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 on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원문보기
본 연구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개발하고 개발한 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A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24, 비교집단:24)이며 무선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배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평균 월령은 65.4 개월이었으며, 두 집단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도구는 유아 운동능력 척도(MPTYC)와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도구, 그리기 표상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처치 이전에 집단 간의 동질성을 입증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14년 6월 23일부터 7월 18일까지 4주 동안 매주 3회 총 1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 활동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 이후에는 사전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
본 연구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개발하고 개발한 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A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24, 비교집단:24)이며 무선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배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평균 월령은 65.4 개월이었으며, 두 집단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도구는 유아 운동능력 척도(MPTYC)와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도구, 그리기 표상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처치 이전에 집단 간의 동질성을 입증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14년 6월 23일부터 7월 18일까지 4주 동안 매주 3회 총 1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 활동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 이후에는 사전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을 통해 사전 검사에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마찬가지로 독립표본 t-검증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운동능력 점수가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활동을 제공하였던 비교집단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둘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언어능력 점수가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활동을 제공하였던 비교집단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그리기표상능력 점수가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활동을 제공하였던 비교집단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증진에 효과적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개발하고 개발한 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A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24, 비교집단:24)이며 무선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배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평균 월령은 65.4 개월이었으며, 두 집단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도구는 유아 운동능력 척도(MPTYC)와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도구, 그리기 표상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처치 이전에 집단 간의 동질성을 입증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14년 6월 23일부터 7월 18일까지 4주 동안 매주 3회 총 1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 활동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 이후에는 사전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을 통해 사전 검사에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마찬가지로 독립표본 t-검증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운동능력 점수가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활동을 제공하였던 비교집단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둘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언어능력 점수가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활동을 제공하였던 비교집단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그리기표상능력 점수가 동화에 기초한 그리기활동을 제공하였던 비교집단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증진에 효과적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동화에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desig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a fairy tale but also to analyze how developed activities would affect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estab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desig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a fairy tale but also to analyze how developed activities would affect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established research inquiries as follows. First, how would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influence a motor ability of young children? Second, how would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ork on a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Third, how would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ffect a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tudy selected a total of 48 young children (24 in an experimental group, 24 in a comparative group) at the age of five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in K city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by wireless. The average monthly age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65.4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wo groups. By using Motor Proficiency Test for Young Children (MPTYC), KOSECT and a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the study measured the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Before starting an experiment, the study conducted a pretest to prov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earch subjects participated in a total of 12 sessions of the experiment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from June 23 of 2014 to July 18. The experimental group joined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provided with chances to do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After the experiment finished, the study conducted a posttest as how it did with the pretest. In regard to collected research data, the study confirmed the two groups’ homogeneity in advance through the t-test and as working 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carry out the posttest,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Findings that the study had gain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research injur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came up with motor ability scor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of the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As far as the study assumes.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a factor to effectively improve the children’ motor ability. Second of all, the study found out that language abili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volved in the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As a consequence, the study argues that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orks effectively on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ird, it was observ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joining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of the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Such result led the study to understand that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good at effectively increasing the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for the last time that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have effective influences on how the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re impro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desig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a fairy tale but also to analyze how developed activities would affect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established research inquiries as follows. First, how would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influence a motor ability of young children? Second, how would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ork on a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Third, how would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ffect a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tudy selected a total of 48 young children (24 in an experimental group, 24 in a comparative group) at the age of five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in K city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by wireless. The average monthly age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65.4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wo groups. By using Motor Proficiency Test for Young Children (MPTYC), KOSECT and a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the study measured the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Before starting an experiment, the study conducted a pretest to prov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earch subjects participated in a total of 12 sessions of the experiment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from June 23 of 2014 to July 18. The experimental group joined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provided with chances to do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After the experiment finished, the study conducted a posttest as how it did with the pretest. In regard to collected research data, the study confirmed the two groups’ homogeneity in advance through the t-test and as working 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carry out the posttest,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Findings that the study had gain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research injur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came up with motor ability scor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of the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As far as the study assumes.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a factor to effectively improve the children’ motor ability. Second of all, the study found out that language abili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volved in the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As a consequence, the study argues that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orks effectively on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ird, it was observ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joining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of the fairy tale-based drawing activities. Such result led the study to understand that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good at effectively increasing the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for the last time that the fairy tale-bas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have effective influences on how the children’s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re improv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