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겹받침 읽기 지도 요소의 체계화를 통해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겹받침 읽기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표준어 발음법 및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겹받침 관련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국어 사용자의 겹받침 사용 실태를 알기 위해 겹받침 사용 빈도와 초등학생의 겹받침 읽기 오류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 겹받침 읽기 지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겹받침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연구의 단초로 삼았다. Ⅰ장과 Ⅱ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Ⅲ장에서는 겹...
본 연구의 목적은 겹받침 읽기 지도 요소의 체계화를 통해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겹받침 읽기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표준어 발음법 및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겹받침 관련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국어 사용자의 겹받침 사용 실태를 알기 위해 겹받침 사용 빈도와 초등학생의 겹받침 읽기 오류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 겹받침 읽기 지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겹받침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연구의 단초로 삼았다. Ⅰ장과 Ⅱ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Ⅲ장에서는 겹받침 읽기 요소를 추출하였다. 겹받침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음절 조건과 겹받침 읽기 방법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음절 조건은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 구조가 어떠한 것인가의 조건으로, 이 음절 조건은 겹받침 읽기에 1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 조건은 ‘모음’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인 경우와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였다. 읽기 방법 요소는 ‘읽을 겹받침의 수와 위치’로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 중 몇 개를 읽을 것인가와 어떤 위치의 받침을 읽을 것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읽을 겹받침의 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겹받침 중 두 개를 모두 읽는 경우와 한 개를 읽는 경우로 분류하였으며, 읽을 겹받침의 위치는 앞쪽에 있는 겹받침을 읽는 ‘앞 겹받침군’과, 뒤쪽에 있는 겹받침을 읽는 ‘뒤 겹받침군’으로 분류하여 읽을 겹받침의 위치가 같은 것을 ‘겹받침군’으로 묶어 학습의 효과성과 용이성을 마련하였다. 또한 겹받침 읽기의 일반적인 방법이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를 예외로 두어 예외적 읽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추출한 읽기 요소를 바탕으로 겹받침 읽기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으로 된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읽을 때, 뒤에 연결된 음절 조건에 따라 읽을 겹받침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여 읽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겹받침 읽기 요소의 난도를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요소와 난도를 바탕으로 ‘겹받침 읽기 요소 지도’와 ‘겹받침 읽기 과정 지도’의 두 가지 영역으로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겹받침 읽기 오류 실태 조사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겹받침 읽기와 관련된 교육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 겹받침 읽기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겹받침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여 요소의 난도를 설정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마련하여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겹받침 읽기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겹받침 읽기 지도 요소의 체계화를 통해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겹받침 읽기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표준어 발음법 및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겹받침 관련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국어 사용자의 겹받침 사용 실태를 알기 위해 겹받침 사용 빈도와 초등학생의 겹받침 읽기 오류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 겹받침 읽기 지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겹받침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연구의 단초로 삼았다. Ⅰ장과 Ⅱ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Ⅲ장에서는 겹받침 읽기 요소를 추출하였다. 겹받침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음절 조건과 겹받침 읽기 방법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음절 조건은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 구조가 어떠한 것인가의 조건으로, 이 음절 조건은 겹받침 읽기에 1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 조건은 ‘모음’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인 경우와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였다. 읽기 방법 요소는 ‘읽을 겹받침의 수와 위치’로 겹받침 뒤에 연결된 음절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 중 몇 개를 읽을 것인가와 어떤 위치의 받침을 읽을 것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읽을 겹받침의 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겹받침 중 두 개를 모두 읽는 경우와 한 개를 읽는 경우로 분류하였으며, 읽을 겹받침의 위치는 앞쪽에 있는 겹받침을 읽는 ‘앞 겹받침군’과, 뒤쪽에 있는 겹받침을 읽는 ‘뒤 겹받침군’으로 분류하여 읽을 겹받침의 위치가 같은 것을 ‘겹받침군’으로 묶어 학습의 효과성과 용이성을 마련하였다. 또한 겹받침 읽기의 일반적인 방법이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를 예외로 두어 예외적 읽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추출한 읽기 요소를 바탕으로 겹받침 읽기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으로 된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읽을 때, 뒤에 연결된 음절 조건에 따라 읽을 겹받침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여 읽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겹받침 읽기 요소의 난도를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요소와 난도를 바탕으로 ‘겹받침 읽기 요소 지도’와 ‘겹받침 읽기 과정 지도’의 두 가지 영역으로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겹받침 읽기 오류 실태 조사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겹받침 읽기와 관련된 교육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 겹받침 읽기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겹받침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여 요소의 난도를 설정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마련하여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겹받침 읽기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reading guidance for final double consonants by systemizing the reading guidance element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and analyzed standard language pronunciation rules as well as the cont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reading guidance for final double consonants by systemizing the reading guidance element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and analyzed standard language pronunciation rules as well as the contents of guidance related to final double consonant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Moreover, to determine the current use of final double consonants by Korean language speak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such consonants and errors in their read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diagnosed the issues in the current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guidance and ascerta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reading, using these as the foundation for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in Chapters I and II, Chapter III extracted the reading elements of final double consonants, which can be divided into syllable conditions