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자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에 아동복지교사와 미술심리상담사로 2년 동안 근무하면서 가지게 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소외계층의 방과후 소외계층 아동에 돌봄과 교육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아동센터의아동과 교사의 교육경험을 분석하고 교육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과 교사의 성장과 변화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사례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로 서울의 강북지역에 위치해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은 총 41명으로 소외계층아동 60%와 맞벌이가정 아동 40%로 3인의 상근교사와 그 밖의 파견교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에서 2년 동안 아동복지교사와 미술심리상담사로 근무하였다. 근무하는 과정에서 아동과 교사들과 친밀감이 형성되어 있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과 교사들의 활동과정을 자유롭고, 심층적으로 참여관찰과 ...
본 연구자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에 아동복지교사와 미술심리상담사로 2년 동안 근무하면서 가지게 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소외계층의 방과후 소외계층 아동에 돌봄과 교육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아동센터의아동과 교사의 교육경험을 분석하고 교육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과 교사의 성장과 변화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사례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로 서울의 강북지역에 위치해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은 총 41명으로 소외계층아동 60%와 맞벌이가정 아동 40%로 3인의 상근교사와 그 밖의 파견교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에서 2년 동안 아동복지교사와 미술심리상담사로 근무하였다. 근무하는 과정에서 아동과 교사들과 친밀감이 형성되어 있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과 교사들의 활동과정을 자유롭고, 심층적으로 참여관찰과 사례연구를 할 수 있어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4개월로 진행했다. 연구참여자로는 미술심리상담을 했던 라포가 형성되어 있는 아동 3인과 교사2인의 사전 동의를 받아 질적연구로 진행하였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교사들은 아동 중심의 관점을 가지고 생활지원, 학습지원, 문화체험지원, 심리정서지원의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교사들은 아동교육에 있어 교육활동 기획자, 마을교사, 사례관리자, 멘토, 제2의 부모역할 등 다양한 역할로 탈바꿈하면서 아동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왔다. 지금까지 연구를 바탕으로 내린 본 연구 결론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밭골지역아동센터는 아동과 교사간의 신뢰와 배려를 통해 학교교육에서 세심히 챙기지 못하는 다양한 교육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는 복지기관의 성격보다 교육기관의 성격을 더 강하게 갖는데, 센터의 교사들은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무분별한 복지지원이 이용 아동은 물론 아동가정의 의존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낙인효과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미소나 재정 사례에서 보다시피 교육적 경험으로 인한 성취는 아동을 변화시키고, 아동의 가정까지 변화하는 교육적 성장의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지역아동센터의 기능이 복지 영역에 제한되기보다 교육기관으로서 교육적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염두에 두고 아동의 식사, 상담, 교육, 놀이 등 정서발달과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 등 통합적인 지원노력을 기울여왔다. 부족한 기초 학습력으로 인해 학교의 교과학습에서 소외를 겪는 아동에게 교육적 활동과 문화체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습결손예방이 이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성적 저하로 자존감이 낮아진 아동(미소, 재정)의 경우 교사들이 기초과정부터 시작해 단계별 교육을 이어나가면서 조금씩 성적향상이 이루어졌다. 또한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경우 센터 교사들이 과학, 영어 등 해당 과목 전문교사들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에게 제각기 특성을 적용하는 학습지도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기를 놀이문화를 통해 발현시키거나 특기적성 프로그램 내지 관련 진로로 연결해 잠재력을 개발시키는 등의 교육경험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아동과 교사의 관계에 인간적인 친밀감이 바탕이 될 때 아동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교사들은 학교에서 돌아오는 아동들을 가정의 부모처럼 반갑게 맞이하며, 간식과 학교과제를 챙기는 등 신뢰를 기반으로 심리,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도록 중점을 두었고, 이 결과 연구참여자(별남, 재정, 미소)는 자신감을 찾고 표정이 밝아지는 것을 연구를 통해 직접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학교도 중요한 교육기관이지만 학교와는 다른 아동중심적인 교육의 경험을 하므로 아동의 변화와 성장을 이루도록 하는 중요한 교육기관임으로 결론 내려진다. 둘째,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상근교사는 마을교사로 사례관리자로 아동의 성장을 지원하는 통합적인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었다. 상근교사는 때로 청소년들의 이탈적 행위로 상처를 받기도 하지만 교사로서 고유역할에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또 아동의 학교생활과 가정 상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있어, 문제 발생 시 해결의 플랫홈 역할을 하고 있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장점 중 하나는 오랜기간 근무한 ‘지속성’이다. 교사들은 지역 내 터를 잡고 오랜 기간 아동교육에 힘써온 만큼 배밭골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일상과 성장과정을 세세하게 알고 있었고, 이들의 성장의 역사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이런 경험은 타 분야 교육자와는 차별화되는 강점이 된다. 아동들과 초․중․고 시절을 함께 보내기 때문에 또래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용이하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예민하게 잡아낸다. 교사들은 교육기획 운영자로서 이런 경험들을 십분 발휘하는 걸 지켜볼 수 있었다. 교사들의 운영과 프로그램 기획은 아동들의 설문과 찬반 투표를 통해 새로운 것 한 가지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아동과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낸 교사들은 교사를 넘어선, 부모와는 다른 하나의 역할 모델이 되어 있었다. 셋째, 센터 아동과 교사와의 관계는 ‘지도와 가르침’만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안에서 다양한 감정과 함께 상호작용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서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함께 즐거움을 찾는 보람을 발견한다. 