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약산성 및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기초화장품이 피부 pH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Fundamental Cosmetics on pH Level of the Skin after Use of Slightly-Acid and Alkalescent Cleans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약산성 및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기초화장품이 피부 pH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건강한 20~30대 성인 여성 9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안면의 좌측과 우측을 나누어 기초화장품을 사용한 후 피부 pH 및 수분의 변화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안면 부위 좌, 우 각각 5부위(이마, 볼, 입술 옆, 턱, 관자놀이)로 나누어, 좌측과 우측 이마는 세안 전, 세안 직후 20분 간격으로 7회 pH 및 수분을 측정하였으며, 좌측과 우측 볼, 턱, 입술 옆, 턱, 관자놀이 4부위는 세안 전, 세안 직후, 기초화장품 사용 직후, 20분 간격으로 6회 pH 측정을 하였다. 정확한 데이터 측정을 위해 동일한 부위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안 전 9명의 성인 여성의 피부 부위별 pH 측정값이 5.81±0.13으로 평균적인 여성의 피부 pH와 일치했으며, 좌·우측의 수분 및 pH의 동질성을 확인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약산성 세안제 및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피부의 pH 및 수분의 변화 결과 약산성 세안제를 사용 한 경우 세안 전의 pH가 유지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수분이 증가하였다. 반면,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세안 전보다 pH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수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약 2시간) pH 및 수분 모두 본래의 피부로 회복되었다. 세안 후 종류별 기초화장품 사용 후 피부 pH 변화 결과는 약산성 기초화장품인 ...
본 연구는 약산성 및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기초화장품이 피부 pH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건강한 20~30대 성인 여성 9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안면의 좌측과 우측을 나누어 기초화장품을 사용한 후 피부 pH 및 수분의 변화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안면 부위 좌, 우 각각 5부위(이마, 볼, 입술 옆, 턱, 관자놀이)로 나누어, 좌측과 우측 이마는 세안 전, 세안 직후 20분 간격으로 7회 pH 및 수분을 측정하였으며, 좌측과 우측 볼, 턱, 입술 옆, 턱, 관자놀이 4부위는 세안 전, 세안 직후, 기초화장품 사용 직후, 20분 간격으로 6회 pH 측정을 하였다. 정확한 데이터 측정을 위해 동일한 부위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안 전 9명의 성인 여성의 피부 부위별 pH 측정값이 5.81±0.13으로 평균적인 여성의 피부 pH와 일치했으며, 좌·우측의 수분 및 pH의 동질성을 확인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약산성 세안제 및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피부의 pH 및 수분의 변화 결과 약산성 세안제를 사용 한 경우 세안 전의 pH가 유지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수분이 증가하였다. 반면,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세안 전보다 pH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수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약 2시간) pH 및 수분 모두 본래의 피부로 회복되었다. 세안 후 종류별 기초화장품 사용 후 피부 pH 변화 결과는 약산성 기초화장품인 에센스 A(pH 5.42)와 크림B(pH 5.50) 경우 약알칼리성 세안 후 상승된 pH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약알칼리성 기초화장품인 크림C(pH 7.04)와 선크림D(pH 8.96)을 사용한 결과 크림C 사용은 약간의 증가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선크림D 사용 직후 약산성 및 약알칼리성 세안 모두 피부 pH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약알칼리 기초화장품 사용으로 상승된 pH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부의 알칼리 중화능에 의해 비교적 꾸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초화장품 4가지 모두 동일하게 사용했지만, 약산성 세안제군에 비해 약알칼리성 세안제를 사용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피부 pH가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민감하고 건조한 피부의 경우 약산성 세안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습 및 pH유지에 더 효과적이며, 건강한 정상 피부의 경우에도 알칼리성 세안제를 사용할 경우 정상 pH 및 수분 회복에 있어 약 2시간 이상이 소요되므로 세안 직후 기초화장품 사용을 통해 피부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건강한 피부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장품 개발 및 올바른 사용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올바른 피부 관리를 위해 향후 기초화장품 종류에 따른 피부 pH 및 유수분 밸런스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약산성 및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기초화장품이 피부 pH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건강한 20~30대 성인 여성 9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안면의 좌측과 우측을 나누어 기초화장품을 사용한 후 피부 pH 및 수분의 변화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안면 부위 좌, 우 각각 5부위(이마, 볼, 입술 옆, 턱, 관자놀이)로 나누어, 좌측과 우측 이마는 세안 전, 세안 직후 20분 간격으로 7회 pH 및 수분을 측정하였으며, 좌측과 우측 볼, 턱, 입술 옆, 턱, 관자놀이 4부위는 세안 전, 세안 직후, 기초화장품 사용 직후, 20분 간격으로 6회 pH 측정을 하였다. 정확한 데이터 측정을 위해 동일한 부위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안 전 9명의 성인 여성의 피부 부위별 pH 측정값이 5.81±0.13으로 평균적인 여성의 피부 pH와 일치했으며, 좌·우측의 수분 및 pH의 동질성을 확인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약산성 세안제 및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피부의 pH 및 수분의 변화 결과 약산성 세안제를 사용 한 경우 세안 전의 pH가 유지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수분이 증가하였다. 반면, 약알칼리성 세안제 사용 후 세안 전보다 pH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수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약 2시간) pH 및 수분 모두 본래의 피부로 회복되었다. 