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예술과 오락적 기능 외에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사회 고발 영화의 경우에는 그런 정치적 특성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도가니>와 이를 통해 생산된 미디어 담론, 그리고 사회적인 실천 행동 등에 주목하고 이를 독해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화 〈도가니〉는 어떠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의미를 생산하며 특정한 독해를 유도하는가? 1-1 영화 텍스트의 서사는 어떠한 구조와 의미 생성 과정 을 통해 어떤 메시지를 유도하고 전달하는가? 1-2 영화 텍스트의 영상은 어떠한 ...
영화는 예술과 오락적 기능 외에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사회 고발 영화의 경우에는 그런 정치적 특성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도가니>와 이를 통해 생산된 미디어 담론, 그리고 사회적인 실천 행동 등에 주목하고 이를 독해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화 〈도가니〉는 어떠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의미를 생산하며 특정한 독해를 유도하는가? 1-1 영화 텍스트의 서사는 어떠한 구조와 의미 생성 과정 을 통해 어떤 메시지를 유도하고 전달하는가? 1-2 영화 텍스트의 영상은 어떠한 미장센과 몽타주 의 특징을 통해 어떤 의미를 구성하는가? · 연구문제2. 영화 〈도가니〉로부터 파생된 미디어 담론은 어떤 내용과 형태를 통해 분포,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실적 변화 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2-1. 영화 〈도가니〉를 통해 형성된 미디어 담론의 특징과 의 미는 무엇인가? 2-2. 영화 〈도가니〉에 대한 논란 이후에 발생한 법, 제도 변 화의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문제3. 영화 〈도가니〉 상영 이후 발생한 사회적 변화를 포괄하는 ‘도가니 현상’이 갖는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문제1을 해결하기 위해 영화 텍스트 <도가니>에 대해 서사분석과 영상분석을 시도하였다. 서사분석은 그레마스(Greimas)의 의미생성행로분석을, 영상분석은 미장센과 몽타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2를 해결하기위해 영화 <도가니〉로부터 생겨난 미디어 담론과 법, 제도에 관한 실천행위를 분석했다. 연구문제3을 해결하기 위해 라캉(Lacan)의 정신분석학이론과 개념을 적용해 해석을 실시했다.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화 텍스트는 심층수준에서 '억압'의 의미범주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기호-설화구조와 연결되어 설화 프로그램에서 주도성(主導性)이란 대상을 이접-연접하는 관계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행위자 모델은 영화 관객을 주체로 영화가 결여하고 있는 사회적 정의라는 대상을 욕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나아가 설화도식은 주인공이 자격시련을 거치고 결정시련에서 실패함으로써 결정시련과 영광시련을 관객에게 위임하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담화수준에서는 관객에게 현실에서의 결정시련이 이뤄지는 이상공간을 찾을 것을 촉구하고 있었다. 그럼으로써 영화가 해결과제에 대한 지시와 수행을 관객에게 요청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상 이미지 분석에서 '거울 이미지', '착각 이미지', '난국 상태의 이미지'를 분석했는데 이들은 혼란과 정체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몽타주 분석에서는 텍스트에서 비유, 환기, 추적, 수평적 교차편집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어 관객으로 하여금 몰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객이 등장인물인 인호와 동일시를 하면서 영화 밖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촉구하고 있었다. <연구문제 2>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화 〈도가니〉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에서는 영화 〈도가니〉가 상영된 2011년 9월 22일부터 ‘도가니’ 법안이 국회를 통과한 10월 28일까지의 미디어 담론들을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즉 1)영화 텍스트와 관련된 담론, 2)피해자에 관련된 담론, 3)법과 제도에 관련된 담론, 4)인화학교 사건에 대한 조사 및 처벌 담론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법, 제도 변경에 관한 실천 분석에서는 '도가니 법' 국회통과일인 2011년 10월 29일부터 2012년 10월 30일까지의 미디어 담론들을 다루고 있다. 이는 1)법과 제도 개정에 대한 담론, 2)처벌에 관한 담론, 3)문화현상으로서의 '도가니'에 대한 담론으로 나눌 수 있었다. <연구 문제3>의 분석 결과는 영화가 관객 주체로 하여금 현실의 법, 제도 개정에 동참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관객은 영화가 부여한 과제를 욕망하고 이를 완성하기 위해 법과 제도 개정에 동참하게 된다. 하지만 법이라는 형식적 규범만을 다시 수립한 결과에 머무르고 만다. 결론적으로 영화 <도가니>가 파생한 미디어담론과 법, 제도 개정 등은 사회적 환상이자 이데올로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는 영화의 사회고발 능력이 갖는 실천의 한계라고 파악된다. 법, 제도의 외형적 개선보다 주체의 각성과 변화의 노력은 도외시되고 있었다.
