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미혼임부와 양육미혼모의 위기개입과 PTSD반응의 관계연구 : 한국교회의 선교상담 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The healing effects on PTSD according to crisis intervention methods concerning single pregnant women and single mothers : focused on missional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s of Korean churches원문보기
< 국문초록 > 본 연구는 미혼임부와 양육미혼모를 대상으로 임신과 출산 이라는 과정에서 지지제공자로 부터 받은 정서적·봉사적·물질적 위기개입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제공자로부터 받은 개입시점과 지원방법에 따른 변수가 미혼모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혼모를 도와주는 지지제공자의 지지체계가 미혼모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위기개입시점 및 지지제공자의 중요성과 미혼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언한다. 아울러 미혼모에게서 나타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 변수와 한국교회의 지원 및 개입의 상관관계를 통해 한국교회의 선교 상담 실천방안이 무엇인지 제언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재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살아가는 미혼임부와 양육미혼모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방법으로 미혼모당사자 협회인 ‘Daegu-Kumfa협회’와 부속‘대구 보호자립시설-봄날’, ‘인천서구건강지원센터’의 등록회원, 미혼모 당사자모임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 미혼모당사자 모임인 ‘인트리협회’, 미혼모기본생활시설인 ‘애란원’에 등록된 회원 119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및 미혼모특성, 위기개입, PTSD반응, 교회의 지원 및 개입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100부를 통해 최종 연구를 하였다. 미혼임부는 13명(13%), 양육미혼모는 87명(87%)로 설문이 응답되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 통계조사분석 도구를 통하여 Cronbach a 산출 및 ...
< 국문초록 > 본 연구는 미혼임부와 양육미혼모를 대상으로 임신과 출산 이라는 과정에서 지지제공자로 부터 받은 정서적·봉사적·물질적 위기개입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제공자로부터 받은 개입시점과 지원방법에 따른 변수가 미혼모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혼모를 도와주는 지지제공자의 지지체계가 미혼모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위기개입시점 및 지지제공자의 중요성과 미혼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언한다. 아울러 미혼모에게서 나타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 변수와 한국교회의 지원 및 개입의 상관관계를 통해 한국교회의 선교 상담 실천방안이 무엇인지 제언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재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살아가는 미혼임부와 양육미혼모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방법으로 미혼모당사자 협회인 ‘Daegu-Kumfa협회’와 부속‘대구 보호자립시설-봄날’, ‘인천서구건강지원센터’의 등록회원, 미혼모 당사자모임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 미혼모당사자 모임인 ‘인트리협회’, 미혼모기본생활시설인 ‘애란원’에 등록된 회원 119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및 미혼모특성, 위기개입, PTSD반응, 교회의 지원 및 개입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100부를 통해 최종 연구를 하였다. 미혼임부는 13명(13%), 양육미혼모는 87명(87%)로 설문이 응답되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 통계조사분석 도구를 통하여 Cronbach a 산출 및 타당도 분석,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량 분석, t-test(paired t-test)양방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모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증세가 보이는 시점은 임신후기부터 출산 후 6개월 이내로 그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특성과 미혼모특성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별 위기개입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봉사적, 물질적인 위기개입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교회의 개입과 지원여부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회가 말씀과 전도 및 상담으로 미혼모를 위로를 하고 보살필 때 이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이 매우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가 상한마음으로 살아가는 어려운 이들을 돌아보고 지지할 때 나타나는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여섯째, 미혼모에게 정죄와 판단을 하게 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가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모 스스로가 자신을 정죄를 하거나 우리가 미혼모를 향해 정죄하거나 판단할 때 모두 동일하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과 반응을 더욱 악화시켰다. 일곱째, 미혼임부시기와 현재 양육미혼모가 되고나서의 위기개입여부에 대한 두 조건의 대응표본 t-test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미혼임부시기보다 양육미혼모의 위기개입이 전체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에서 미혼임부가 받는 정서적, 봉사적, 물질적인 위기개입이 열악하다는 반증이다. 본 연구에서 친구와 친인척의 위기개입여부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연결되는 발생빈도에 있어서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미혼모가 되고나서 가까운 가족과 지인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체험하고, 그로인한 수치심과 죄책감을 자주 느낄수록 분노, 정서불안, 두통, 충동장애, 폭식, 신체 떨림, 부음, 심장압박(화병), 신체기능저하 등과 같은 외상성 반응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죄책감, 수치심, 정죄, 판단이 사람의 정신과 육체를 모두 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교회가 말씀으로 위로와 권면을 해줄 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과 반응이 호전되고 치유가 되는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오직 생명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만이 죄와 사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선교상담학적 해석과 교회의 사명과 선교의 보편성을 더욱 확립시킨다.
