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기존 시뮬레이션 학습을 보완하고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별도의 수업시간 확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기존 프로그램과의 학습효과를 비교•검증함으로써 간호교육 분야에서의 시스템 사고기반 학습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은 ...
본 연구는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기존 시뮬레이션 학습을 보완하고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별도의 수업시간 확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기존 프로그램과의 학습효과를 비교•검증함으로써 간호교육 분야에서의 시스템 사고기반 학습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은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 분석, 현장조사,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학습자 분석, 과제 분석 및 환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 간호 통합시뮬레이션 학습 설계를 위해 Jeffries(2005)의 시뮬레이션 모델과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기 위한 교과통합적 사고교육 수업모형을 교수전략으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 학생 활동지, PPT 자료 등을 개발하여 예비 운영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정련화한 후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군에게는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대조군에게는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일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67명으로 중재 적용 기간은 2013년 11월 17일 ~ 12월 14일까지 4주간이었으며, 중재 전•후에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사전에는 일반적 특성, 시스템 사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사후에는 시스템 사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와 임상수행 능력의 관찰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이론적 틀과 분석내용을 근거로 하여 울혈성 심부전 환자 간호를 주제로 학습목표 및 전략을 선정하고 전문가와의 토의과정을 거쳐 각 단계별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2.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시스템 사고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시스템 사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t=2.26~3.82, p=.030~p<.001). 2) 제 2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비판적 사고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군의 비판적 사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3) 제 3 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문제해결 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문제해결 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5.04, p=.028). 4) 제 4 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임상수행 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임상수행 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2.12, p=.038).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간호학생의 시스템 사고, 문제해결 능력, 임상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서의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간호 교과과정을 통합한 최초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으며, 추후 다양한 교과과정에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기존 시뮬레이션 학습을 보완하고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별도의 수업시간 확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기존 프로그램과의 학습효과를 비교•검증함으로써 간호교육 분야에서의 시스템 사고기반 학습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은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 분석, 현장조사,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학습자 분석, 과제 분석 및 환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 간호 통합시뮬레이션 학습 설계를 위해 Jeffries(2005)의 시뮬레이션 모델과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기 위한 교과통합적 사고교육 수업모형을 교수전략으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 학생 활동지, PPT 자료 등을 개발하여 예비 운영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정련화한 후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군에게는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대조군에게는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일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67명으로 중재 적용 기간은 2013년 11월 17일 ~ 12월 14일까지 4주간이었으며, 중재 전•후에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사전에는 일반적 특성, 시스템 사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사후에는 시스템 사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와 임상수행 능력의 관찰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이론적 틀과 분석내용을 근거로 하여 울혈성 심부전 환자 간호를 주제로 학습목표 및 전략을 선정하고 전문가와의 토의과정을 거쳐 각 단계별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2.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시스템 사고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시스템 사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t=2.26~3.82, p=.030~p<.001). 2) 제 2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비판적 사고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군의 비판적 사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3) 제 3 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문제해결 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문제해결 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5.04, p=.028). 4) 제 4 가설: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연구 학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임상수행 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임상수행 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2.12, p=.038).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 사고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간호학생의 시스템 사고, 문제해결 능력, 임상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서의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간호 교과과정을 통합한 최초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으며, 추후 다양한 교과과정에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a system thinking-based simulation program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 care.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hases: developing the program and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evaluation were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a system thinking-based simulation program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 care.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hases: developing the program and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evaluation were 6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from S Nursing College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four-hour system thinking program and a two-hour simulation program,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a four-hour case study and a two-hour simulation program.
Results System think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2.26~3.82, p=.030~p<.001).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in both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methods (F=3.26, p=.076).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difference being significant (F=5.04, p=.028). Clinical competency ski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2.12, p=.038).
Conclusion System thinking-based simulation program is a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system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y skills compared to the existing simulation program.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perform a longitudinal study across the intervention effect, and apply the nursing curriculum.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a system thinking-based simulation program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 care.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hases: developing the program and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evaluation were 6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from S Nursing College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four-hour system thinking program and a two-hour simulation program,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a four-hour case study and a two-hour simulation program.
Results System think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2.26~3.82, p=.030~p<.001).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in both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methods (F=3.26, p=.076).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difference being significant (F=5.04, p=.028). Clinical competency ski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2.12, p=.038).
Conclusion System thinking-based simulation program is a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system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y skills compared to the existing simulation program.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perform a longitudinal study across the intervention effect, and apply the nursing curriculu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