교사들은 센터의 아동들에 대해 꿈꿀 수 있는 세상을 알려주고 싶어 교육경험을 많이 주고 싶어 한다. 아동들은 무엇인가 시작을 하려면 익숙해질 때까지 기다려줌으로써 상호신뢰가 바탕이 되어 교육적 변화에 있어서 빛을 발한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과 교사간의 교육활동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과 교사의 오랜 시간 지속된 관계야말로 신뢰의 원천이며, 안정적인 교육적 조건으로서 아동의 상처를 치유하고 자존감을 회복해가는 주요한 토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교육활동에 주목할 때, 아동과 가정, 센터 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센터에 와서 아동들은 같이하는 시간은 자신도 모르게 공동체 규칙을 체화시키고 타인과 함께하는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변화한다. 또 교사는 아동과 함께 변화하고 성장한 살아가는 의미를 알게 모르게 인식된다. 교사와 아동의 오랜 시간 지속된 관계야말로 신뢰의 원천이며 지역아동센터의 특수성이다. 이런 특수성이 현대 가정의 소외된 교육측면을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적으로 지역아동센터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몇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넷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성장에 지역 전체가 관심을 가지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연대할 필요가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는 이해관계 없이 아동에 대한 조건 없는 지원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역 내 아동들이 특유의 역할 압박을 받지 않고 지낼 수 있는 곳이다. 지역아동센터는 갈 곳 없는 지역 아동·청소년들의 ‘쉼터’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데, 아프리카 속담에 ‘한 아동을 키우려면 마을이 필요하다.’ 라는 말이 있다. 마을은 곧 지역교육공동체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성과 지속성이라는 두 개를 큰 축을 가지고 아동의 성장발달과정을 함께하는 지역의 교육공동체다. 아동은 지역사회의 근간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이런 근간을 키워내는 일종의 인큐베이터다. 지역아동센터가 단순한 교육과 복지기관이 아닌 지역교육공동체로 보다 발전할 수 있다면 현대 아동 소외 문제에 있어서 의미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센터 아동의 부모의 참여를 보지 못했다. 부모는 아동에 정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타자’ 이면서 센터의 교사와 교육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을 성장시키는 핵심 축이다. 따라서 추후 지역아동센터 연구에서는 아이들의 성장을 위한 센터- 가정- 지역사회의 참여 과정에 상호작용을 더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에 아동복지교사와 미술심리상담사로 2년 동안 근무하면서 가지게 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소외계층의 방과후 소외계층 아동에 돌봄과 교육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아동센터의아동과 교사의 교육경험을 분석하고 교육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과 교사의 성장과 변화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사례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로 서울의 강북지역에 위치해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은 총 41명으로 소외계층아동 60%와 맞벌이가정 아동 40%로 3인의 상근교사와 그 밖의 파견교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는 배밭골지역아동센터에서 2년 동안 아동복지교사와 미술심리상담사로 근무하였다. 근무하는 과정에서 아동과 교사들과 친밀감이 형성되어 있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과 교사들의 활동과정을 자유롭고, 심층적으로 참여관찰과 사례연구를 할 수 있어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4개월로 진행했다. 연구참여자로는 미술심리상담을 했던 라포가 형성되어 있는 아동 3인과 교사2인의 사전 동의를 받아 질적연구로 진행하였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교사들은 아동 중심의 관점을 가지고 생활지원, 학습지원, 문화체험지원, 심리정서지원의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교사들은 아동교육에 있어 교육활동 기획자, 마을교사, 사례관리자, 멘토, 제2의 부모역할 등 다양한 역할로 탈바꿈하면서 아동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왔다. 지금까지 연구를 바탕으로 내린 본 연구 결론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밭골지역아동센터는 아동과 교사간의 신뢰와 배려를 통해 학교교육에서 세심히 챙기지 못하는 다양한 교육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는 복지기관의 성격보다 교육기관의 성격을 더 강하게 갖는데, 센터의 교사들은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무분별한 복지지원이 이용 아동은 물론 아동가정의 의존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낙인효과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미소나 재정 사례에서 보다시피 교육적 경험으로 인한 성취는 아동을 변화시키고, 아동의 가정까지 변화하는 교육적 성장의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지역아동센터의 기능이 복지 영역에 제한되기보다 교육기관으로서 교육적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염두에 두고 아동의 식사, 상담, 교육, 놀이 등 정서발달과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 등 통합적인 지원노력을 기울여왔다. 부족한 기초 학습력으로 인해 학교의 교과학습에서 소외를 겪는 아동에게 교육적 활동과 문화체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습결손예방이 이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성적 저하로 자존감이 낮아진 아동(미소, 재정)의 경우 교사들이 기초과정부터 시작해 단계별 교육을 이어나가면서 조금씩 성적향상이 이루어졌다. 또한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경우 센터 교사들이 과학, 영어 등 해당 과목 전문교사들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에게 제각기 특성을 적용하는 학습지도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기를 놀이문화를 통해 발현시키거나 특기적성 프로그램 내지 관련 진로로 연결해 잠재력을 개발시키는 등의 교육경험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아동과 교사의 관계에 인간적인 친밀감이 바탕이 될 때 아동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교사들은 학교에서 돌아오는 아동들을 가정의 부모처럼 반갑게 맞이하며, 간식과 학교과제를 챙기는 등 신뢰를 기반으로 심리,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도록 중점을 두었고, 이 결과 연구참여자(별남, 재정, 미소)는 자신감을 찾고 표정이 밝아지는 것을 연구를 통해 직접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학교도 중요한 교육기관이지만 학교와는 다른 아동중심적인 교육의 경험을 하므로 아동의 변화와 성장을 이루도록 하는 중요한 교육기관임으로 결론 내려진다. 둘째,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상근교사는 마을교사로 사례관리자로 아동의 성장을 지원하는 통합적인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었다. 