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실험을 통하여 발가락벌림운동 (toe-spread-out exercise)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면적, 그리고 능동적인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1 은 근전도와 3 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짧은발운동 (short foot exercise)과 발가락벌림운동 사이에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경증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18 명의 성인(남자 13 명, 여자 5 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짧은발운동과 발가락벌림운동 운동시에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는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첫 번째 발허리발가락 관절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짧은발운동과 발가락벌림운동 간에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는 짧은발운동보다 발가락벌림운동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의 비도 발가락벌림운동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첫 번째 발허리발가락 관절의 벌림각도는 발가락 벌림운동을 하는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연구 2 에서는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8 주 발가락벌림운동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8 주 발각락벌림운동이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면적, 그리고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증가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24 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무작위로 보조기군과 발가락벌림운동군으로 나누었다. 먼저 보조기군은 8 주동안 보조기만 착용하였으며, 발가락벌림운동군은 8 주동안 보조기를 착용과 더불어 발가락 벌림운동을 실시하였다.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변적, 그리고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는 실험전과 8 주 운동 후에 ...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실험을 통하여 발가락벌림운동 (toe-spread-out exercise)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면적, 그리고 능동적인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1 은 근전도와 3 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짧은발운동 (short foot exercise)과 발가락벌림운동 사이에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경증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18 명의 성인(남자 13 명, 여자 5 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짧은발운동과 발가락벌림운동 운동시에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는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첫 번째 발허리발가락 관절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짧은발운동과 발가락벌림운동 간에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는 짧은발운동보다 발가락벌림운동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의 비도 발가락벌림운동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첫 번째 발허리발가락 관절의 벌림각도는 발가락 벌림운동을 하는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연구 2 에서는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8 주 발가락벌림운동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8 주 발각락벌림운동이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면적, 그리고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증가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24 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무작위로 보조기군과 발가락벌림운동군으로 나누었다. 먼저 보조기군은 8 주동안 보조기만 착용하였으며, 발가락벌림운동군은 8 주동안 보조기를 착용과 더불어 발가락 벌림운동을 실시하였다.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변적, 그리고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는 실험전과 8 주 운동 후에 방사선 촬영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 주 후에 발가락벌림운동군에서는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와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엄지모음근의 단면적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보조기군에서는 세 가지의 변수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와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의 감소와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 및 단면적의 증가를 위하여 발가락벌림운동이 도움이 될 것이다.This series of two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oeㅡspreadㅡout exercise (TSO) on activity of abductor hallucis (AbdH) muscle, hallux valgus (HV) angle, cross-sectional area (CSA) of AbdH, and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in HV subjects. Study 1 examined th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AbdH and adductor hallucis (AddH) muscles between the short foot (SF) and TSO exercises in mild HV subjects using electromyography (EMG) and 3ㅡdimentional motion analysis. Eighteen subjects (13 males, 5 females) with mild HV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ior to the experiment, investigator instructed subjects to perform the SF and TSO exercises in sitting position. EMG data were collected in AbdH and AddH muscles. Kinematic data of first metatarsophalangeal (MTP) joint in the horizontal plane were measured during each exercise. While AddH activ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F and TSO exercises, the TSO exercise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ctivation of the AbdH compared with the SF exercise. The ratio of AbdH to AddH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TSO exercise than in the SF exercise. The angle of the first MTP joint during the TSO exercise was significantly greater abduction than that during the SF exercise. Study 2 investigated the effect of 8ㅡweek TSO exercise on HV angle, CSA of AbdH muscl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of the hallux in subjects with HV. Twenty-four subjects with HV were randomly assigned to orthosis group and orthosis plus TSO exercise group. The orthosis group only wore the orthosis for 8 weeks, while the orthosis plus TSO group performed the TSO exercise and wore the orthosis for 8 weeks. The HV angle, the CSA of the AbdH muscle, and th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were measured initially and after 8ㅡweek TSO exercise by radiography and ultrasonography. After 8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HV angle, and th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SA of the AbdH muscle, in the orthosis plus TSO exercise group compared with the baseline valu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baseline in the HV angle, CSA of the AbdH muscle, and th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were observed in the orthosi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HV angle, CSA of the AbdH muscle, and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after the 8ㅡweek intervention. TSO exercise can be recommended optimize method to increase EMG activity of the AbdH muscle, the CSA of AbdH, and to reduce the HV angl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in subjects with HV.