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크고 원천기술 확보가 주요한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세계 각국이 정책적으로 지원 및 육성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중 하나이다. 선진 각국이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정책지원을 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식품산업의 발전전략 수립에 있어 체계적이고, 학문적인 접근방법에 기인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정책대안 제시가 부재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실증적이고 객관성에 기인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중점과제인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식품산업의 발전요인 구성요인을 체계화하였고, 한국 식품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식품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식품산업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분석의 기본 틀로 계층분석을 이용한 발전요인 구성요소간의 ...
식품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크고 원천기술 확보가 주요한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세계 각국이 정책적으로 지원 및 육성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중 하나이다. 선진 각국이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정책지원을 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식품산업의 발전전략 수립에 있어 체계적이고, 학문적인 접근방법에 기인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정책대안 제시가 부재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실증적이고 객관성에 기인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중점과제인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식품산업의 발전요인 구성요인을 체계화하였고, 한국 식품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식품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식품산업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분석의 기본 틀로 계층분석을 이용한 발전요인 구성요소간의 쌍대비교 방법과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경제적 파급효과의 계측방법을 활용하였다.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측정하여 발전요인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계층분석의 결과, 현시점의 한국 식품산업의 1차 계층을 구성하는 3개 발전요인의 중요도의 우선순위는 기술역량, 산업환경, 지원체계의 순서로 나타났다. 2차 계층을 구성하는 9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원천기술, 산업화기술, 혁신인프라, 네트워킹, 선순환구조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3차 계층을 구성하는 27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기술역량 부문의 기초기술개발, 지원체계 부문의 국내외 마케팅지원, 산업환경 부문의 산학연 간 연계 강화가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핵심적인 기초기술개발, 현장애로기술지원, 응용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역량의 강화가 필요하고, 이를 산업에 연계 할 수 있는 산업화기술 및 기업지원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투자가 절실히 이루어 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미래시점의 한국 식품산업의 1차 계층을 구성하는 3개 발전요인의 중요도의 우선순위는 기술역량, 산업환경, 지원체계의 순서로 나타났다. 2차 계층을 구성하는 9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원천기술, 선순환구조, 산업화기술, 네트워킹, 제도개선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3차 계층을 구성하는 27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기술역량 부문의 응용기술개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원체계 부문의 연구개발 인력양성 및 재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환경 부문에서는 국내외 연구·생산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융복합 산업화를 위한 응용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역량의 강화가 필요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연계 할 수 있는 선순환구조 확립 및 산업환경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투자가 절실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산업연관분석의 결과, 식품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1.965원의 값이 계측되었고, 생산유발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음식료품, 농림수산품, 화학제품 순이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694원의 값이 계측되었고,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음식료품, 농림수산품, 도소매 순이었다. 취업유발효과는 10억 원당 15.6명으로 계측되었고, 취업유발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도소매 순이었다. 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 계수를 살펴보면, 화학제품이 1.872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는 도소매업이 1.344, 음식료품 1.117순으로 나타났으며, 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의 경우 일반기계가 1.212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는 음식료품이 1.0963, 정밀기기 1.065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산업과 타 산업과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계수들을 살펴보면 식품산업은 음식료품, 농림수산품, 화학제품, 도소매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파악되었으며, 식품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음식료품산업 등 연관산업이 함께 성장해야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관관계가 심화되어야만 식품산업의 성장이동 산업 안에서만 머물지 않고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둔한 타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국민경제 전체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종합적으로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서, 첫째 미래 농수산식품 자원확보, 원료·소재의 생산성 증대 및 가치 창출, 생애주기별 제품개발 및 상품화 지원 등 기술 경쟁력 강화를 해야 하며, 둘째 동북아 수출 거점을 위한 비즈니스거점 조성, 수출산업 전략적 기능 강화, 수출 품목 육성 등의 정책을 추진해야 되며, 셋째 식품기간업 등 연관산업 육성, 융복합 창의적 인재양성, 신개념 운송시스템 구축 등 첨단 융복합 산업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넷째 식품기업의 창조적 지원, 기능성 소재 발굴 및 DB화, 산업화 촉진, 고부가 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R&D 상용화촉진을 위한 사업을 추진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 신속·안전 공급 체제 구축을 위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식품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크고 원천기술 확보가 주요한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세계 각국이 정책적으로 지원 및 육성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중 하나이다. 