상근교사는 때로 청소년들의 이탈적 행위로 상처를 받기도 하지만 교사로서 고유역할에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또 아동의 학교생활과 가정 상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있어, 문제 발생 시 해결의 플랫홈 역할을 하고 있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장점 중 하나는 오랜기간 근무한 ‘지속성’이다. 교사들은 지역 내 터를 잡고 오랜 기간 아동교육에 힘써온 만큼 배밭골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일상과 성장과정을 세세하게 알고 있었고, 이들의 성장의 역사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이런 경험은 타 분야 교육자와는 차별화되는 강점이 된다. 아동들과 초․중․고 시절을 함께 보내기 때문에 또래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용이하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예민하게 잡아낸다. 교사들은 교육기획 운영자로서 이런 경험들을 십분 발휘하는 걸 지켜볼 수 있었다. 교사들의 운영과 프로그램 기획은 아동들의 설문과 찬반 투표를 통해 새로운 것 한 가지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아동과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낸 교사들은 교사를 넘어선, 부모와는 다른 하나의 역할 모델이 되어 있었다. 셋째, 센터 아동과 교사와의 관계는 ‘지도와 가르침’만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안에서 다양한 감정과 함께 상호작용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서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함께 즐거움을 찾는 보람을 발견한다. 교사들은 센터의 아동들에 대해 꿈꿀 수 있는 세상을 알려주고 싶어 교육경험을 많이 주고 싶어 한다. 아동들은 무엇인가 시작을 하려면 익숙해질 때까지 기다려줌으로써 상호신뢰가 바탕이 되어 교육적 변화에 있어서 빛을 발한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과 교사간의 교육활동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의 아동과 교사의 오랜 시간 지속된 관계야말로 신뢰의 원천이며, 안정적인 교육적 조건으로서 아동의 상처를 치유하고 자존감을 회복해가는 주요한 토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교육활동에 주목할 때, 아동과 가정, 센터 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센터에 와서 아동들은 같이하는 시간은 자신도 모르게 공동체 규칙을 체화시키고 타인과 함께하는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변화한다. 또 교사는 아동과 함께 변화하고 성장한 살아가는 의미를 알게 모르게 인식된다. 교사와 아동의 오랜 시간 지속된 관계야말로 신뢰의 원천이며 지역아동센터의 특수성이다. 이런 특수성이 현대 가정의 소외된 교육측면을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적으로 지역아동센터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몇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넷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성장에 지역 전체가 관심을 가지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연대할 필요가 있다. 배밭골지역아동센터는 이해관계 없이 아동에 대한 조건 없는 지원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역 내 아동들이 특유의 역할 압박을 받지 않고 지낼 수 있는 곳이다. 지역아동센터는 갈 곳 없는 지역 아동·청소년들의 ‘쉼터’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데, 아프리카 속담에 ‘한 아동을 키우려면 마을이 필요하다.’ 라는 말이 있다. 마을은 곧 지역교육공동체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성과 지속성이라는 두 개를 큰 축을 가지고 아동의 성장발달과정을 함께하는 지역의 교육공동체다. 아동은 지역사회의 근간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이런 근간을 키워내는 일종의 인큐베이터다. 지역아동센터가 단순한 교육과 복지기관이 아닌 지역교육공동체로 보다 발전할 수 있다면 현대 아동 소외 문제에 있어서 의미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센터 아동의 부모의 참여를 보지 못했다. 부모는 아동에 정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타자’ 이면서 센터의 교사와 교육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을 성장시키는 핵심 축이다. 따라서 추후 지역아동센터 연구에서는 아이들의 성장을 위한 센터- 가정- 지역사회의 참여 과정에 상호작용을 더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nalysis on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children's and teachers in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earch began from questions which were aroused when the experimenter worked at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for two years as an art therapist and a child social worker. The s...
Abstract Analysis on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children's and teachers in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earch began from questions which were aroused when the experimenter worked at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for two years as an art therapist and a child social worker. The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 and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s in community child center, which provide education and caring for underprivileged children after school. Additionally, it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growth and change for children and teacher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case study area,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is located in the Gangbuk area in Seoul. The community child center consists of a total of 41 people: 60% disadvantaged children, 40% dual-income household children, and three full-time teachers, and other dispatched teachers. Intimacy has been formed between the children and teachers in the course of duty at the center. The reason to select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as a place of case study was that we were able to observe cases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reely and in-depth.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period was four months from November 2014 to February 2015.