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요약
극형상화에 대한 연출방법론 연구
- 존 스타인벡의 <생쥐와 인간> 공연을 중심으로 -
원 춘 규
연극학과 연극전공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연극 공연은 연출가에게 있어 그 자신의 세계관의 구체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연출가는 의도하던 의도하지 않던 공연을 통해 이야기를 전하는 과정 중에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스스로 드러내게 된다. 물론 영화감독이나 드라마 프로듀서도 스크린과 ...
* 국문요약
극형상화에 대한 연출방법론 연구
- 존 스타인벡의 <생쥐와 인간> 공연을 중심으로 -
원 춘 규
연극학과 연극전공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연극 공연은 연출가에게 있어 그 자신의 세계관의 구체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연출가는 의도하던 의도하지 않던 공연을 통해 이야기를 전하는 과정 중에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스스로 드러내게 된다. 물론 영화감독이나 드라마 프로듀서도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통해 이야기를 전한다. 그렇지만 그 작업의 결과물이 항상 그의 세계관을 나타낸다고는 말할 수 없다. 오히려 영화감독이나 드라마 프로듀서가 만들어낸 작업의 결과물은 개인의 세계관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대중이 듣고 싶은 이야기를 해야 하는 그 작업의 속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와 달리 연극 작업의 연출가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개인의 세계관이 그 작업의 결과물에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연 결과물을 토대로 희곡의 무대화 과정을 분석하여 연출가의 세계관이 투영된 극형상화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연출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하여 출발하였다.
연출가에 의해 제시된 작품의 의도와 방향을 선명하게 형상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희곡과 배우, 그리고 공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작품연구를 통해 작가의 생애와 희곡 안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배경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무대화 과정은 ‘이미지’를 통한 희곡 연구와 ‘기호’로서의 배우 연구, ‘이화효과’를 위한 공간의 활용으로 나누어 알아보도록 하겠다.
희곡을 선정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작품의 주제가 연출의 의도와 동일한 선상에서 있다는 점에서 배우를 선정하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다. 연출가는 다른 사람들이 본 시각에 맞추어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본 구체적 세계를 무대화하는 것이 절대적이라고 한다. 그러기에 희곡을 선정하는 것이 연출 작업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여건이 된다.
희곡의 인물을 분석하여 인물의 성격과 그 역할을 창조하는 인물화 과정은 극적 주체의 형상화 과정이라는 점에서 초기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존 스타인벡은 <생쥐와 인간>의 등장인물의 이름만으로도 인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배역 결정, 인물화 과정은 원작 속에 묘사된 인물의 외형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화효과’를 위한 공간의 활용 연구는 극형상화 과정에서 무대, 조명, 음향, 영상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토대가 되었던 공연결과물에 대한 평가는 2004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대학로 상명아트홀에서 공연되어진 연극 <생쥐와 인간>의 공연 녹화자료, 관객의 공연 감상평 등을 바탕으로 하여 연출가가 의도하여 제시하고자 했던 작품의 방향이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공연 예술에 있어 희곡의 극형상화 과정을 정리하여 연구자 자신의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보다 작품의 의도와 방향을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효과적인 연출방법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문요약
극형상화에 대한 연출방법론 연구
- 존 스타인벡의 <생쥐와 인간> 공연을 중심으로 -
원 춘 규
연극학과 연극전공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연극 공연은 연출가에게 있어 그 자신의 세계관의 구체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연출가는 의도하던 의도하지 않던 공연을 통해 이야기를 전하는 과정 중에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스스로 드러내게 된다. 물론 영화감독이나 드라마 프로듀서도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통해 이야기를 전한다. 그렇지만 그 작업의 결과물이 항상 그의 세계관을 나타낸다고는 말할 수 없다. 오히려 영화감독이나 드라마 프로듀서가 만들어낸 작업의 결과물은 개인의 세계관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대중이 듣고 싶은 이야기를 해야 하는 그 작업의 속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와 달리 연극 작업의 연출가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개인의 세계관이 그 작업의 결과물에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연 결과물을 토대로 희곡의 무대화 과정을 분석하여 연출가의 세계관이 투영된 극형상화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연출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하여 출발하였다.
연출가에 의해 제시된 작품의 의도와 방향을 선명하게 형상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희곡과 배우, 그리고 공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작품연구를 통해 작가의 생애와 희곡 안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배경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무대화 과정은 ‘이미지’를 통한 희곡 연구와 ‘기호’로서의 배우 연구, ‘이화효과’를 위한 공간의 활용으로 나누어 알아보도록 하겠다.
희곡을 선정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작품의 주제가 연출의 의도와 동일한 선상에서 있다는 점에서 배우를 선정하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다. 연출가는 다른 사람들이 본 시각에 맞추어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본 구체적 세계를 무대화하는 것이 절대적이라고 한다. 그러기에 희곡을 선정하는 것이 연출 작업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여건이 된다.