선진 각국이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정책지원을 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식품산업의 발전전략 수립에 있어 체계적이고, 학문적인 접근방법에 기인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정책대안 제시가 부재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실증적이고 객관성에 기인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중점과제인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식품산업의 발전요인 구성요인을 체계화하였고, 한국 식품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식품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식품산업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분석의 기본 틀로 계층분석을 이용한 발전요인 구성요소간의 쌍대비교 방법과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경제적 파급효과의 계측방법을 활용하였다.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측정하여 발전요인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계층분석의 결과, 현시점의 한국 식품산업의 1차 계층을 구성하는 3개 발전요인의 중요도의 우선순위는 기술역량, 산업환경, 지원체계의 순서로 나타났다. 2차 계층을 구성하는 9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원천기술, 산업화기술, 혁신인프라, 네트워킹, 선순환구조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3차 계층을 구성하는 27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기술역량 부문의 기초기술개발, 지원체계 부문의 국내외 마케팅지원, 산업환경 부문의 산학연 간 연계 강화가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핵심적인 기초기술개발, 현장애로기술지원, 응용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역량의 강화가 필요하고, 이를 산업에 연계 할 수 있는 산업화기술 및 기업지원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투자가 절실히 이루어 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미래시점의 한국 식품산업의 1차 계층을 구성하는 3개 발전요인의 중요도의 우선순위는 기술역량, 산업환경, 지원체계의 순서로 나타났다. 2차 계층을 구성하는 9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원천기술, 선순환구조, 산업화기술, 네트워킹, 제도개선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3차 계층을 구성하는 27개 발전요인 중에서는 기술역량 부문의 응용기술개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원체계 부문의 연구개발 인력양성 및 재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환경 부문에서는 국내외 연구·생산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융복합 산업화를 위한 응용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역량의 강화가 필요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연계 할 수 있는 선순환구조 확립 및 산업환경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투자가 절실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산업연관분석의 결과, 식품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1.965원의 값이 계측되었고, 생산유발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음식료품, 농림수산품, 화학제품 순이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694원의 값이 계측되었고,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음식료품, 농림수산품, 도소매 순이었다. 취업유발효과는 10억 원당 15.6명으로 계측되었고, 취업유발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도소매 순이었다. 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 계수를 살펴보면, 화학제품이 1.872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는 도소매업이 1.344, 음식료품 1.117순으로 나타났으며, 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의 경우 일반기계가 1.212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는 음식료품이 1.0963, 정밀기기 1.065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산업과 타 산업과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계수들을 살펴보면 식품산업은 음식료품, 농림수산품, 화학제품, 도소매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파악되었으며, 식품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음식료품산업 등 연관산업이 함께 성장해야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관관계가 심화되어야만 식품산업의 성장이동 산업 안에서만 머물지 않고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둔한 타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국민경제 전체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종합적으로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서, 첫째 미래 농수산식품 자원확보, 원료·소재의 생산성 증대 및 가치 창출, 생애주기별 제품개발 및 상품화 지원 등 기술 경쟁력 강화를 해야 하며, 둘째 동북아 수출 거점을 위한 비즈니스거점 조성, 수출산업 전략적 기능 강화, 수출 품목 육성 등의 정책을 추진해야 되며, 셋째 식품기간업 등 연관산업 육성, 융복합 창의적 인재양성, 신개념 운송시스템 구축 등 첨단 융복합 산업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넷째 식품기업의 창조적 지원, 기능성 소재 발굴 및 DB화, 산업화 촉진, 고부가 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R&D 상용화촉진을 위한 사업을 추진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 신속·안전 공급 체제 구축을 위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Korea's food industry is a technology-intensive, higher value added business, in which research and development takes up a large proportion. And, therefore, it is vital to secure unique and original technology. It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industries, and is assisted and promoted b...