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실험을 통하여 발가락벌림운동 (toe-spread-out exercise)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면적, 그리고 능동적인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1 은 근전도와 3 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짧은발운동 (short foot exercise)과 발가락벌림운동 사이에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경증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18 명의 성인(남자 13 명, 여자 5 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짧은발운동과 발가락벌림운동 운동시에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는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첫 번째 발허리발가락 관절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짧은발운동과 발가락벌림운동 간에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는 짧은발운동보다 발가락벌림운동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엄지벌림근과 엄지모음근의 근활성도의 비도 발가락벌림운동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첫 번째 발허리발가락 관절의 벌림각도는 발가락 벌림운동을 하는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연구 2 에서는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8 주 발가락벌림운동이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8 주 발각락벌림운동이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면적, 그리고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증가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24 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무작위로 보조기군과 발가락벌림운동군으로 나누었다. 먼저 보조기군은 8 주동안 보조기만 착용하였으며, 발가락벌림운동군은 8 주동안 보조기를 착용과 더불어 발가락 벌림운동을 실시하였다.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 엄지벌림근의 단변적, 그리고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는 실험전과 8 주 운동 후에 방사선 촬영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 주 후에 발가락벌림운동군에서는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와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시의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엄지모음근의 단면적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보조기군에서는 세 가지의 변수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엄지발가락가쪽휨 각도와 능동적 엄지발가락 벌림의 감소와 엄지벌림근의 근활성도 및 단면적의 증가를 위하여 발가락벌림운동이 도움이 될 것이다.This series of two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oeㅡspreadㅡout exercise (TSO) on activity of abductor hallucis (AbdH) muscle, hallux valgus (HV) angle, cross-sectional area (CSA) of AbdH, and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in HV subjects. Study 1 examined th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AbdH and adductor hallucis (AddH) muscles between the short foot (SF) and TSO exercises in mild HV subjects using electromyography (EMG) and 3ㅡdimentional motion analysis. Eighteen subjects (13 males, 5 females) with mild HV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ior to the experiment, investigator instructed subjects to perform the SF and TSO exercises in sitting position. EMG data were collected in AbdH and AddH muscles. Kinematic data of first metatarsophalangeal (MTP) joint in the horizontal plane were measured during each exercise. While AddH activ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F and TSO exercises, the TSO exercise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ctivation of the AbdH compared with the SF exercise. The ratio of AbdH to AddH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TSO exercise than in the SF exercise. The angle of the first MTP joint during the TSO exercise was significantly greater abduction than that during the SF exercise. Study 2 investigated the effect of 8ㅡweek TSO exercise on HV angle, CSA of AbdH muscl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of the hallux in subjects with HV. Twenty-four subjects with HV were randomly assigned to orthosis group and orthosis plus TSO exercise group. The orthosis group only wore the orthosis for 8 weeks, while the orthosis plus TSO group performed the TSO exercise and wore the orthosis for 8 weeks. The HV angle, the CSA of the AbdH muscle, and th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were measured initially and after 8ㅡweek TSO exercise by radiography and ultrasonography. After 8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HV angle, and th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SA of the AbdH muscle, in the orthosis plus TSO exercise group compared with the baseline valu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baseline in the HV angle, CSA of the AbdH muscle, and th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were observed in the orthosi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HV angle, CSA of the AbdH muscle, and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after the 8ㅡweek intervention. TSO exercise can be recommended optimize method to increase EMG activity of the AbdH muscle, the CSA of AbdH, and to reduce the HV angle, HV angle during active abduction in subjects with HV.
Keyword
#Abductor hallucis Hallux valgus Radiography Short foot exercise Toeㅡspreadㅡout exercise
학위논문 정보
저자
Kim, Moon Hwan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물리치료학과
지도교수
권오윤
발행연도
2015
총페이지
vii, 48p
키워드
Abductor hallucis Hallux valgus Radiography Short foot exercise Toeㅡspreadㅡout exerci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