< 국문초록 > 본 연구는 미혼임부와 양육미혼모를 대상으로 임신과 출산 이라는 과정에서 지지제공자로 부터 받은 정서적·봉사적·물질적 위기개입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제공자로부터 받은 개입시점과 지원방법에 따른 변수가 미혼모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혼모를 도와주는 지지제공자의 지지체계가 미혼모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위기개입시점 및 지지제공자의 중요성과 미혼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언한다. 아울러 미혼모에게서 나타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 변수와 한국교회의 지원 및 개입의 상관관계를 통해 한국교회의 선교 상담 실천방안이 무엇인지 제언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재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살아가는 미혼임부와 양육미혼모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방법으로 미혼모당사자 협회인 ‘Daegu-Kumfa협회’와 부속‘대구 보호자립시설-봄날’, ‘인천서구건강지원센터’의 등록회원, 미혼모 당사자모임인 ‘한국미혼모가족협회’, 미혼모당사자 모임인 ‘인트리협회’, 미혼모기본생활시설인 ‘애란원’에 등록된 회원 119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및 미혼모특성, 위기개입, PTSD반응, 교회의 지원 및 개입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100부를 통해 최종 연구를 하였다. 미혼임부는 13명(13%), 양육미혼모는 87명(87%)로 설문이 응답되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 통계조사분석 도구를 통하여 Cronbach a 산출 및 타당도 분석,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량 분석, t-test(paired t-test)양방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모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증세가 보이는 시점은 임신후기부터 출산 후 6개월 이내로 그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특성과 미혼모특성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별 위기개입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봉사적, 물질적인 위기개입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교회의 개입과 지원여부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회가 말씀과 전도 및 상담으로 미혼모를 위로를 하고 보살필 때 이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반응이 매우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가 상한마음으로 살아가는 어려운 이들을 돌아보고 지지할 때 나타나는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여섯째, 미혼모에게 정죄와 판단을 하게 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가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모 스스로가 자신을 정죄를 하거나 우리가 미혼모를 향해 정죄하거나 판단할 때 모두 동일하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과 반응을 더욱 악화시켰다. 일곱째, 미혼임부시기와 현재 양육미혼모가 되고나서의 위기개입여부에 대한 두 조건의 대응표본 t-test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미혼임부시기보다 양육미혼모의 위기개입이 전체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에서 미혼임부가 받는 정서적, 봉사적, 물질적인 위기개입이 열악하다는 반증이다. 본 연구에서 친구와 친인척의 위기개입여부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연결되는 발생빈도에 있어서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미혼모가 되고나서 가까운 가족과 지인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체험하고, 그로인한 수치심과 죄책감을 자주 느낄수록 분노, 정서불안, 두통, 충동장애, 폭식, 신체 떨림, 부음, 심장압박(화병), 신체기능저하 등과 같은 외상성 반응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죄책감, 수치심, 정죄, 판단이 사람의 정신과 육체를 모두 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교회가 말씀으로 위로와 권면을 해줄 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과 반응이 호전되고 치유가 되는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오직 생명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만이 죄와 사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선교상담학적 해석과 교회의 사명과 선교의 보편성을 더욱 확립시킨다.
The healing effects on PTSD according to crisis intervention methods concerning single pregnant women and single mothers : focused on missional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s of Korean churches HanNa Cho(M.A) Supervisor Dr. ByunMoon Kang(Ph.D.) Department of Healing Ministry Graduate School of Miss...
The healing effects on PTSD according to crisis intervention methods concerning single pregnant women and single mothers : focused on missional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s of Korean churches HanNa Cho(M.A) Supervisor Dr. ByunMoon Kang(Ph.D.) Department of Healing Ministry Graduate School of Missions in Chongshin University This study is for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of reaction and correlation of mental, voluntary, material crisis intervention from supporter in pregnancy and childbirth for single pregnant woman and single mother as target.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compare with an influence which is affected to stress disorder after single mother's traumatism according to variables of time of an intervention and way to support from countenance. Thus, this study suggests a hypothesis about actual way to support which can help single mother and let you know the time of an intervention and supporter's importance after grasping influence about stress disorder following single mother's traumatism from supporter's supportive system. In addition, it suggests what is practical plan of Korean church's missionary consultation. through correlation between stress disorder's response variable after single mother's traumatism and Korean church's supporting and intervention. This study is aimed to single pregnant women and single mothers who live various locations and types with direct questionnaire method. It is done a survey about general term, feature of single mothers, crisis intervention, reaction of PTSD, church's support and intervention with Daegu-Kumfa Association which is directed involved in the single mothers, affiliate institution for self reliance - spring day, members of Korea Health Resource Center,Seo-gu, Incheon, Intree Association which is directed involved in the single mothers, and 119 members of Aeran-won which is basic living facility for single mothers. It is researched through 100 copies except 19 copies which is filled in dishonestly. It is responded with 13(13%)of single pregnant women and 87(87%)of single mothers.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is used Cronbach a caculation and validity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two tailed test of t-test(paired t-test), correlation through PASW Statistics 18 statistical research analysis tool. It is as in the following if this study's result is summarized. First, the time which is showed about diagnosis criterion symptoms of single mothers'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is suggested that it is highly possible from third trimester within 6 months after childbirth. Second,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eature of single mothers. Third,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tress disorder and crisis intervention according to subjects. Fourth,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ccording to emotional, voluntary, and material crisis intervention. Fifth,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of church and support. It suggested that it is extremely relaxed to stress disorder's reaction when single mothers are taken care from propagation and consultation with words by church. It was verified to influence when church looked back and supported poor people who were hurt. Sixth, it suggested that it is worsened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when it is enacted purgation judgment to single mothers. it is also worsened