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키보드 합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신입 수형자의 우울과 사회적 유대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 장기복역을 앞둔 수형자의 우울예방 및 초기 교정시설 적응을 돕는 교정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Y시 S교도소에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매 월 이송된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초범 남성 수형자이며, 교정시설의 상황에 따라 통제집단은 설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매월 신입 수형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집중인성교육 과정의 5회기 단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매 월 입소한 수형자 기수에 따라 주 1회 각 90분, 5회기 씩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그룹은 4기, 총 참여 인원은 60명으로, 사전 검사를 거부한 6명을 제외하고, 54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에 의거한 연구와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키보드 앙상블 활동이 수형자의 우울 및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 척도(Beck’s ...
본 연구는 키보드 합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신입 수형자의 우울과 사회적 유대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 장기복역을 앞둔 수형자의 우울예방 및 초기 교정시설 적응을 돕는 교정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Y시 S교도소에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매 월 이송된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초범 남성 수형자이며, 교정시설의 상황에 따라 통제집단은 설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매월 신입 수형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집중인성교육 과정의 5회기 단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매 월 입소한 수형자 기수에 따라 주 1회 각 90분, 5회기 씩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그룹은 4기, 총 참여 인원은 60명으로, 사전 검사를 거부한 6명을 제외하고, 54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에 의거한 연구와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키보드 앙상블 활동이 수형자의 우울 및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 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와 사회적 유대감 척도(The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Social Assurance Scale)에 의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의 우울(t=5.384, p<.001) 점수는 사전 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따라서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는 수형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참여자의 사회적 유대감(t=-3.220, p<.01) 점수는 사전 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는 수형자의 사회적 유대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우울 사전 검사의 중등도·고도 우울자의 경우, 음악치료 후의 우울 (t=5.600, p<.0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비우울과 경도 우울자의 경우와 비교해 평균 차이가 더욱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중등도·고도 우울자의 사회적 유대감 점수는 사후 검사 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우울 사전 검사의 비우울·경도 우울자의 경우, 우울(t=3.168, p<.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유대감(t=-2.744, p<.01) 점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그룹 전체의 사전 우울 검사에서는, 총점 9점 이하의 비우울자가 23명(42.6%), 10점-15점의 경도 우울자가 14명(25.9%), 16점-23점의 중등도 우울자는 9명(16.7%), 24점 이상의 고도 우울자는 8명(14.8%)으로 나타났다. 사후 우울 검사에서는 비우울자가 32명(59.3%), 경도 우울자는 11명(20.4%), 중등도 우울자는 7명(13.0%), 고도 우울자는 4명(7.4%)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고도 우울자가 4명, 중도 우울자가 2명, 경도 우울자가 3명 줄어들어 음악치료 후 수형자 그룹의 우울자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가 자유 기술한 응답을 토대로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 만족도 요인을 내용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31.5%가 체험적 음악활동 및 음악 자체의 즐거움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29.6%가 동료와 친해지는 계기(사회적 유대감 증진), 22.2%가 마음 안정(우울 감소)이라고 대답하였다. 본 연구는 신입 수형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집중인성교육 과정에 적용되어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가 수형자의 우울 감소 및 사회적 유대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가 장기복역을 앞둔 신입 수형자의 우울을 예방하고 초기 교정시설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키보드 합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신입 수형자의 우울과 사회적 유대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 장기복역을 앞둔 수형자의 우울예방 및 초기 교정시설 적응을 돕는 교정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Y시 S교도소에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매 월 이송된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초범 남성 수형자이며, 교정시설의 상황에 따라 통제집단은 설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매월 신입 수형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집중인성교육 과정의 5회기 단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매 월 입소한 수형자 기수에 따라 주 1회 각 90분, 5회기 씩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그룹은 4기, 총 참여 인원은 60명으로, 사전 검사를 거부한 6명을 제외하고, 54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에 의거한 연구와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키보드 앙상블 활동이 수형자의 우울 및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 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와 사회적 유대감 척도(The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Social Assurance Scale)에 의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의 우울(t=5.384, p<.001) 점수는 사전 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따라서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는 수형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참여자의 사회적 유대감(t=-3.220, p<.01) 점수는 사전 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는 수형자의 사회적 유대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우울 사전 검사의 중등도·고도 우울자의 경우, 음악치료 후의 우울 (t=5.600, p<.0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비우울과 경도 우울자의 경우와 비교해 평균 차이가 더욱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중등도·고도 우울자의 사회적 유대감 점수는 사후 검사 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우울 사전 검사의 비우울·경도 우울자의 경우, 우울(t=3.168, p<.01)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유대감(t=-2.744, p<.01) 점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그룹 전체의 사전 우울 검사에서는, 총점 9점 이하의 비우울자가 23명(42.6%), 10점-15점의 경도 우울자가 14명(25.9%), 16점-23점의 중등도 우울자는 9명(16.7%), 24점 이상의 고도 우울자는 8명(14.8%)으로 나타났다. 사후 우울 검사에서는 비우울자가 32명(59.3%), 경도 우울자는 11명(20.4%), 중등도 우울자는 7명(13.0%), 고도 우울자는 4명(7.4%)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고도 우울자가 4명, 중도 우울자가 2명, 경도 우울자가 3명 줄어들어 음악치료 후 수형자 그룹의 우울자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가 자유 기술한 응답을 토대로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 만족도 요인을 내용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31.5%가 체험적 음악활동 및 음악 자체의 즐거움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29.6%가 동료와 친해지는 계기(사회적 유대감 증진), 22.2%가 마음 안정(우울 감소)이라고 대답하였다. 본 연구는 신입 수형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집중인성교육 과정에 적용되어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가 수형자의 우울 감소 및 사회적 유대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키보드 앙상블 중심의 음악치료가 장기복역을 앞둔 신입 수형자의 우울을 예방하고 초기 교정시설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keyboard ensemble activity, prison inmates correction program, was applied to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in order to lear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risoner’s depression and social bond. Al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with keyb...