영화는 예술과 오락적 기능 외에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사회 고발 영화의 경우에는 그런 정치적 특성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도가니>와 이를 통해 생산된 미디어 담론, 그리고 사회적인 실천 행동 등에 주목하고 이를 독해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화 〈도가니〉는 어떠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의미를 생산하며 특정한 독해를 유도하는가? 1-1 영화 텍스트의 서사는 어떠한 구조와 의미 생성 과정 을 통해 어떤 메시지를 유도하고 전달하는가? 1-2 영화 텍스트의 영상은 어떠한 미장센과 몽타주 의 특징을 통해 어떤 의미를 구성하는가? · 연구문제2. 영화 〈도가니〉로부터 파생된 미디어 담론은 어떤 내용과 형태를 통해 분포,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실적 변화 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2-1. 영화 〈도가니〉를 통해 형성된 미디어 담론의 특징과 의 미는 무엇인가? 2-2. 영화 〈도가니〉에 대한 논란 이후에 발생한 법, 제도 변 화의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문제3. 영화 〈도가니〉 상영 이후 발생한 사회적 변화를 포괄하는 ‘도가니 현상’이 갖는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문제1을 해결하기 위해 영화 텍스트 <도가니>에 대해 서사분석과 영상분석을 시도하였다. 서사분석은 그레마스(Greimas)의 의미생성행로분석을, 영상분석은 미장센과 몽타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2를 해결하기위해 영화 <도가니〉로부터 생겨난 미디어 담론과 법, 제도에 관한 실천행위를 분석했다. 연구문제3을 해결하기 위해 라캉(Lacan)의 정신분석학이론과 개념을 적용해 해석을 실시했다.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화 텍스트는 심층수준에서 '억압'의 의미범주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기호-설화구조와 연결되어 설화 프로그램에서 주도성(主導性)이란 대상을 이접-연접하는 관계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행위자 모델은 영화 관객을 주체로 영화가 결여하고 있는 사회적 정의라는 대상을 욕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나아가 설화도식은 주인공이 자격시련을 거치고 결정시련에서 실패함으로써 결정시련과 영광시련을 관객에게 위임하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담화수준에서는 관객에게 현실에서의 결정시련이 이뤄지는 이상공간을 찾을 것을 촉구하고 있었다. 그럼으로써 영화가 해결과제에 대한 지시와 수행을 관객에게 요청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상 이미지 분석에서 '거울 이미지', '착각 이미지', '난국 상태의 이미지'를 분석했는데 이들은 혼란과 정체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몽타주 분석에서는 텍스트에서 비유, 환기, 추적, 수평적 교차편집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어 관객으로 하여금 몰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객이 등장인물인 인호와 동일시를 하면서 영화 밖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촉구하고 있었다. <연구문제 2>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화 〈도가니〉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에서는 영화 〈도가니〉가 상영된 2011년 9월 22일부터 ‘도가니’ 법안이 국회를 통과한 10월 28일까지의 미디어 담론들을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즉 1)영화 텍스트와 관련된 담론, 2)피해자에 관련된 담론, 3)법과 제도에 관련된 담론, 4)인화학교 사건에 대한 조사 및 처벌 담론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법, 제도 변경에 관한 실천 분석에서는 '도가니 법' 국회통과일인 2011년 10월 29일부터 2012년 10월 30일까지의 미디어 담론들을 다루고 있다. 이는 1)법과 제도 개정에 대한 담론, 2)처벌에 관한 담론, 3)문화현상으로서의 '도가니'에 대한 담론으로 나눌 수 있었다. <연구 문제3>의 분석 결과는 영화가 관객 주체로 하여금 현실의 법, 제도 개정에 동참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관객은 영화가 부여한 과제를 욕망하고 이를 완성하기 위해 법과 제도 개정에 동참하게 된다. 하지만 법이라는 형식적 규범만을 다시 수립한 결과에 머무르고 만다. 결론적으로 영화 <도가니>가 파생한 미디어담론과 법, 제도 개정 등은 사회적 환상이자 이데올로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는 영화의 사회고발 능력이 갖는 실천의 한계라고 파악된다. 법, 제도의 외형적 개선보다 주체의 각성과 변화의 노력은 도외시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ay attention to a movie 〈Silenced〉, the media discourses derived from the movie and the social practices; and to read these. For this, three subjects for inquiry were set: · Subject 1. Through what structural features does the movie 〈Silenced〉produce meanings and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ay attention to a movie 〈Silenced〉, the media discourses derived from the movie and the social practices; and to read these. For this, three subjects for inquiry were set: · Subject 1. Through what structural features does the movie 〈Silenced〉produce meanings and attract a particular reading? · Subject 2. Through what content and form is the media discourse derived from〈Silenced〉spreading and how has the realistic change been made through this? · Subject 3. What implications does the phenomenon of 〈Silenced〉, which embraces social change that has occurred since the show of 〈Silenced〉, have? To resolve the Subject 1, this research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and an image analysis of the film text 〈Silenced〉. The narrative analysis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Greimas’ generative trajectory of signification; and the image analysis conducted analyses of mise-en-scène and montage. To resolve the Subject 2, this research analyzed media discourses produced from 〈Silenced〉 and practices about the law and institution. To resolve the Subject 3, this research applied J. Lacan’s psychoanalysis and its concept and carried out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bject 1 are as follows: The film text had a semantic category of ‘oppression’ at the deep level. This was connected to the semiotic narrative structure and was understood as a relation of disjunction-conjunction about an object of initiative in the narrative program. The actant model was inducing cinema audiences to desire an object of social justice in which the film is lacking, with audiences as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e Subject 2 are as follows: In the media discourse analysis of 〈Silenced〉, media discourses from Sept. 22, 2011, when 〈Silenced〉was shown, to Oct. 28, when the 〈Silenced〉 bill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could be divided into 4: 1) a discourse related to the film text; 2) a discourse related to the victim; 3) a discourse related to the law and institution; 4) and a discourse related to investigation into and punishment for the incidents in Gwangju Inhwa School. The analysis of practice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 deals with media discourses from Oct. 29, 2011, when the〈Silenced〉Act passed the Parliament, to Oct. 30, 2012. The discourses could be divided into: 1) a discourse regarding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2) a discourse regarding punishment; and 3) a discourse regarding〈Silenced〉as a cultural phenomen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 3, the movie induced the subject, the audience, to take part in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To conclude, media discourses and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derived from ‘Silenced’ were working as a social illusion and an ideolog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ay attention to a movie 〈Silenced〉, the media discourses derived from the movie and the social practices; and to read these. For this, three subjects for inquiry were set: · Subject 1. Through what structural features does the movie 〈Silenced〉produce meanings and attract a particular reading? · Subject 2. Through what content and form is the media discourse derived from〈Silenced〉spreading and how has the realistic change been made through this? · Subject 3. What implications does the phenomenon of 〈Silenced〉, which embraces social change that has occurred since the show of 〈Silenced〉, have? To resolve the Subject 1, this research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and an image analysis of the film text 〈Silenced〉. The narrative analysis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Greimas’ generative trajectory of signification; and the image analysis conducted analyses of mise-en-scène and montage. To resolve the Subject 2, this research analyzed media discourses produced from 〈Silenced〉 and practices about the law and institution. To resolve the Subject 3, this research applied J. Lacan’s psychoanalysis and its concept and carried out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bject 1 are as follows: The film text had a semantic category of ‘oppression’ at the deep level. This was connected to the semiotic narrative structure and was understood as a relation of disjunction-conjunction about an object of initiative in the narrative program. The actant model was inducing cinema audiences to desire an object of social justice in which the film is lacking, with audiences as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e Subject 2 are as follows: In the media discourse analysis of 〈Silenced〉, media discourses from Sept. 22, 2011, when 〈Silenced〉was shown, to Oct. 28, when the 〈Silenced〉 bill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could be divided into 4: 1) a discourse related to the film text; 2) a discourse related to the victim; 3) a discourse related to the law and institution; 4) and a discourse related to investigation into and punishment for the incidents in Gwangju Inhwa School. The analysis of practice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 deals with media discourses from Oct. 29, 2011, when the〈Silenced〉Act passed the Parliament, to Oct. 30, 2012. The discourses could be divided into: 1) a discourse regarding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2) a discourse regarding punishment; and 3) a discourse regarding〈Silenced〉as a cultural phenomen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 3, the movie induced the subject, the audience, to take part in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To conclude, media discourses and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derived from ‘Silenced’ were working as a social illusion and an ideolog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