stress disorder's symptom and reaction when single mothers do reprobation by themselves or we do reprobation and judgment to them. Seventh,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from matching sample t-test about two conditions which are time of single pregnant woman and the intervention after becoming single mother recently. It suggested that it is bigger than time of single pregnant woman to intervention of single mother. It is disproof that emotional, voluntary, and material crisis intervention which single pregnant women suffer is substandard in Korea. In this study,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in repetition rate which is connected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to crisis intervention of friends and relative. When woman became single mother, they experience negative response from their close family and acquaintances. Therefore, it is worsened traumatic reaction such as anger, mental instability, headache, impulse disorder, binge, body vibration, death, heart oppression, and decreased physical performance when they feel humiliation and guilty frequently. That is guilty, humiliation, purgation, and judgment make person's mind and body hurt. Futhermore,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that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and reactions of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re better and healed when church offers comforting words and encouragement. It is established translation of missionary work consulting and missionary generality which can be solved fundamental problem that starts crime and death with word of life and Jejus Christ's precious blood in this study.
The healing effects on PTSD according to crisis intervention methods concerning single pregnant women and single mothers : focused on missional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s of Korean churches HanNa Cho(M.A) Supervisor Dr. ByunMoon Kang(Ph.D.) Department of Healing Ministry Graduate School of Missions in Chongshin University This study is for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of reaction and correlation of mental, voluntary, material crisis intervention from supporter in pregnancy and childbirth for single pregnant woman and single mother as target.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compare with an influence which is affected to stress disorder after single mother's traumatism according to variables of time of an intervention and way to support from countenance. Thus, this study suggests a hypothesis about actual way to support which can help single mother and let you know the time of an intervention and supporter's importance after grasping influence about stress disorder following single mother's traumatism from supporter's supportive system. In addition, it suggests what is practical plan of Korean church's missionary consultation. through correlation between stress disorder's response variable after single mother's traumatism and Korean church's supporting and intervention. This study is aimed to single pregnant women and single mothers who live various locations and types with direct questionnaire method. It is done a survey about general term, feature of single mothers, crisis intervention, reaction of PTSD, church's support and intervention with Daegu-Kumfa Association which is directed involved in the single mothers, affiliate institution for self reliance - spring day, members of Korea Health Resource Center,Seo-gu, Incheon, Intree Association which is directed involved in the single mothers, and 119 members of Aeran-won which is basic living facility for single mothers. It is researched through 100 copies except 19 copies which is filled in dishonestly. It is responded with 13(13%)of single pregnant women and 87(87%)of single mothers.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is used Cronbach a caculation and validity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two tailed test of t-test(paired t-test), correlation through PASW Statistics 18 statistical research analysis tool. It is as in the following if this study's result is summarized. First, the time which is showed about diagnosis criterion symptoms of single mothers'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is suggested that it is highly possible from third trimester within 6 months after childbirth. Second,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eature of single mothers. Third,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tress disorder and crisis intervention according to subjects. Fourth,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ccording to emotional, voluntary, and material crisis intervention. Fifth,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of church and support. It suggested that it is extremely relaxed to stress disorder's reaction when single mothers are taken care from propagation and consultation with words by church. It was verified to influence when church looked back and supported poor people who were hurt. Sixth, it suggested that it is worsened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when it is enacted purgation judgment to single mothers. it is also worsened stress disorder's symptom and reaction when single mothers do reprobation by themselves or we do reprobation and judgment to them. Seventh,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from matching sample t-test about two conditions which are time of single pregnant woman and the intervention after becoming single mother recently. It suggested that it is bigger than time of single pregnant woman to intervention of single mother. It is disproof that emotional, voluntary, and material crisis intervention which single pregnant women suffer is substandard in Korea. In this study,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in repetition rate which is connected with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to crisis intervention of friends and relative. When woman became single mother, they experience negative response from their close family and acquaintances. Therefore, it is worsened traumatic reaction such as anger, mental instability, headache, impulse disorder, binge, body vibration, death, heart oppression, and decreased physical performance when they feel humiliation and guilty frequently. That is guilty, humiliation, purgation, and judgment make person's mind and body hurt. Futhermore, there was very meaningful correlation that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and reactions of stress disorder after traumatism are better and healed when church offers comforting words and encouragement. It is established translation of missionary work consulting and missionary generality which can be solved fundamental problem that starts crime and death with word of life and Jejus Christ's precious blood in this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