교도관이 집단미술치료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교도관과 교육생의 관계 개선 및 유지뿐만 아니라, 교도관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회복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넷째, 집단미술치료는 현재 시행중인 성범죄 재소자 치료프로그램의 보완점인 비참여적인 성범죄 재소자들을 참여시키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성범죄 재소자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요인은 집단미술치료의 효용성 외에도, 이를 운영하는 미술치료사 개인의 영향력과 관계되므로, 이를 위한 미술치료사의 교육과 훈련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도관으로 하여금 교도소 집단미술치료를 평가 중심이란 인식에서 치료중심으로 이끄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성인 성범죄 재소자의 집단미술치료를 계호·참관한 교도관의 체험을 통해, 관찰자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고, 기관의 입장에 대한 이해 및 성범죄 재소자의 참여적인 치료를 돕는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는 미술치료분야 외에도, 교도소 및 성범죄 재소자와 관련된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에게 치료 현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후속 연구로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는 성범죄 재소자의 다양한 대상 즉, 장애인, 노인, 청소년의 직접적인 체험 연구와 이들의 사전·사후 변화를 계량화하여 객관성을 추가할 수 있는 정량화된 연구를 제안하며, 이를 위한 정부기관의 정책적인 연구지원과 연구자들의 노력을 함께 기대한다.
감금과 처벌 속에서 성범죄 재소자는 수치심과 저항감으로 치료자를 맞이하고 있다. 교도관은 이 과정을 경계하고 보호하기 위해 항상 치료현장을 계호·참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심리치료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인 예술이 결합된 집단미술치료는 언어 능력을 많이 의지하는 접근들과 달리, 성범죄 재소자들에게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정서적인 표현을 촉진하고 심리적인 고통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으나, 교도소는 정책적인 연구가 아니면 성범죄 재소자와 외부인과의 접촉이 허용되지 않는 보안과 통제의 장소이다. 이곳에서 교도관은 치료진행을 경계하고 보호하기 위해 성범죄 재소자에게 실시되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석하여 현장의 모든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세밀한 관찰자이자, 대외적으로 중립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협력자로서 교도소와 관련된 모든 체험이 담겨진 존재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범죄 재소자의 집단미술치료를 계호·참관한 교도관의 체험이 담고 있는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범죄 재소자에게 집단미술치료가 실시될 때 계호·참관한 교도관 15명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취 하였고 자료수집이 포화 상태에 이르는 시점에 종료하였다. 또한, 문학 및 예술 작품도 분석 시 참조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1990)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본질적 주제 9개와 하위주제 36개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 내용은, <숱한 외부 강사들과의 만남에서 느껴온 허탈함과 염려가 배어나옴>, <돌발 상황의 모든 책임을 져야하는 압박감속에서 첫 시작을 경계함>, <교육생의 몰입된 미소에 끌려 미술을 탐구하다가 내 자신도 빠져듦>, <돌봄이 필요한 나와 교육생이 모두 집단미술치료를 기다림>, <침묵의 재소자 문화가 진실함으로 뒤바뀜에 숨죽여 참관하게 됨>, <좋은 삶을 꿈꾸며 나누는 사람다움의 동질감을 나눔>, <인간애가 탄력적으로 발휘되어 나의 역할이 고무됨>, <높은 참여와 만족도에 관리자로 인정받고 있음을 느껴 벅차오름>, <미술치료사마다의 다름과 극복하고 싶은 한계들을 털어놓고 싶어짐>이다.
이러한 본질적 주제를 토대로 성범죄 재소자의 집단미술치료를 계호·참관한 교도관의 체험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강사는 교도관이 끊임없이 강조하는 교도소의 규율과 교육생에 대한 이해를 책임감 있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교도관이 교도소 보안과 관련지어 예측한 미술재료의 분실과 저항에 대한 정보는 교도소 전체 치료프로그램의 운영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요소이다. 셋째, 교도관이 집단미술치료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교도관과 교육생의 관계 개선 및 유지뿐만 아니라, 교도관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회복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넷째, 집단미술치료는 현재 시행중인 성범죄 재소자 치료프로그램의 보완점인 비참여적인 성범죄 재소자들을 참여시키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성범죄 재소자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요인은 집단미술치료의 효용성 외에도, 이를 운영하는 미술치료사 개인의 영향력과 관계되므로, 이를 위한 미술치료사의 교육과 훈련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도관으로 하여금 교도소 집단미술치료를 평가 중심이란 인식에서 치료중심으로 이끄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성인 성범죄 재소자의 집단미술치료를 계호·참관한 교도관의 체험을 통해, 관찰자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고, 기관의 입장에 대한 이해 및 성범죄 재소자의 참여적인 치료를 돕는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는 미술치료분야 외에도, 교도소 및 성범죄 재소자와 관련된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에게 치료 현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후속 연구로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는 성범죄 재소자의 다양한 대상 즉, 장애인, 노인, 청소년의 직접적인 체험 연구와 이들의 사전·사후 변화를 계량화하여 객관성을 추가할 수 있는 정량화된 연구를 제안하며, 이를 위한 정부기관의 정책적인 연구지원과 연구자들의 노력을 함께 기대한다.
Sex offenders in prison, who meet a therapist, have a sense of shame and resistance to imprisonment and punishment. To watch and protect this process, prison officers observe and take safe custody of therapeutic practice all the time. In such a situation, group art therapy that combines psychotherap...