세안 후 종류별 기초화장품 사용 후 피부 pH 변화 결과는 약산성 기초화장품인 에센스 A(pH 5.42)와 크림B(pH 5.50) 경우 약알칼리성 세안 후 상승된 pH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약알칼리성 기초화장품인 크림C(pH 7.04)와 선크림D(pH 8.96)을 사용한 결과 크림C 사용은 약간의 증가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선크림D 사용 직후 약산성 및 약알칼리성 세안 모두 피부 pH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약알칼리 기초화장품 사용으로 상승된 pH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부의 알칼리 중화능에 의해 비교적 꾸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초화장품 4가지 모두 동일하게 사용했지만, 약산성 세안제군에 비해 약알칼리성 세안제를 사용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피부 pH가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민감하고 건조한 피부의 경우 약산성 세안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습 및 pH유지에 더 효과적이며, 건강한 정상 피부의 경우에도 알칼리성 세안제를 사용할 경우 정상 pH 및 수분 회복에 있어 약 2시간 이상이 소요되므로 세안 직후 기초화장품 사용을 통해 피부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건강한 피부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장품 개발 및 올바른 사용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올바른 피부 관리를 위해 향후 기초화장품 종류에 따른 피부 pH 및 유수분 밸런스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undamental cosmetics on the pH levels of the skin when they are used after washing the face with slightly-acid or alkalescent cleansers. Nine healthy adult women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apply fundam...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undamental cosmetics on the pH levels of the skin when they are used after washing the face with slightly-acid or alkalescent cleansers. Nine healthy adult women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apply fundamental cosmetics on both side of their face. First of all, their face was virtually divided into five parts: forehead, cheeks, sides of lips, chin, and temples. The pH and moisture level on the right and left forehead were measured a total of seven times including one time before and every twenty minutes right after washing the face and the pH level on the four parts including right and left cheek, chin, sides of lips, and temples were measured before and right after washing the face, right after applying fundamental cosmetics, and six times every twenty minutes. The average values of data obtained by three times of measurement on the same part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pH level measured on each parts of the faces of nine adult women before washing the face was pH 5.81±0.13,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average pH level of adult women. The study went to the next step only after verifying the homogeneity of moisture and pH level on the both parts of face. First of all, the results of change in the pH and moisture level on the skin after use of slightly acid and alkalescent cleansers revealed that the pH level kept same and the amount of moisture increased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after washing the face with slightly acid cleansers while the pH level increased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and the amount of moisture decreased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after washing the face with alkalescent cleansers. However, the pH and moisture level returned to the normal level about two hours later. As for the change of pH level on the skin after use of fundamental cosmetics, Essence A (pH 5.42) and Cream B (pH 5.50) categorized into slightly-acid fundamental cosmetics contributed to decreasing the pH level risen after washing the face with alkalescent cleansers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In case of Cream C (pH 7.04) and Sun Cream D(pH 8.96) categorized into alkalescent fundamental cosmetics, Cream C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pH level slightly,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un Cream D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pH level to the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 after washing the face with slightly-acid and alkalescent cleansers. It is thus found that the pH level risen after using alkalescent fundamental cosmetics is relatively on the steady decrease owing to the alkali neutralization ability of the skin as time goes. It is also revealed that, though all the four fundamental cosmetics are u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lkalescent cleansers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pH level on the skin higher compared to slightly-acid cleansers. In summary, it is concluded that the use of slightly-acid cleansers i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appropriate pH and moisture level for sensitive and dry skin; the use of fundamental cosmetics right after washing the face is necessarily helpful to maintain healthy skins as it takes about more than two hours for normal and healthy skin to recover its normal pH and moisture level.