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과학교육 접근법으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첫째, 만 3세 교실 현장관찰, 만 3세반 담임교사들과의 면담, 문헌고찰을 통해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근거로 과학교육 활동을 구성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1-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할 것인가? 1-3.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 표현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4.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문제 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각각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문제 Ⅰ에서는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만 3세 교실 현장관찰, 만 3세반 담임교사들과의 면담을 하였으며,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추출 •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은 ‘주변 세계에 호기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과학을 탐구하고, 자신이 경험한 과학의 과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 목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주변의 사물과 자연에 대해 과학적 관심을 갖는다. 둘째,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 탐구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셋째, 과학과정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신체를 이용하여 과학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본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 프로그램에서 과학과 신체의 연계원리는 ‘발견한 것 표현하기’, ‘변화과정 표현하기’, ‘비교하며 표현하기’로, 교수-학습단계를 과학적 관심 갖기 - 과학 탐구하기 – 신체로 과학경험 표현하기 3단계로 선정하였다. ‘과학적 관심 갖기’ 단계는 유아들이 주변의 여러 사물과 자연의 동식물을 주의깊게 살펴보고,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자신의 오감각을 이용해서 탐색하며 과학적으로 관심을 갖는 단계이며, ‘과학 탐구’ 단계는 유아들이 과학적으로 관심갖는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호기심을 유지하며 탐구하는 과정이다. 마지막 ‘신체로 과학경험 표현하기’ 단계는 유아들이 자신의 탐구과정 경험과 그 속에서 인식한 과학개념, 현상을 신체로 표현하는 단계이다. 이 때 유아의 과학탐구경험과 신체표현이 연계되는 원리로 ‘발견한 것 표현하기’, ‘변화과정 표현하기’, ‘비교하며 표현하기’가 적용되었다. 연구문제 Ⅱ에서는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2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2012년 4월 9일부터 7월 1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주 1회씩 14주에 걸쳐 총 14개의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각 회당 1,2차시로 구분되어 총 28번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이 실시되었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가 계획안 생활주제에 따른 과학활동이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는 호기심 검사를 위해 이석순(1986)이 사용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한 이나희(2001)의 ‘호기심 검사도구’가 사용되었고, 과학과정기술 검사도구로는 Martin(1999)이 제시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남기원(2001)이 수정한 ‘과학과정기술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창의적 신체표현 겸사도구로는 김은심(1995)이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었다.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과학교육 접근법으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첫째, 만 3세 교실 현장관찰, 만 3세반 담임교사들과의 면담, 문헌고찰을 통해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근거로 과학교육 활동을 구성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1-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할 것인가? 1-3.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 표현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4.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문제 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각각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문제 Ⅰ에서는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만 3세 교실 현장관찰, 만 3세반 담임교사들과의 면담을 하였으며,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추출 •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은 ‘주변 세계에 호기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과학을 탐구하고, 자신이 경험한 과학의 과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 목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주변의 사물과 자연에 대해 과학적 관심을 갖는다. 둘째,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 탐구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셋째, 과학과정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신체를 이용하여 과학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본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 프로그램에서 과학과 신체의 연계원리는 ‘발견한 것 표현하기’, ‘변화과정 표현하기’, ‘비교하며 표현하기’로, 교수-학습단계를 과학적 관심 갖기 - 과학 탐구하기 – 신체로 과학경험 표현하기 3단계로 선정하였다. ‘과학적 관심 갖기’ 단계는 유아들이 주변의 여러 사물과 자연의 동식물을 주의깊게 살펴보고,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자신의 오감각을 이용해서 탐색하며 과학적으로 관심을 갖는 단계이며, ‘과학 탐구’ 단계는 유아들이 과학적으로 관심갖는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호기심을 유지하며 탐구하는 과정이다. 마지막 ‘신체로 과학경험 표현하기’ 단계는 유아들이 자신의 탐구과정 경험과 그 속에서 인식한 과학개념, 현상을 신체로 표현하는 단계이다. 이 때 유아의 과학탐구경험과 신체표현이 연계되는 원리로 ‘발견한 것 표현하기’, ‘변화과정 표현하기’, ‘비교하며 표현하기’가 적용되었다. 연구문제 Ⅱ에서는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2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2012년 4월 9일부터 7월 1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주 1회씩 14주에 걸쳐 총 14개의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각 회당 1,2차시로 구분되어 총 28번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이 실시되었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가 계획안 생활주제에 따른 과학활동이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는 호기심 검사를 위해 이석순(1986)이 사용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한 이나희(2001)의 ‘호기심 검사도구’가 사용되었고, 과학과정기술 검사도구로는 Martin(1999)이 제시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남기원(2001)이 수정한 ‘과학과정기술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창의적 신체표현 겸사도구로는 김은심(1995)이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었다.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또는 공분산분석(ANC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호기심에 대한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호기심의 하위요소인 미지선호와 탐색행동에 있어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과학과정기술의 총점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과학과정기술의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론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총점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하위요소인 ‘동작의 다양성’, ‘동작의 방향성’, ‘동작의 시간성’, ‘동작의 흐름변화’, 동작의 표현성‘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 3세를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교육현장적용결과, 본 프로그램은 만 3세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결과인 만큼,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은 만 3세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과학교육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과학교육 접근법으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첫째, 만 3세 교실 현장관찰, 만 3세반 담임교사들과의 면담, 문헌고찰을 통해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근거로 과학교육 활동을 구성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1-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할 것인가? 1-3.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 표현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4.