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atechuic acid는 과일과 채소류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폴리페놀의 주요 대사성분으로 양파, 녹차, 복분자, 버섯류에 함유되어 있다. 알려진 효능으로는 항염증, 항암,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으나 노화와 관련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노화와 관련하여 Protocatechuic acid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세포인 RAW264.7 cells과 ...
Protocatechuic acid는 과일과 채소류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폴리페놀의 주요 대사성분으로 양파, 녹차, 복분자, 버섯류에 함유되어 있다. 알려진 효능으로는 항염증, 항암,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으나 노화와 관련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노화와 관련하여 Protocatechuic acid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세포인 RAW264.7 cells과 NF-κBluciferase reporter gene을 가지고 있는 NIH-3T3 cells, HDF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RAW 264.7 cell을 이용한 항염 효과실험 결과, LPS 단독처리시 세포 내 염증매개성 cytikine인 IL-1β, TNF-ɑ, COX2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Protocatechuic acid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OS와 RNS 또한 in vitro실험을 통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IH-3T3 cell을 통한 NF-κB 발현분석 실험에서도 LPS에 의해 발현이 증가한 NF-κB luciferase 활성이 Protocatechuic acid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진피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SA-β-gal assay를 통해 세포노화억제효능과 항산화 효소인 SOD-1, CAT의 유의적인 발현 증가, protocollagen 유전자인 COL1A1mRNA 발현의 증가와 collagenase인 MMP-1, MMP-3 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서 protocatechuic acid가 유도하는 진피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 촉진 효과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노화를 유도하거나 촉진하는 염증반응과 산화 반응이 Protocatechuic acid에 의해 조절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Protocatechuic acid은 노화현상을 억제하거나 지연하는 화장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otocatechuic acid는 과일과 채소류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폴리페놀의 주요 대사성분으로 양파, 녹차, 복분자, 버섯류에 함유되어 있다. 알려진 효능으로는 항염증, 항암,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으나 노화와 관련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노화와 관련하여 Protocatechuic acid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세포인 RAW264.7 cells과 NF-κB luciferase reporter gene을 가지고 있는 NIH-3T3 cells, HDF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RAW 264.7 cell을 이용한 항염 효과실험 결과, LPS 단독처리시 세포 내 염증매개성 cytikine인 IL-1β, TNF-ɑ, COX2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Protocatechuic acid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OS와 RNS 또한 in vitro실험을 통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IH-3T3 cell을 통한 NF-κB 발현분석 실험에서도 LPS에 의해 발현이 증가한 NF-κB luciferase 활성이 Protocatechuic acid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진피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SA-β-gal assay를 통해 세포노화억제효능과 항산화 효소인 SOD-1, CAT의 유의적인 발현 증가, protocollagen 유전자인 COL1A1 mRNA 발현의 증가와 collagenase인 MMP-1, MMP-3 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서 protocatechuic acid가 유도하는 진피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 촉진 효과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노화를 유도하거나 촉진하는 염증반응과 산화 반응이 Protocatechuic acid에 의해 조절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Protocatechuic acid은 노화현상을 억제하거나 지연하는 화장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otocatechuic acid is a compound of polyphenol anti-oxidant metabolyse found in green tea, mushrooms and Rubus coreanus.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 effects of protocatechuic acid in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anti-stress, but not in aging rel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
Protocatechuic acid is a compound of polyphenol anti-oxidant metabolyse found in green tea, mushrooms and Rubus coreanus.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 effects of protocatechuic acid in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anti-stress, but not in aging rel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ocatechuic acid in LPS or H2O2 treated RAW 264.7 cells, NIH-3T3 cells, and HDF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To evaluate cellular efficacy of protocatechuic aci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first. Through cell viability analysis, protocatechuic acid shown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n LPS treated RAW 264.7 cells and H2O2 treated HDF. In vitro ROS and RNS scavenging assay represented anti-oxidant effects of protocatechuic acid. Quantitative real-time PCR signified that protocatechuic acid regulated inflammatory cytokines expression such as iNOS, COX-2, TNF-α, and IL-1β, also extracellular matrix regulated genes, COL1A1 and MMPs. Further, SOD1 and CAT mRNA expression was explained in qRT-PCR. The result of SA-β-galactosidase assay display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n cellular senescence. Wound healing assay expressed that protocatechuic acid helped to cellular activity and promoting cell migration. With these results, we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protocatechuic acid as a functional cosmetic component.
Protocatechuic acid is a compound of polyphenol anti-oxidant metabolyse found in green tea, mushrooms and Rubus coreanus.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 effects of protocatechuic acid in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anti-stress, but not in aging rel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ocatechuic acid in LPS or H2O2 treated RAW 264.7 cells, NIH-3T3 cells, and HDF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To evaluate cellular efficacy of protocatechuic aci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first. Through cell viability analysis, protocatechuic acid shown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n LPS treated RAW 264.7 cells and H2O2 treated HDF. In vitro ROS and RNS scavenging assay represented anti-oxidant effects of protocatechuic acid. Quantitative real-time PCR signified that protocatechuic acid regulated inflammatory cytokines expression such as iNOS, COX-2, TNF-α, and IL-1β, also extracellular matrix regulated genes, COL1A1 and MMPs. Further, SOD1 and CAT mRNA expression was explained in qRT-PCR. The result of SA-β-galactosidase assay display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n cellular senescence. Wound healing assay expressed that protocatechuic acid helped to cellular activity and promoting cell migration. With these results, we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protocatechuic acid as a functional cosmetic compon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