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materials for development and proper use of cosmetics and an in-depth study on corelation between fundamental cosmetics and balance in the pH, sebum, and moisture level on the skin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out proper skin care methods.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undamental cosmetics on the pH levels of the skin when they are used after washing the face with slightly-acid or alkalescent cleansers. Nine healthy adult women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apply fundamental cosmetics on both side of their face. First of all, their face was virtually divided into five parts: forehead, cheeks, sides of lips, chin, and temples. The pH and moisture level on the right and left forehead were measured a total of seven times including one time before and every twenty minutes right after washing the face and the pH level on the four parts including right and left cheek, chin, sides of lips, and temples were measured before and right after washing the face, right after applying fundamental cosmetics, and six times every twenty minutes. The average values of data obtained by three times of measurement on the same part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pH level measured on each parts of the faces of nine adult women before washing the face was pH 5.81±0.13,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average pH level of adult women. The study went to the next step only after verifying the homogeneity of moisture and pH level on the both parts of face. First of all, the results of change in the pH and moisture level on the skin after use of slightly acid and alkalescent cleansers revealed that the pH level kept same and the amount of moisture increased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after washing the face with slightly acid cleansers while the pH level increased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and the amount of moisture decreased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after washing the face with alkalescent cleansers. However, the pH and moisture level returned to the normal level about two hours later. As for the change of pH level on the skin after use of fundamental cosmetics, Essence A (pH 5.42) and Cream B (pH 5.50) categorized into slightly-acid fundamental cosmetics contributed to decreasing the pH level risen after washing the face with alkalescent cleansers to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s. In case of Cream C (pH 7.04) and Sun Cream D(pH 8.96) categorized into alkalescent fundamental cosmetics, Cream C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pH level slightly,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un Cream D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pH level to the statistically-significant level after washing the face with slightly-acid and alkalescent cleansers. It is thus found that the pH level risen after using alkalescent fundamental cosmetics is relatively on the steady decrease owing to the alkali neutralization ability of the skin as time goes. It is also revealed that, though all the four fundamental cosmetics are u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lkalescent cleansers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pH level on the skin higher compared to slightly-acid cleansers. In summary, it is concluded that the use of slightly-acid cleansers i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appropriate pH and moisture level for sensitive and dry skin; the use of fundamental cosmetics right after washing the face is necessarily helpful to maintain healthy skins as it takes about more than two hours for normal and healthy skin to recover its normal pH and moisture level.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materials for development and proper use of cosmetics and an in-depth study on corelation between fundamental cosmetics and balance in the pH, sebum, and moisture level on the skin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out proper skin care metho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