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교육훈련에 있어서 교육훈련 구성요소인‘직무관련성’, ‘교수능력’, ‘교육방법’, ‘목표설정’ 변인 및 환경요인인 ‘기술적 지원’, ‘상사의 지원’, ‘조직의 보상’ 변인과 교육훈련 성과 차원의 ‘현업활용도’ 간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직급, 학력, 근속기간)에 따른 현업활용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교육훈련 구성요소’ 및 ‘환경요인’과 ‘현업활용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
본 연구는 기업교육훈련에 있어서 교육훈련 구성요소인‘직무관련성’, ‘교수능력’, ‘교육방법’, ‘목표설정’ 변인 및 환경요인인 ‘기술적 지원’, ‘상사의 지원’, ‘조직의 보상’ 변인과 교육훈련 성과 차원의 ‘현업활용도’ 간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직급, 학력, 근속기간)에 따른 현업활용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교육훈련 구성요소’ 및 ‘환경요인’과 ‘현업활용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교육훈련 구성요소 및 환경요인의 변인들이 현업활용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변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동시입력방식(enter)의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업활용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훈련 구성요소 및 환경요인의 모든 변인들을 대상으로 단계입력방식(stepwise)의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K은행 영업점에 근무하고 있는 1,0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설문에 응답한 235명의 설문결과가 최종적으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육훈련 구성요소인 ‘직무관련성’, ‘교수능력’, ‘교육방법’, ‘목표설정’ 변인이 ‘현업활용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교육훈련프로그램 설계가 잘 이루어질수록 현업활용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환경요인인‘기술적 지원’, 상사의 지원’, ‘조직의 보상’ 변인도 현업활용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훈련참가 후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분위기가 현업활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한편, 교육훈련 구성요소 중 ‘직무관련성’, ‘목표설정’ 변인과 환경요인 중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보상’ 변인이 현업활용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구성요소와 환경요인이 직무상황에서 현업활용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교육훈련담당자는 현업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또한 조직의 교육훈련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교육훈련에 있어서 교육훈련 구성요소인‘직무관련성’, ‘교수능력’, ‘교육방법’, ‘목표설정’ 변인 및 환경요인인 ‘기술적 지원’, ‘상사의 지원’, ‘조직의 보상’ 변인과 교육훈련 성과 차원의 ‘현업활용도’ 간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직급, 학력, 근속기간)에 따른 현업활용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교육훈련 구성요소’ 및 ‘환경요인’과 ‘현업활용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교육훈련 구성요소 및 환경요인의 변인들이 현업활용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변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동시입력방식(enter)의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업활용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훈련 구성요소 및 환경요인의 모든 변인들을 대상으로 단계입력방식(stepwise)의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K은행 영업점에 근무하고 있는 1,0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설문에 응답한 235명의 설문결과가 최종적으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육훈련 구성요소인 ‘직무관련성’, ‘교수능력’, ‘교육방법’, ‘목표설정’ 변인이 ‘현업활용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교육훈련프로그램 설계가 잘 이루어질수록 현업활용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환경요인인‘기술적 지원’, 상사의 지원’, ‘조직의 보상’ 변인도 현업활용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훈련참가 후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분위기가 현업활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한편, 교육훈련 구성요소 중 ‘직무관련성’, ‘목표설정’ 변인과 환경요인 중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보상’ 변인이 현업활용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구성요소와 환경요인이 직무상황에서 현업활용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교육훈련담당자는 현업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또한 조직의 교육훈련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mponents(job relevance, trainer’s ability, training method, goal setting), environmental factors(technical support, manager support, compensation of organization) and behavior relating to performance of training programs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mponents(job relevance, trainer’s ability, training method, goal setting), environmental factors(technical support, manager support, compensation of organization) and behavior relating to performance of training programs in the field of corporate training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of all, t-Test and analysis of one-way layout variance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position, school career, seniority). Next,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mponents, environmental factors and behavi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enter’ type was used to check whether training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useful to predict behavior.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epwise’ type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ve impact of behavior with training components and all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for 1,034 employees working for K Bank were made up. The sample was consisted in 235 employees replied the questionnaires, and was used actu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turned out to b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mponents(job relevance, trainer’s ability, training method, goal setting) and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better design of training programs, the greater behavior. Also, the fact that manager support and atmosphere of organization after the training programs have influence on behavior is 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technical support, manager support, compensation of organization) and behavior.
On the other hand, ‘job relevance’, ‘goal setting’ variables in training components and ‘manager support’, ‘compensation of organization’ variables in environmental factors are useful in order to predict behavior.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training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useful to predict behavior on the job. Therefore staff in charge of training program would have to make an effort to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design training programs and to improve training environment of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mponents(job relevance, trainer’s ability, training method, goal setting), environmental factors(technical support, manager support, compensation of organization) and behavior relating to performance of training programs in the field of corporate training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of all, t-Test and analysis of one-way layout variance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position, school career, seniority). Next,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mponents, environmental factors and behavi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enter’ type was used to check whether training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useful to predict behavior.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epwise’ type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ve impact of behavior with training components and all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for 1,034 employees working for K Bank were made up. The sample was consisted in 235 employees replied the questionnaires, and was used actu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turned out to b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mponents(job relevance, trainer’s ability, training method, goal setting) and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better design of training programs, the greater behavior. Also, the fact that manager support and atmosphere of organization after the training programs have influence on behavior is 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technical support, manager support, compensation of organization) and behavior.
On the other hand, ‘job relevance’, ‘goal setting’ variables in training components and ‘manager support’, ‘compensation of organization’ variables in environmental factors are useful in order to predict behavior.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training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useful to predict behavior on the job. Therefore staff in charge of training program would have to make an effort to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design training programs and to improve training environment of organiz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