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문제 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각각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문제 Ⅰ에서는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만 3세 교실 현장관찰, 만 3세반 담임교사들과의 면담을 하였으며,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추출 •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은 ‘주변 세계에 호기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과학을 탐구하고, 자신이 경험한 과학의 과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 목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주변의 사물과 자연에 대해 과학적 관심을 갖는다. 둘째,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 탐구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셋째, 과학과정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신체를 이용하여 과학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본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 프로그램에서 과학과 신체의 연계원리는 ‘발견한 것 표현하기’, ‘변화과정 표현하기’, ‘비교하며 표현하기’로, 교수-학습단계를 과학적 관심 갖기 - 과학 탐구하기 – 신체로 과학경험 표현하기 3단계로 선정하였다. ‘과학적 관심 갖기’ 단계는 유아들이 주변의 여러 사물과 자연의 동식물을 주의깊게 살펴보고,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자신의 오감각을 이용해서 탐색하며 과학적으로 관심을 갖는 단계이며, ‘과학 탐구’ 단계는 유아들이 과학적으로 관심갖는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호기심을 유지하며 탐구하는 과정이다. 마지막 ‘신체로 과학경험 표현하기’ 단계는 유아들이 자신의 탐구과정 경험과 그 속에서 인식한 과학개념, 현상을 신체로 표현하는 단계이다. 이 때 유아의 과학탐구경험과 신체표현이 연계되는 원리로 ‘발견한 것 표현하기’, ‘변화과정 표현하기’, ‘비교하며 표현하기’가 적용되었다. 연구문제 Ⅱ에서는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2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2012년 4월 9일부터 7월 1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주 1회씩 14주에 걸쳐 총 14개의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각 회당 1,2차시로 구분되어 총 28번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이 실시되었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가 계획안 생활주제에 따른 과학활동이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는 호기심 검사를 위해 이석순(1986)이 사용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한 이나희(2001)의 ‘호기심 검사도구’가 사용되었고, 과학과정기술 검사도구로는 Martin(1999)이 제시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남기원(2001)이 수정한 ‘과학과정기술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창의적 신체표현 겸사도구로는 김은심(1995)이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었다.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또는 공분산분석(ANC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호기심에 대한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호기심의 하위요소인 미지선호와 탐색행동에 있어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과학과정기술의 총점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과학과정기술의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론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총점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하위요소인 ‘동작의 다양성’, ‘동작의 방향성’, ‘동작의 시간성’, ‘동작의 흐름변화’, 동작의 표현성‘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 3세를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의 교육현장적용결과, 본 프로그램은 만 3세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결과인 만큼,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은 만 3세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과학교육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and examine its effects. The program was for 3 year old children considering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t was developed through three methods: observation of 3 year old classroom, interview with teach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and examine its effects. The program was for 3 year old children considering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t was developed through three methods: observation of 3 year old classroom, interview with teachers of 3 year old class, literature review. Activities were developed to compose the program, which was applied to preschool class to examine its effects. Research questions were belows, I.How is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s organized? I-1. How are the aims of the program set up? I-2.How ar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elected and organized? I-3. How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program applied? I-4. How is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II. How are the effects of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s? II-1. How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curiosity? II-2. How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II-3. How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as belows. To examine research question I,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s was developed: observation of 3 year old classroom, interview with teachers of 3 year old clas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and the key element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The program purposed 'actively explore a child's environment with curiosity and increase his/her ability to express science process which he/she experienced'. This was specified into four aims: first, having interests in physical and natural environments; second, active participation to science exploration process with curiosity; third, appropriate use of science process skills; fourth, physical expression of idea and thoughts of science. The principles of the connection science to body were 'express things found", 'express changing process' 'express with comparison'.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ed of 3 steps: having interests in science - exploring science - expressing scientific experience with body. 'Having interests in science' included activities in which young children observed things, animals and plants and exploring environments using their five senses. 'Exploring science' involved activities in which young children curiously explored objects or situations they were interested in. 'Expressing scientific experience with body' contained activities that young children represented their perception about scientific concepts, and phenomena which they had experienced during exploring process; in this stage, the principles of the connection science to body, 'express things found', 'express changing process' and 'express with comparison' were used. To investigate research question II,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curios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were examined. 