In this study, keyboard ensemble activity, prison inmates correction program, was applied to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in order to lear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risoner’s depression and social bond. Al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with keyboard ensemble activity as correction program which helps prisoners serving long-term sentence to adapt to the correction facilities at the beginning and prevent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le prisoners who were aged from 20 to 59 and transferred to S prison located in Y city of Gyeonggi-do from October of 2015 to January of 2016 as first-time offenders. This study was applied to one month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process for new prisoners every month and was composed of short-term program of 5 s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policies of correction facilities. It was not possible to set statistical group due to operation of correction facilities and 5 sessions of keyboard ensemble activities were initiated with the group of male prisoners entering prison from October of 2015 to January of 2016 every month.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ting group was 4 with personnel of 60 people and all participants were set up as a single group. Excluding 6 participants who denied pre-test, 54 participants were set up as final sample and the research as well as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ingle group pre-post design’. Keyboard ensemble activities were coordinated each month, once a week, each section composed of 90 minutes with total of 5 sessions for 4 month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risoner’s depression and social bond, Beck’s Depression Inventory measure was utilized and pre/post inspection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Assurance scale was carried out, respectively. To validate the effects of activities, Paired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participants going through music therapy program, depression (t = 5.384, p <.001), sub- factors of negative attitudes (t = 4.686, p <.001) and performance difficulty (t = 4.522, p .05). Post-test scores of social connectedness (t = -3.220, p <.01) were significantly higher statistically than the pre-test scores. Therefore, effects can be shown as, music therapy program relieves depression and negative attitudes which are sub-factors, reduces performance difficulties and improves social connectedness. This study verified and confirmed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which was applied to prisoners in correction program by showing that keyboard ensemble focused music therapy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relieving depression and improving social connectedn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prisoners who entered the prison within one month and participated in correction program also known as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process. Therefore, this keyboard ensemble centered music therapy will suggest that it can prevent depression of prisoners who will be serving long-term sentence and help them to adapt to the correction facility at early time so could be applied as an effective way to help mediate.
In this study, keyboard ensemble activity, prison inmates correction program, was applied to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in order to lear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risoner’s depression and social bond. Al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with keyboard ensemble activity as correction program which helps prisoners serving long-term sentence to adapt to the correction facilities at the beginning and prevent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le prisoners who were aged from 20 to 59 and transferred to S prison located in Y city of Gyeonggi-do from October of 2015 to January of 2016 as first-time offenders. This study was applied to one month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process for new prisoners every month and was composed of short-term program of 5 s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policies of correction facilities. It was not possible to set statistical group due to operation of correction facilities and 5 sessions of keyboard ensemble activities were initiated with the group of male prisoners entering prison from October of 2015 to January of 2016 every month.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ting group was 4 with personnel of 60 people and all participants were set up as a single group. Excluding 6 participants who denied pre-test, 54 participants were set up as final sample and the research as well as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ingle group pre-post design’. Keyboard ensemble activities were coordinated each month, once a week, each section composed of 90 minutes with total of 5 sessions for 4 month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risoner’s depression and social bond, Beck’s Depression Inventory measure was utilized and pre/post inspection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Assurance scale was carried out, respectively. To validate the effects of activities, Paired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participants going through music therapy program, depression (t = 5.384, p <.001), sub- factors of negative attitudes (t = 4.686, p <.001) and performance difficulty (t = 4.522, p .05). Post-test scores of social connectedness (t = -3.220, p <.01) were significantly higher statistically than the pre-test scores. Therefore, effects can be shown as, music therapy program relieves depression and negative attitudes which are sub-factors, reduces performance difficulties and improves social connectedness. This study verified and confirmed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which was applied to prisoners in correction program by showing that keyboard ensemble focused music therapy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relieving depression and improving social connectedn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prisoners who entered the prison within one month and participated in correction program also known as intensive personality education process. Therefore, this keyboard ensemble centered music therapy will suggest that it can prevent depression of prisoners who will be serving long-term sentence and help them to adapt to the correction facility at early time so could be applied as an effective way to help mediat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