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인공환경과 자연환경이 만나서 형성되는 경계지역은 장소적 모호함을 가지고 있다. 이 장소적 모호함은 단절감, 고립감, 위화감의 표상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계지역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경계지의 모호함이나 단절감을 보완할 디자인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거주지 인접 산지(山地)를 대상으로 물리적, 행태적, 환경적 요소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한 경계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스펙트럼 기법’을 도출하였다. ‘스펙트럼 기법’은 경계지역의 이용자가 느끼는 단절감을 완화하기 위한 디자인 도구이다. 특히 이 기법은 단절적 경계가 생성하는 두 구역 사이에 단계적 변화의 흐름을 적용하여, 연결성과 맥락성을 가미한 요소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모호한 경계지역을 정비해야 할 때 이 기법을 활용한다면, 선택적, 실천적 디자인 방향을 제안해 줄 것이다. 연구는 다음 다섯 단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도시의 경계지역은 경계를 생성하는 주변 구역들의 특성이 아닌 새로운 제3의 특징적 성격을 띠는데, 그것은 경계지역의 혼재적 복합성임을 밝혔다. 둘째, 경계지역에 대한 개념은 학문적 영역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
도시의 인공환경과 자연환경이 만나서 형성되는 경계지역은 장소적 모호함을 가지고 있다. 이 장소적 모호함은 단절감, 고립감, 위화감의 표상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계지역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경계지의 모호함이나 단절감을 보완할 디자인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거주지 인접 산지(山地)를 대상으로 물리적, 행태적, 환경적 요소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한 경계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스펙트럼 기법’을 도출하였다. ‘스펙트럼 기법’은 경계지역의 이용자가 느끼는 단절감을 완화하기 위한 디자인 도구이다. 특히 이 기법은 단절적 경계가 생성하는 두 구역 사이에 단계적 변화의 흐름을 적용하여, 연결성과 맥락성을 가미한 요소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모호한 경계지역을 정비해야 할 때 이 기법을 활용한다면, 선택적, 실천적 디자인 방향을 제안해 줄 것이다. 연구는 다음 다섯 단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도시의 경계지역은 경계를 생성하는 주변 구역들의 특성이 아닌 새로운 제3의 특징적 성격을 띠는데, 그것은 경계지역의 혼재적 복합성임을 밝혔다. 둘째, 경계지역에 대한 개념은 학문적 영역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환경디자인을 고려한 관점에서 경계지역의 생성 배경을 알아보았다. 또한, 경계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인 물리적 경계, 행태적 경계, 환경적 경계로 분류하여 경계지역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사례 분석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례 분석 기준을 통해 연구의 범위인 거주지 인접 산지(山地)의 경계지역을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서울시 내에 위치한 관악산 봉천동, 남산 후암동, 도봉산 도봉동, 북한산 수유동, 안산·궁동산 연희동의 경계지역이다. 이를 통하여 다섯 가지 경계지역의 패턴이 파악되었고, 이러한 패턴은 척도 그래프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강조되는 경계 유형은 달랐으며, 그로 말미암아 경계지역의 특성이 각기 다르게 발현됨을 증명하였다. 넷째, 이렇게 해석한 패턴 분석을 통해 ‘스펙트럼 기법’을 구성하였고, 스펙트럼의 양극단에서 좌측은 자연공원법에 의해 관리되는 공간, 우측은 도시개발법에 의해 관리되는 공간으로 기준이 정해졌다. 그 사이에는 스펙트럼 구역(A)~(C)가 위치하고, 구역별로 양극단으로부터 받는 영향력의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스펙트럼 구역(A)~(C)는 각각의 보완항목을 위한 가감요소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스펙트럼 구역(A)~(C)가 각각의 단절적 경계감을 해소하도록, 가감요소와 적용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밝힌 스펙트럼 기법은 경계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단초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기법은 단절적 경계감에서 파생된 환경의 부조화적 상황을 인식하는 다시점적 기준이 될 것이며, 경계지역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통로가 될 것이다.
