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교육훈련 유형이 숙련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물 종합관리 기술직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of training on skills and job attitudes : A case of building management workers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유형에 따른 숙련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숙련을 통한 기업의 성과 향상과 근로자의 숙련과 직무태도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건물 종합관리를 하는 기업의 14개 사업장에 근무하는 기술직 사원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7일부터 5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3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답변 32부를 제외한 1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육훈련의 요인 중 숙련수준은 부(-)의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의 요인 중 현장학습 교육이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숙련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유형에 따른 숙련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숙련을 통한 기업의 성과 향상과 근로자의 숙련과 직무태도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건물 종합관리를 하는 기업의 14개 사업장에 근무하는 기술직 사원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7일부터 5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3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답변 32부를 제외한 1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육훈련의 요인 중 숙련수준은 부(-)의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의 요인 중 현장학습 교육이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숙련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학습 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직무태도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직무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장학습교육, 자율학습교육, 부서자체교육은 교육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둘째, 숙련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체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직무태도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학습교육, 부서자체교육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에서도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체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이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체교육, 부서자체교육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비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이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학습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비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이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장학습교육, 부서자체교육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근로자 직무의 숙련 요건을 높이기 위해 기업이 고용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공식적인 회사 차원의 교육을 통해 직무의 숙련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직원들의 숙련 수준 및 직무태도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질적 업무 수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전적으로 기업의 적극적인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유형에 따른 숙련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숙련을 통한 기업의 성과 향상과 근로자의 숙련과 직무태도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건물 종합관리를 하는 기업의 14개 사업장에 근무하는 기술직 사원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7일부터 5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3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답변 32부를 제외한 1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육훈련의 요인 중 숙련수준은 부(-)의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의 요인 중 현장학습 교육이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숙련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학습 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직무태도가 낮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직무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장학습교육, 자율학습교육, 부서자체교육은 교육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둘째, 숙련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체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직무태도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훈련은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학습교육, 부서자체교육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에서도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체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이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체교육, 부서자체교육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비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이 숙련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학습교육은 숙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비정규직 집단에 대한 교육이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장학습교육, 부서자체교육은 직무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근로자 직무의 숙련 요건을 높이기 위해 기업이 고용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공식적인 회사 차원의 교육을 통해 직무의 숙련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직원들의 숙련 수준 및 직무태도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질적 업무 수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전적으로 기업의 적극적인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type on proficiency and job attitude: With a focus on the technical posts in a building management fi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training on proficiency and job attitudes. With this study, w...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type on proficiency and job attitude: With a focus on the technical posts in a building management fi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training on proficiency and job attitudes. With this study, we seek to suggest ameliorating firm performance via workers’ proficiency, and some methods by which workers’ proficiency and job attitudes can be improved.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echnical workers in 14 business locations of a building management firm primarily overseeing Seoul and Geonggi region, from May 7, 2014 to May 20, 2014.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which 32 questionnaires were eliminated for insincere or incomplete answers. Thus, we analyzed 198 questionnaire using SPSS 18.0.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field-training (a sub-factor of educational trai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and field training (a sub-factor of educational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s. First, in a group of workers with low proficiency, edu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In particular, self-motivated lear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Moreover, in a group of workers with low job attitudes, edu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In particular, field training, self-motivated learning, and departmental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raining outcome. Second, in a group of workers with high proficiency, edu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Particularly, cluster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Furthermore, educational train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in a group of workers with high job attitude as well. Most notably, self-motivated learning and departmental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job attitude.
Education for the permanent employee gro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In particular, cluster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In addition, education for the permanent employe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s. In particular, cluster education and departmental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job attitudes. Likewise, education for the temporary employe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with self-motivated learning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roficiency. By the same token, education for the temporary employee gro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s, with field training and departmental training having positive effects on job attitudes.
This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firms ought to increase employment stability to boost employees’ job proficiency. The results indicating that an official company-incorporated training increases job proficiencies in workers call for a consistent educational training in firms to enhance productivity. Thes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tailored to the levels of proficiency and job attitudes of employees for a more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actual field.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irms ought to invest more aggressively on human resources.
Key words: educational training, proficiency, job attitude, building management technical posts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type on proficiency and job attitude: With a focus on the technical posts in a building management fi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training on proficiency and job attitudes. With this study, we seek to suggest ameliorating firm performance via workers’ proficiency, and some methods by which workers’ proficiency and job attitudes can be improved.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echnical workers in 14 business locations of a building management firm primarily overseeing Seoul and Geonggi region, from May 7, 2014 to May 20, 2014.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which 32 questionnaires were eliminated for insincere or incomplete answers. Thus, we analyzed 198 questionnaire using SPSS 18.0.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field-training (a sub-factor of educational trai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and field training (a sub-factor of educational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s. First, in a group of workers with low proficiency, edu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In particular, self-motivated lear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Moreover, in a group of workers with low job attitudes, edu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In particular, field training, self-motivated learning, and departmental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raining outcome. Second, in a group of workers with high proficiency, edu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proficiency. Particularly, cluster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Furthermore, educational train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in a group of workers with high job attitude as well. Most notably, self-motivated learning and departmental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job attitude.
Education for the permanent employee gro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In particular, cluster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In addition, education for the permanent employe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s. In particular, cluster education and departmental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job attitudes. Likewise, education for the temporary employe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ficiency level, with self-motivated learning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roficiency. By the same token, education for the temporary employee gro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s, with field training and departmental training having positive effects on job attitudes.
This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firms ought to increase employment stability to boost employees’ job proficiency. The results indicating that an official company-incorporated training increases job proficiencies in workers call for a consistent educational training in firms to enhance productivity. Thes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tailored to the levels of proficiency and job attitudes of employees for a more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actual field.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irms ought to invest more aggressively on human resources.
Key words: educational training, proficiency, job attitude, building management technical pos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