Korea's food industry is a technology-intensive, higher value added business, in which research and development takes up a large proportion. And, therefore, it is vital to secure unique and original technology. It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industries, and is assisted and promoted by national policies around the world. However, not many alternatives, which are based on systematic, academic approaches, to practical policies for establishing developmental strategies are suggested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will offer an practical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hierarchy and the inter-industry analysis, which is empirical and results from objectivity, based on an overall and systematic approach. The result of hierarchy analysis shows that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the technology capacity must be enhanced through its appl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convergence of industrialization. To link this to a sustainable development, a virtuous circulation and industrial environment is indispensable, and it is definite that political assistance and investment be acutely required. As a result of the inter-industry analysis and coefficient analysis, it can be understood that Korea's food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food and drink, agricultural products, chemical products, and retail and wholesale. For the growth of Korea's food industry, such relevant industries as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must grow along with it.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industries must be deepened so that the growth movement of the food industry may go beyond its limits and pull up other relatively slow growing industries, which will lead to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Overall, the following plans can be offered for the growth of Korea's food industry. First of all, technology competitiveness must be strengthened by the investment to stocks creating high added value, the recreation of the value of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novative function assessment system. Second, policies for a base for North-eastern Asia exports must be formulated to materialize innovative distribution, security maneuvers, and promotion of export products. Third, active assistance from government is required for the promotion of food-related front and back industries along with creation of new growth engines. There should be aggressive assistance to promote an up-to-date convergence industry for customer convenience through creation of a futuristic industry basis, to secure future agri-food resources, and to establish a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system. Fourth, political support for securing stable biological resources should be made and commercialization of R&D as well as mater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agri-food should be promoted. Finally, an innovative environment for industry-academic network should be created, the corporate support are to be systemized, and an environmental foundation must be established.
Korea's food industry is a technology-intensive, higher value added business, in which research and development takes up a large proportion. And, therefore, it is vital to secure unique and original technology. It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industries, and is assisted and promoted by national policies around the world. However, not many alternatives, which are based on systematic, academic approaches, to practical policies for establishing developmental strategies are suggested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will offer an practical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hierarchy and the inter-industry analysis, which is empirical and results from objectivity, based on an overall and systematic approach. The result of hierarchy analysis shows that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the technology capacity must be enhanced through its appl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convergence of industrialization. To link this to a sustainable development, a virtuous circulation and industrial environment is indispensable, and it is definite that political assistance and investment be acutely required. As a result of the inter-industry analysis and coefficient analysis, it can be understood that Korea's food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food and drink, agricultural products, chemical products, and retail and wholesale. For the growth of Korea's food industry, such relevant industries as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must grow along with it.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industries must be deepened so that the growth movement of the food industry may go beyond its limits and pull up other relatively slow growing industries, which will lead to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Overall, the following plans can be offered for the growth of Korea's food industry. First of all, technology competitiveness must be strengthened by the investment to stocks creating high added value, the recreation of the value of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novative function assessment system. Second, policies for a base for North-eastern Asia exports must be formulated to materialize innovative distribution, security maneuvers, and promotion of export products. Third, active assistance from government is required for the promotion of food-related front and back industries along with creation of new growth engines. There should be aggressive assistance to promote an up-to-date convergence industry for customer convenience through creation of a futuristic industry basis, to secure future agri-food resources, and to establish a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system. Fourth, political support for securing stable biological resources should be made and commercialization of R&D as well as mater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agri-food should be promoted. Finally, an innovative environment for industry-academic network should be created, the corporate support are to be systemized, and an environmental foundation must be establish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