희곡의 인물을 분석하여 인물의 성격과 그 역할을 창조하는 인물화 과정은 극적 주체의 형상화 과정이라는 점에서 초기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존 스타인벡은 <생쥐와 인간>의 등장인물의 이름만으로도 인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배역 결정, 인물화 과정은 원작 속에 묘사된 인물의 외형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화효과’를 위한 공간의 활용 연구는 극형상화 과정에서 무대, 조명, 음향, 영상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토대가 되었던 공연결과물에 대한 평가는 2004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대학로 상명아트홀에서 공연되어진 연극 <생쥐와 인간>의 공연 녹화자료, 관객의 공연 감상평 등을 바탕으로 하여 연출가가 의도하여 제시하고자 했던 작품의 방향이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공연 예술에 있어 희곡의 극형상화 과정을 정리하여 연구자 자신의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보다 작품의 의도와 방향을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효과적인 연출방법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Direction Methodology
for the Embodiment of Play
-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by John Steinbeck -
Won, Choon Gyu
Dept. of Theater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Sangmyung University
For a director, the play performance can be said to be concrete exp...
Abstract
A Study on the Direction Methodology
for the Embodiment of Play
-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by John Steinbeck -
Won, Choon Gyu
Dept. of Theater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Sangmyung University
For a director, the play performance can be said to be concrete expression of his view of the world. A director reveals how he sees the world around him while delivering the story through performance whether he intends to do or not. A movie director and drama producer also delivers story through screen and TV. However, we cannot say that the result of his work always represents his view of the world. On the contrary, the results made by a movie director or drama producer tend to be different with individual view of the world because they have to tell what the public wants to hear due to properties of the work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or of play work aims to deliver what he wants to say and so he cannot help representing his view of the world on his work.
This study began to find more effective direction methodology for the embodiment of play on which the director’s view of the world is reflected by analyzing the staging course of the play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In order to clearly embody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a work suggested by a director, it is the most important to study the play, actor and space.
Actual course of staging is divided into the play research through ‘image’, actor research as ‘sign’, and use of space for ‘alienation effect’ for this study.
The selection of play is as important as the selection of actor considering that the theme of a work is generally collinear with the intention of direction. A director does not work for the other’s point of view but it is unconditional for him to stage the concrete world he saw. Therefore, the selection of play is a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directing work.
The characterization course that analyzes characters of a play and creates the personality and role of the characters is very important in the initial stage because it embodies the dramatic subject. In by John Steinbeck,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s only with the name of them. For such a reason, we approach the casting decision and course of characterization by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characters described in the original work.
The usage of space for the ‘alienation effect’ are researched by focusing on the use of the stage, lighting, sound and image in the course of embodiment of play.
Finally, for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result that provided foundation of this study, I researched on how the direction of the work intended by the director was delivered based on the performance recording data of the play performed at Sangmyung Art Hall located in Daehak-ro during OCT 1-31st 2004 and the audience’s review of the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researcher himself by organizing the course of embodiment of play in the performance art and further suggest a direction for effective direction methodology to clearly reveal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the work.
Abstract
A Study on the Direction Methodology
for the Embodiment of Play
-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by John Steinbeck -
Won, Choon Gyu
Dept. of Theater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Sangmyung University
For a director, the play performance can be said to be concrete expression of his view of the world. A director reveals how he sees the world around him while delivering the story through performance whether he intends to do or not. A movie director and drama producer also delivers story through screen and TV. However, we cannot say that the result of his work always represents his view of the world. On the contrary, the results made by a movie director or drama producer tend to be different with individual view of the world because they have to tell what the public wants to hear due to properties of the work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or of play work aims to deliver what he wants to say and so he cannot help representing his view of the world on his work.
This study began to find more effective direction methodology for the embodiment of play on which the director’s view of the world is reflected by analyzing the staging course of the play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In order to clearly embody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a work suggested by a director, it is the most important to study the play, actor and space.
Actual course of staging is divided into the play research through ‘image’, actor research as ‘sign’, and use of space for ‘alienation effect’ for this study.
The selection of play is as important as the selection of actor considering that the theme of a work is generally collinear with the intention of direction. A director does not work for the other’s point of view but it is unconditional for him to stage the concrete world he saw. Therefore, the selection of play is a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directing work.
The characterization course that analyzes characters of a play and creates the personality and role of the characters is very important in the initial stage because it embodies the dramatic subject. In by John Steinbeck,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s only with the name of them. For such a reason, we approach the casting decision and course of characterization by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characters described in the original work.
The usage of space for the ‘alienation effect’ are researched by focusing on the use of the stage, lighting, sound and image in the course of embodiment of play.
Finally, for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result that provided foundation of this study, I researched on how the direction of the work intended by the director was delivered based on the performance recording data of the play performed at Sangmyung Art Hall located in Daehak-ro during OCT 1-31st 2004 and the audience’s review of the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researcher himself by organizing the course of embodiment of play in the performance art and further suggest a direction for effective direction methodology to clearly reveal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the work.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