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in total: three children who had a rapport with teachers via a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wo teachers. Written consent was acquired prior to the study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teachers at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played complex roles, providing life support, academic support, cultural support, and a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 in child-centered perspective. They had relations with children as taking a variety of roles such as an archit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a village teacher, a case manager, a mentor, and parents in children's education. The results those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has carried out various functions, those were not provided at schools. It had contributed to resolving adverse conditions and situations by supporting a wide range of educations for children.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 a personality as a strong educational institution rather than a welfare center.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experience brought changes into a child as well as in his or her hom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unction of a community child center focused on the education rather than welfare. Of course, it doesn’t mean that the function of welfare is not necessary. It means that the education has a priority to the welfare and the welfare should be provided in the aspect of education. Second, the full-time teacher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took a role of hub as a village teacher and a regional case manager. They were aware of children’s situations, both in school and at home in details, taking the role of a mediator in solving a problem whenever it occurs. One of the advantages of this community child center was the 'teachers’ continuity'. The teachers knew children’s routine and the history of their growth, specifically, since they have lived in the local area and have been contributing to children’s educ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the teachers who have facilitated the children’s growth at the center. These experiences became the strengths of this center, which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ducators in other fields. The teachers were able to experience this as an educational project operator. They, who have spent time with the children for a long time, now have become a role model for the children beyond the role of the teachers, as distinguished from that of parents. Third, teachers interact emotionally and built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rather than just 'teaching or giving guidance’ in the center. Through these processes, the teachers learned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found pleasure in them. Also, the teachers became aware of the meaning of lives as the children have changed and grew. The long last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as a source of trust and it was the specificity of the children's community center. It was confirmed that this specificity complement the educational aspect of the alienated modern homes. Fourth, the community child center played a role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led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with important two axes, those were regionality and persistence. Children are the backbone of the community. Regional children's community center is a sort of incubator that being this basis. If the community child center can be develop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rather than a simple education and a welfare center, it could be the alternativ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ich suffers children's alienation issues. Finally, in this study, we did not include the parents’ participation. Parents have not only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ildren's emotions as ‘an important person’, but also lead the children’s growth through educational interactions with teachers. Therefore, further study on community child center is nee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interactions among the center-home-community in a child’s growth.
Abstract Analysis on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children's and teachers in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earch began from questions which were aroused when the experimenter worked at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for two years as an art therapist and a child social worker. The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 and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s in community child center, which provide education and caring for underprivileged children after school. Additionally, it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growth and change for children and teacher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case study area,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is located in the Gangbuk area in Seoul. The community child center consists of a total of 41 people: 60% disadvantaged children, 40% dual-income household children, and three full-time teachers, and other dispatched teachers. Intimacy has been formed between the children and teachers in the course of duty at the center. The reason to select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as a place of case study was that we were able to observe cases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reely and in-depth.