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의 역할기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상담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이 바라는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기대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가설 1-1>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이 바라는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기대는 학교상담자의 역할영역(학교·학급 생활지도,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앞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8개 초등학교를 임의표집하여 교사 174명, 5, 6학년 학부모 344명, 5, 6학년 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허승희와 박성미(2004)의 연구와 그 후속연구(2005) 및 이종헌(2005)의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총 33문항으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의 역할기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상담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이 바라는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기대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가설 1-1>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이 바라는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기대는 학교상담자의 역할영역(학교·학급 생활지도,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앞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8개 초등학교를 임의표집하여 교사 174명, 5, 6학년 학부모 344명, 5, 6학년 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허승희와 박성미(2004)의 연구와 그 후속연구(2005) 및 이종헌(2005)의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총 33문항으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역할영역별 집단 간 역할기대의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χ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는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는 초등학교 학교상담자 역할영역 7개 중 6개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상담자의 역할영역에 따라 세 집단 간의 역할기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교·학급 생활지도’에 대해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은 모두 담임교사의 역할로 기대하고 있으며 세 집단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생활지도 체제지원’, ‘개별 및 집단상담’과 ‘위기상담’에서는 담임교사와 학부모는 일치된 역할기대를 하였으나 학생과는 차이가 있었다(p<.001). ‘부모상담’, ‘아동이해 정보제공’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Scheffé 검증을 통해 세 집단이 서로 다른 역할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학교상담 행정업무’의 경우 교사와 학생의 역할기대는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셋째,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의 역할기대는 문항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상담자 역할영역을 구성하는 하위문항 간에도 세 집단의 역할기대는 조금씩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비슷하게 나타나는 반면 학생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낮고 교실 안의 담임교사의 영향력이 커서 상대적으로 담임교사에 대한 학교상담자 역할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상담자의 역할을 영역별, 문항별로 살펴본 결과 세 집단 간의 역할기대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상담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상담자에 대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의 서로 다른 역할기대를 어떻게 조화롭게 운영해야 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높이고 집단 간의 차이를 반영한 학교상담의 실시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의 역할기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상담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이 바라는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기대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가설 1-1>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이 바라는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기대는 학교상담자의 역할영역(학교·학급 생활지도,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앞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8개 초등학교를 임의표집하여 교사 174명, 5, 6학년 학부모 344명, 5, 6학년 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허승희와 박성미(2004)의 연구와 그 후속연구(2005) 및 이종헌(2005)의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총 33문항으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역할영역별 집단 간 역할기대의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χ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는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는 초등학교 학교상담자 역할영역 7개 중 6개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상담자의 역할영역에 따라 세 집단 간의 역할기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교·학급 생활지도’에 대해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은 모두 담임교사의 역할로 기대하고 있으며 세 집단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생활지도 체제지원’, ‘개별 및 집단상담’과 ‘위기상담’에서는 담임교사와 학부모는 일치된 역할기대를 하였으나 학생과는 차이가 있었다(p<.001). ‘부모상담’, ‘아동이해 정보제공’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Scheffé 검증을 통해 세 집단이 서로 다른 역할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학교상담 행정업무’의 경우 교사와 학생의 역할기대는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셋째,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의 역할기대는 문항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상담자 역할영역을 구성하는 하위문항 간에도 세 집단의 역할기대는 조금씩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자로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비슷하게 나타나는 반면 학생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낮고 교실 안의 담임교사의 영향력이 커서 상대적으로 담임교사에 대한 학교상담자 역할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상담자의 역할을 영역별, 문항별로 살펴본 결과 세 집단 간의 역할기대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상담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상담자에 대한 담임교사, 학부모, 학생의 서로 다른 역할기대를 어떻게 조화롭게 운영해야 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높이고 집단 간의 차이를 반영한 학교상담의 실시가 요구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