40 3 year old children (experiment group:20; control group:20) participated. The program was operated once a week for fourteen weeks, from April 9th to July 13th in 2012. During the period, fourteen activities were performed: each activity consisted of two sessions, and 28 sessions were performed in total. In experiment group,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were applied. In control group general science activities based on teacher's curriculum were performed. To examine children's curiosity, 'curiosity test' (Lee Na-hui, 2001, revised version of Lee suk-sun, 1986)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test' (Nam Ki-won, 2001 revised from Martin, 1999) was used. For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est' (Kim Eun-sim, 1995) was applied. Pre-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tests or ANC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re were three main results. First, a total score of curio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Also, scores of sub-elements of curiosity, 'preference to unknown worlds', 'exploring behavior', were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Second, a total score of science process ski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Scores of 'observation', 'categorization', 'assessment', 'prediction', 'inference' as sub-elements of science process skills were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but a score of 'communic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a total score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Scores of 'variety of movement', 'direction of movement', 'sequence of movement', 'flow of movement', and 'expression of movement' as sub-elements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were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 children improved children's curios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science education for 3 year old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and examine its effects. The program was for 3 year old children considering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t was developed through three methods: observation of 3 year old classroom, interview with teachers of 3 year old class, literature review. Activities were developed to compose the program, which was applied to preschool class to examine its effects. Research questions were belows, I.How is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s organized? I-1. How are the aims of the program set up? I-2.How ar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elected and organized? I-3. How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program applied? I-4. How is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II. How are the effects of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s? II-1. How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curiosity? II-2. How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II-3. How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as belows. To examine research question I,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s was developed: observation of 3 year old classroom, interview with teachers of 3 year old clas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and the key element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The program purposed 'actively explore a child's environment with curiosity and increase his/her ability to express science process which he/she experienced'. This was specified into four aims: first, having interests in physical and natural environments; second, active participation to science exploration process with curiosity; third, appropriate use of science process skills; fourth, physical expression of idea and thoughts of science. The principles of the connection science to body were 'express things found", 'express changing process' 'express with comparison'.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ed of 3 steps: having interests in science - exploring science - expressing scientific experience with body. 'Having interests in science' included activities in which young children observed things, animals and plants and exploring environments using their five senses. 'Exploring science' involved activities in which young children curiously explored objects or situations they were interested in. 'Expressing scientific experience with body' contained activities that young children represented their perception about scientific concepts, and phenomena which they had experienced during exploring process; in this stage, the principles of the connection science to body, 'express things found', 'express changing process' and 'express with comparison' were used. To investigate research question II,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curios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were examined. 40 3 year old children (experiment group:20; control group:20) participated. The program was operated once a week for fourteen weeks, from April 9th to July 13th in 2012. During the period, fourteen activities were performed: each activity consisted of two sessions, and 28 sessions were performed in total. In experiment group,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were applied. In control group general science activities based on teacher's curriculum were performed. To examine children's curiosity, 'curiosity test' (Lee Na-hui, 2001, revised version of Lee suk-sun, 1986)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test' (Nam Ki-won, 2001 revised from Martin, 1999) was used. For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est' (Kim Eun-sim, 1995) was applied. Pre-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tests or ANC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re were three main results. First, a total score of curio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Also, scores of sub-elements of curiosity, 'preference to unknown worlds', 'exploring behavior', were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Second, a total score of science process ski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Scores of 'observation', 'categorization', 'assessment', 'prediction', 'inference' as sub-elements of science process skills were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but a score of 'communic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a total score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Scores of 'variety of movement', 'direction of movement', 'sequence of movement', 'flow of movement', and 'expression of movement' as sub-elements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were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physical expression for 3 year old children improved children's curios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science education for 3 year old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