Sex offenders in prison, who meet a therapist, have a sense of shame and resistance to imprisonment and punishment. To watch and protect this process, prison officers observe and take safe custody of therapeutic practice all the time. In such a situation, group art therapy that combines psychotherapy and art, which is a basic right for human beings, is increasingly applied since it induces the prisoners to make nonverbal interaction, promoting emotional expression and relieving psychological distress, contrary to those approaches dependent heavily on language competence. Although the need of research on this issue has been suggested, a prison is a place of security and control that permits no contact between sex offenders there and visitors without policy research. Here, a prison officer is not only present at group art therapy practice with sex offenders in prison, observing all the situations closely to watch and protecting the therapeutic process, but also serves as an externally neutral and reliable cooperator with all the experiences related to the pri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for prison offers observing and taking safe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Fifteen prison officers who observed and took safe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4. I record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to the point of saturation. In addition, literary and artistic works were collected for reference in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ax van Manen's (1990)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obtaining the results in 9 main themes and 36 sub-areas: 'feeling empty and concerned about the meeting with numerous outside therapists,' 'watching out the start under pressur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all unexpected situations,' 'getting involved while exploring art due to the prisoner's smile with absorption,' 'both the prisoner requiring care and I waiting for group art therapy,' 'observing carefully while prisoners' culture shifts from silence to truth,' 'sharing a sense of identity with humanity while dreaming and sharing a good lives,' 'my role being promoted by demonstration of humanity,' 'getting full of happiness, feeling recognized as a supervisor due to high level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feeling like confessing the differences among art therapists and limitations I hope to overcome.'
On the basis of these main themes, this study on the prison officers' experience of observing and taking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outside therapists need to accept the responsibility for understanding disciplines and sex offenders in prison that officers constantly emphasize. Second, information about loss of art materials and resistance that prison officers predicted in relation to security in prison during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is an element necessary to keep the therapy program being implemented safely across the prison. Third, prison officers' personal participation in group art therapy can give them a chance to take care of themselves as well as to improve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nd prisoners. Fourth, group art therapy can stimulate participation of sex offenders in prison, who are un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current therapeutic programs for sex offenders in prison,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Fifth, since the factors for promoting changes among sex offenders in prison are related to the personal influence of art therapists as well as to usefulness of group art therapy, it is necessary to give art therapists education and training concerning these factors. Sixth, it is necessary to allow prison officers to shift their awareness of group art therapy from assessment-centeredness to therapy-centeredness.
Through the experiences of prison officers observing and taking safe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bserver-based research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institutions and for promoting participatory therapy of sex offenders in prison.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assist many experts in those areas related to prisons and sex offenders in prison to understand therapeutic practice in addition to the art therapy area.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nvestigate personal experiences of various victims of those sex offenders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disabled persons, elders, and adolescents―and qua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for them to make the results more objective. To do this, the government bodies' strategic assistance for research as well as researchers' efforts are required.
Sex offenders in prison, who meet a therapist, have a sense of shame and resistance to imprisonment and punishment. To watch and protect this process, prison officers observe and take safe custody of therapeutic practice all the time. In such a situation, group art therapy that combines psychotherapy and art, which is a basic right for human beings, is increasingly applied since it induces the prisoners to make nonverbal interaction, promoting emotional expression and relieving psychological distress, contrary to those approaches dependent heavily on language competence. Although the need of research on this issue has been suggested, a prison is a place of security and control that permits no contact between sex offenders there and visitors without policy research. Here, a prison officer is not only present at group art therapy practice with sex offenders in prison, observing all the situations closely to watch and protecting the therapeutic process, but also serves as an externally neutral and reliable cooperator with all the experiences related to the pri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for prison offers observing and taking safe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Fifteen prison officers who observed and took safe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4. I record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to the point of saturation. In addition, literary and artistic works were collected for reference in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ax van Manen's (1990)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obtaining the results in 9 main themes and 36 sub-areas: 'feeling empty and concerned about the meeting with numerous outside therapists,' 'watching out the start under pressur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all unexpected situations,' 'getting involved while exploring art due to the prisoner's smile with absorption,' 'both the prisoner requiring care and I waiting for group art therapy,' 'observing carefully while prisoners' culture shifts from silence to truth,' 'sharing a sense of identity with humanity while dreaming and sharing a good lives,' 'my role being promoted by demonstration of humanity,' 'getting full of happiness, feeling recognized as a supervisor due to high level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feeling like confessing the differences among art therapists and limitations I hope to overcome.'
On the basis of these main themes, this study on the prison officers' experience of observing and taking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outside therapists need to accept the responsibility for understanding disciplines and sex offenders in prison that officers constantly emphasize. Second, information about loss of art materials and resistance that prison officers predicted in relation to security in prison during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is an element necessary to keep the therapy program being implemented safely across the prison. Third, prison officers' personal participation in group art therapy can give them a chance to take care of themselves as well as to improve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nd prisoners. Fourth, group art therapy can stimulate participation of sex offenders in prison, who are un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current therapeutic programs for sex offenders in prison,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Fifth, since the factors for promoting changes among sex offenders in prison are related to the personal influence of art therapists as well as to usefulness of group art therapy, it is necessary to give art therapists education and training concerning these factors. Sixth, it is necessary to allow prison officers to shift their awareness of group art therapy from assessment-centeredness to therapy-centeredness.
Through the experiences of prison officers observing and taking safe custo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x offenders in prison,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bserver-based research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institutions and for promoting participatory therapy of sex offenders in prison.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assist many experts in those areas related to prisons and sex offenders in prison to understand therapeutic practice in addition to the art therapy area.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nvestigate personal experiences of various victims of those sex offenders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disabled persons, elders, and adolescents―and qua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for them to make the results more objective. To do this, the government bodies' strategic assistance for research as well as researchers' efforts are required.
Keyword
#집단미술치료
#성범죄
#교도관
#재소자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