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period was four months from November 2014 to February 2015.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in total: three children who had a rapport with teachers via a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wo teachers. Written consent was acquired prior to the study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teachers at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played complex roles, providing life support, academic support, cultural support, and a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 in child-centered perspective. They had relations with children as taking a variety of roles such as an archit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a village teacher, a case manager, a mentor, and parents in children's education. The results those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aebatgol community child center has carried out various functions, those were not provided at schools. It had contributed to resolving adverse conditions and situations by supporting a wide range of educations for children.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 a personality as a strong educational institution rather than a welfare center.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experience brought changes into a child as well as in his or her hom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unction of a community child center focused on the education rather than welfare. Of course, it doesn’t mean that the function of welfare is not necessary. It means that the education has a priority to the welfare and the welfare should be provided in the aspect of education. Second, the full-time teacher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took a role of hub as a village teacher and a regional case manager. They were aware of children’s situations, both in school and at home in details, taking the role of a mediator in solving a problem whenever it occurs. One of the advantages of this community child center was the 'teachers’ continuity'. The teachers knew children’s routine and the history of their growth, specifically, since they have lived in the local area and have been contributing to children’s educ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the teachers who have facilitated the children’s growth at the center. These experiences became the strengths of this center, which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ducators in other fields. The teachers were able to experience this as an educational project operator. They, who have spent time with the children for a long time, now have become a role model for the children beyond the role of the teachers, as distinguished from that of parents. Third, teachers interact emotionally and built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rather than just 'teaching or giving guidance’ in the center. Through these processes, the teachers learned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found pleasure in them. Also, the teachers became aware of the meaning of lives as the children have changed and grew. The long last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as a source of trust and it was the specificity of the children's community center. It was confirmed that this specificity complement the educational aspect of the alienated modern homes. Fourth, the community child center played a role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led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with important two axes, those were regionality and persistence. Children are the backbone of the community. Regional children's community center is a sort of incubator that being this basis. If the community child center can be develop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rather than a simple education and a welfare center, it could be the alternativ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ich suffers children's alienation issues. Finally, in this study, we did not include the parents’ participation. Parents have not only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ildren's emotions as ‘an important person’, but also lead the children’s growth through educational interactions with teachers. Therefore, further study on community child center is nee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interactions among the center-home-community in a child’s grow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