도시의 인공환경과 자연환경이 만나서 형성되는 경계지역은 장소적 모호함을 가지고 있다. 이 장소적 모호함은 단절감, 고립감, 위화감의 표상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계지역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경계지의 모호함이나 단절감을 보완할 디자인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거주지 인접 산지(山地)를 대상으로 물리적, 행태적, 환경적 요소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한 경계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스펙트럼 기법’을 도출하였다. ‘스펙트럼 기법’은 경계지역의 이용자가 느끼는 단절감을 완화하기 위한 디자인 도구이다. 특히 이 기법은 단절적 경계가 생성하는 두 구역 사이에 단계적 변화의 흐름을 적용하여, 연결성과 맥락성을 가미한 요소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모호한 경계지역을 정비해야 할 때 이 기법을 활용한다면, 선택적, 실천적 디자인 방향을 제안해 줄 것이다. 연구는 다음 다섯 단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도시의 경계지역은 경계를 생성하는 주변 구역들의 특성이 아닌 새로운 제3의 특징적 성격을 띠는데, 그것은 경계지역의 혼재적 복합성임을 밝혔다. 둘째, 경계지역에 대한 개념은 학문적 영역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환경디자인을 고려한 관점에서 경계지역의 생성 배경을 알아보았다. 또한, 경계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인 물리적 경계, 행태적 경계, 환경적 경계로 분류하여 경계지역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사례 분석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례 분석 기준을 통해 연구의 범위인 거주지 인접 산지(山地)의 경계지역을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서울시 내에 위치한 관악산 봉천동, 남산 후암동, 도봉산 도봉동, 북한산 수유동, 안산·궁동산 연희동의 경계지역이다. 이를 통하여 다섯 가지 경계지역의 패턴이 파악되었고, 이러한 패턴은 척도 그래프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패턴에 따라 강조되는 경계 유형은 달랐으며, 그로 말미암아 경계지역의 특성이 각기 다르게 발현됨을 증명하였다. 넷째, 이렇게 해석한 패턴 분석을 통해 ‘스펙트럼 기법’을 구성하였고, 스펙트럼의 양극단에서 좌측은 자연공원법에 의해 관리되는 공간, 우측은 도시개발법에 의해 관리되는 공간으로 기준이 정해졌다. 그 사이에는 스펙트럼 구역(A)~(C)가 위치하고, 구역별로 양극단으로부터 받는 영향력의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스펙트럼 구역(A)~(C)는 각각의 보완항목을 위한 가감요소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스펙트럼 구역(A)~(C)가 각각의 단절적 경계감을 해소하도록, 가감요소와 적용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밝힌 스펙트럼 기법은 경계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단초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기법은 단절적 경계감에서 파생된 환경의 부조화적 상황을 인식하는 다시점적 기준이 될 것이며, 경계지역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통로가 될 것이다.
Boundary area that is formed as urban artificial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are encountered has a spatial ambiguity. This ambiguity sometimes signifies a sense of estrangement, loneliness and disharmony. In this study, a design technique that may supplement ambiguity or sense of estrangemen...
