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로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는 서로 어떤 상관을 보이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는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로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는 서로 어떤 상관을 보이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는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 지역의 12개 초등학교 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 효능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연령에 따른 교사 효능감은 연령이 많은 교사가 20대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직무만족도도 차이가 없으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인 발전성, 혁신성, 자율성에서 연령이 많은 교사가 20대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서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은 경력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교규모별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서 20학급 이하에 근무하는 교사가 학급수가 많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교사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셋째,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가 종속변인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독립변인인 교사 효능감이 종속변인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어 사회적 지지가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함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사회가 교사를 존중하고 그들의 능력을 인정해 줌으로써 교사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교사의 직무만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로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는 서로 어떤 상관을 보이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는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 지역의 12개 초등학교 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 효능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연령에 따른 교사 효능감은 연령이 많은 교사가 20대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직무만족도도 차이가 없으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인 발전성, 혁신성, 자율성에서 연령이 많은 교사가 20대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서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은 경력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교규모별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서 20학급 이하에 근무하는 교사가 학급수가 많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교사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셋째,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가 종속변인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독립변인인 교사 효능감이 종속변인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어 사회적 지지가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함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사회가 교사를 존중하고 그들의 능력을 인정해 줌으로써 교사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교사의 직무만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