and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methods,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Syllable conditions are the conditions of the syllable structure that follows final double consonants. This factor has a primary effect on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Syllable conditions following final double consonants are classified by “vowels” into cases in which such syllables begin with a vowel and cases in which they do not. Reading methods refer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which is determined by how many and which of the two different consonants are to be read according to the syllable conditions that follow. “The number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is classified into cases in which both of the consonants are read, and cases in which only one consonant is read. The posi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is classified into a “front final double consonants group” in which the final double consonants in the front are read, and “back final double consonants group” in which the final double consonants at the back are read. The consonants with the same position as the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are combined into the “final double consonants group,” establishing effectiveness and ease of learning. Moreover, this study explained the exceptional reading method by making an exception of cases in which the general methods of reading final double consonants are not applicable. Based on the extracted reading elements, this study defined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as “reading by determining the number and posi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rea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yllable conditions, when reading letters with final consonants composed of two different consonants.” Next, this study determined the difficulty level of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elements, and based on these elements and difficulty level, came up with two fields of reading guidance: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element guidance” and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process guidance.” This study diagnosed the issues of current education in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errors in reading final double consonants and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such reading.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et the difficulty level of elements that affect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guidance by providing educational guid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ading guidance for final double consona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reading guidance for final double consonants by systemizing the reading guidance element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and analyzed standard language pronunciation rules as well as the contents of guidance related to final double consonant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Moreover, to determine the current use of final double consonants by Korean language speak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such consonants and errors in their read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diagnosed the issues in the current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guidance and ascerta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reading, using these as the foundation for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in Chapters I and II, Chapter III extracted the reading elements of final double consonants, which can be divided into syllable conditions and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methods,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Syllable conditions are the conditions of the syllable structure that follows final double consonants. This factor has a primary effect on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Syllable conditions following final double consonants are classified by “vowels” into cases in which such syllables begin with a vowel and cases in which they do not. Reading methods refer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which is determined by how many and which of the two different consonants are to be read according to the syllable conditions that follow. “The number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is classified into cases in which both of the consonants are read, and cases in which only one consonant is read. The posi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is classified into a “front final double consonants group” in which the final double consonants in the front are read, and “back final double consonants group” in which the final double consonants at the back are read. The consonants with the same position as the final double consonants to be read are combined into the “final double consonants group,” establishing effectiveness and ease of learning. Moreover, this study explained the exceptional reading method by making an exception of cases in which the general methods of reading final double consonants are not applicable. Based on the extracted reading elements, this study defined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as “reading by determining the number and posi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to rea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yllable conditions, when reading letters with final consonants composed of two different consonants.” Next, this study determined the difficulty level of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elements, and based on these elements and difficulty level, came up with two fields of reading guidance: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element guidance” and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process guidance.” This study diagnosed the issues of current education in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errors in reading final double consonants and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such reading.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et the difficulty level of elements that affect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final double consonant reading guidance by providing educational guid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ading guidance for final double consonants.
Keyword
#겹받침 겹받침 읽기 요소 음절 조건 겹받침의 수 겹받침의 위치 겹받침 읽기 지도 단계 겹받침 읽기 지도 방안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