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태권도 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실태와 사고 성향 분석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태권도학전공 임 수 정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에게 제공할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태권도 선수들의 도핑 실태를 확인하고,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을 분석하여 이를 비교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내 소재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및 실업팀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들 중 비비례층화추출법을 이...
국문초록 태권도 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실태와 사고 성향 분석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태권도학전공 임 수 정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에게 제공할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태권도 선수들의 도핑 실태를 확인하고,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을 분석하여 이를 비교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내 소재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및 실업팀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들 중 비비례층화추출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1,086명의 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배경변인에 대한 문항과 도핑 실태에 대한 문항, 그리고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한 후, 수집된 자료를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도핑 실태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들의 성별, 소속, 입상에 따라 운동영양보충제와 종합감기약 섭취, 도핑 관련 정보경험, 도핑교육 유무 및 도핑검사 경험 유무와 관련된 문항에 응답한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엘리트 선수들의 금지 약물 및 금지된 행위 인지와 소속과 입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엘리트 선수들의 부주위로 인한 금지 약물 복용과 고의로 인한 금지 약물 복용 비율은 성별, 소속, 입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태권도 선수들의 성별, 소속, 입상경험 유무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PEAS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영양보충제 섭취유무, 의사 처방 없이 종합감기약을 섭취한 경험의 유무, 도핑 금지 약물과 금지 행위에 대한 인지 여부, 도핑 금지 약물과 금지 행위에 대한 정보경험 여부, 반도핑 교육 유무에 따른 도핑, 도핑검사 경험 유무, 도핑행위 인지 횟수, 금지된 약물 복용여부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도핑 실태별 사고 성향(PEAS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금지 약물과 금지된 행위 인지 및 도핑교육 받은 비율은 중학교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가 가장 낮은 반면 실업팀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가 가장 높았으나,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은 중학교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보다 실업팀에 소속된 선수들이 더 관대함을 보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대학교 및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태권도 선수들 각각에게 부합되고, 그들의 도핑 실태와 사고 성향을 고려한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태권도, 도핑, 도핑 사고 성향
국문초록 태권도 선수들의 도핑에 대한 실태와 사고 성향 분석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태권도학전공 임 수 정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에게 제공할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태권도 선수들의 도핑 실태를 확인하고,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을 분석하여 이를 비교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내 소재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및 실업팀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들 중 비비례층화추출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1,086명의 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배경변인에 대한 문항과 도핑 실태에 대한 문항, 그리고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한 후, 수집된 자료를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도핑 실태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들의 성별, 소속, 입상에 따라 운동영양보충제와 종합감기약 섭취, 도핑 관련 정보경험, 도핑교육 유무 및 도핑검사 경험 유무와 관련된 문항에 응답한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엘리트 선수들의 금지 약물 및 금지된 행위 인지와 소속과 입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엘리트 선수들의 부주위로 인한 금지 약물 복용과 고의로 인한 금지 약물 복용 비율은 성별, 소속, 입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태권도 선수들의 성별, 소속, 입상경험 유무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PEAS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영양보충제 섭취유무, 의사 처방 없이 종합감기약을 섭취한 경험의 유무, 도핑 금지 약물과 금지 행위에 대한 인지 여부, 도핑 금지 약물과 금지 행위에 대한 정보경험 여부, 반도핑 교육 유무에 따른 도핑, 도핑검사 경험 유무, 도핑행위 인지 횟수, 금지된 약물 복용여부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도핑 실태별 사고 성향(PEAS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금지 약물과 금지된 행위 인지 및 도핑교육 받은 비율은 중학교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가 가장 낮은 반면 실업팀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가 가장 높았으나, 도핑에 대한 사고 성향은 중학교에 소속된 태권도 선수보다 실업팀에 소속된 선수들이 더 관대함을 보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대학교 및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태권도 선수들 각각에게 부합되고, 그들의 도핑 실태와 사고 성향을 고려한 효율적인 반도핑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태권도, 도핑, 도핑 사고 성향
ABSTRACT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Korean taekwondo players Lim, Su Jeong Major in Sports and Taekwondo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Jeon, Jung Woo, Ph.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me...
ABSTRACT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Korean taekwondo players Lim, Su Jeong Major in Sports and Taekwondo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Jeon, Jung Woo, Ph.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measure attitudes and dispositions related doping in Korean taekwondo players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effective anti-doping program.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including doping knowledge, doping history and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PEAS) among teakwondo players(n=1086) who were belonged to middle schools,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work te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tio of responses about taking the nutritional supplement and the nonprescription medicine for cold, getting the information on doping and anti-doping education, testing for drug in Korean taekwondo players wa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team, the winning of a prize. And the recognition of banned drugs and behaviors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 on team and the winning of a prize, not but gender. 2. The difference of PEAS score depending on gender, team and the winning of a prize was significant in Korean taekwondo players. 3. The PEAS score depending on taking the nutritional supplement and the nonprescription medicine for cold, getting the information on doping and anti-doping education, testing for drug, the recognition of banned drugs and behaviors, and dosing banned drugs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taekwondo players. In conclusion, the ratio of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recognition of banned drugs and behaviors and getting anti-doping education for taekwondo players in middle school team was the lowest, and the ratio of them was the highest in business team. But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of taekwondo players in business team were more generous than in middle school team. Effective anti-doping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age group and considering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should be developed. Key word : taekwondo, doping,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PEAS)
ABSTRACT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Korean taekwondo players Lim, Su Jeong Major in Sports and Taekwondo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Jeon, Jung Woo, Ph.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measure attitudes and dispositions related doping in Korean taekwondo players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effective anti-doping program.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including doping knowledge, doping history and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PEAS) among teakwondo players(n=1086) who were belonged to middle schools,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work te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tio of responses about taking the nutritional supplement and the nonprescription medicine for cold, getting the information on doping and anti-doping education, testing for drug in Korean taekwondo players wa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team, the winning of a prize. And the recognition of banned drugs and behaviors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 on team and the winning of a prize, not but gender. 2. The difference of PEAS score depending on gender, team and the winning of a prize was significant in Korean taekwondo players. 3. The PEAS score depending on taking the nutritional supplement and the nonprescription medicine for cold, getting the information on doping and anti-doping education, testing for drug, the recognition of banned drugs and behaviors, and dosing banned drugs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taekwondo players. In conclusion, the ratio of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recognition of banned drugs and behaviors and getting anti-doping education for taekwondo players in middle school team was the lowest, and the ratio of them was the highest in business team. But the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of taekwondo players in business team were more generous than in middle school team. Effective anti-doping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age group and considering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should be developed. Key word : taekwondo, doping,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PEA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