Boundary area that is formed as urban artificial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are encountered has a spatial ambiguity. This ambiguity sometimes signifies a sense of estrangement, loneliness and disharmony. In this study, a design technique that may supplement ambiguity or sense of estrangement of boundary area was suggested by generally identifying the situation of boundary area.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features of boundary area considering three aspects including physical, behaviour and environmental factors by targeting mountain area neighboring with residing area and based on this result, 'spectrum technique' was deduced. 'Spectrum technique' is a design tool for relaxing a sense of estrangement being felt by users of boundary area. Particularly, this technique was composed of elements reflecting connectivity and contextuality by applying flow of stage-by-stage changes between two zones being generated by estranged boundary. Therefore, if this technique should be utilized when ambiguous boundary area is required to be arranged, selective, practical design direction would be enabled. This study was progressed in a process of 5 stages as follows. First, urban boundary area represents a new third characteristic nature, not features of neighboring area that generates boundary and it was clarified to be a mixed complexity of boundary area. Second, concept of boundary area is generally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an academic area but in this study, generation background of boundary area was explored considering environmental design perspective. In addition, by segmenting boundary area into factors of physical, behaviour and environmental boundaries that comprise boundary space, it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 a standard of case study was suggested. Third, through standard of case study, boundary area of neighboring mountain area that is a range of this study was analyzed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argeting boundary area of Bongcheon-dong of Gwanaksan, Huam-dong of Namsan, Dobong-dong of Dobongsan, Suyu-dong of Bukhansan and Yeonhee-dong of Ansan, Goongdongsan. Through this, pattern of five boundary areas was identified and analyzed by scale graph. Boundary type being emphasized by each pattern was different and it was proved as a consequence that features of boundary area was differently expressed. Fourth, through pattern analysis being performed like this, 'spectrum technique' was composed and at both extreme ends of spectrum, a standard that left side is a space managed by natural park law and right side is a one managed by urban development law was defined. In its in-between, spectrum zone (A) - (C) was located and difference of influence being affected by both extreme ends was represented. Through this, in spectrum zone (A) - (C), addition and removal elements for each supplementary item were deduced. Fifth, addition, removal elements and application method were explained so that each estranged sense of boundary in spectrum zone (A) - (C) would be eliminated. Spectrum technique being clarified in this study would provide a clue through which problem involved in boundary area would be solved. More than anything else, this technique would becomes a multi-view standard that recognizes incongruous environmental situation being derived from estranged sense of boundary and a pathway through which a new possibility for boundary ara would be discovered.
Boundary area that is formed as urban artificial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are encountered has a spatial ambiguity. This ambiguity sometimes signifies a sense of estrangement, loneliness and disharmony. In this study, a design technique that may supplement ambiguity or sense of estrangement of boundary area was suggested by generally identifying the situation of boundary area.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features of boundary area considering three aspects including physical, behaviour and environmental factors by targeting mountain area neighboring with residing area and based on this result, 'spectrum technique' was deduced. 'Spectrum technique' is a design tool for relaxing a sense of estrangement being felt by users of boundary area. Particularly, this technique was composed of elements reflecting connectivity and contextuality by applying flow of stage-by-stage changes between two zones being generated by estranged boundary. Therefore, if this technique should be utilized when ambiguous boundary area is required to be arranged, selective, practical design direction would be enabled. This study was progressed in a process of 5 stages as follows. First, urban boundary area represents a new third characteristic nature, not features of neighboring area that generates boundary and it was clarified to be a mixed complexity of boundary area. Second, concept of boundary area is generally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an academic area but in this study, generation background of boundary area was explored considering environmental design perspective. In addition, by segmenting boundary area into factors of physical, behaviour and environmental boundaries that comprise boundary space, it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 a standard of case study was suggested. Third, through standard of case study, boundary area of neighboring mountain area that is a range of this study was analyzed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argeting boundary area of Bongcheon-dong of Gwanaksan, Huam-dong of Namsan, Dobong-dong of Dobongsan, Suyu-dong of Bukhansan and Yeonhee-dong of Ansan, Goongdongsan. Through this, pattern of five boundary areas was identified and analyzed by scale graph. Boundary type being emphasized by each pattern was different and it was proved as a consequence that features of boundary area was differently expressed. Fourth, through pattern analysis being performed like this, 'spectrum technique' was composed and at both extreme ends of spectrum, a standard that left side is a space managed by natural park law and right side is a one managed by urban development law was defined. In its in-between, spectrum zone (A) - (C) was located and difference of influence being affected by both extreme ends was represented. Through this, in spectrum zone (A) - (C), addition and removal elements for each supplementary item were deduced. Fifth, addition, removal elements and application method were explained so that each estranged sense of boundary in spectrum zone (A) - (C) would be eliminated. Spectrum technique being clarified in this study would provide a clue through which problem involved in boundary area would be solved. More than anything else, this technique would becomes a multi-view standard that recognizes incongruous environmental situation being derived from estranged sense of boundary and a pathway through which a new possibility for boundary ara would be discover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