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병영성은 조선시대의 군영성으로 둘레길이가 1,090m 정도이고, 남북방향의 길이가 동서방향의 길이보다 두 배 정도 긴 장방형의 평지성이다. 석성으로는 성 내부에 군사적인 시설만을 갖추고 있는 군영성으로서 울산 병영성과 함께 전라도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병영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병영성이 위치한 강진의 지리적 환경 및 역사적 배경과 함께 현재 전라병영성이 얼마만큼 복원이 되었는지 발굴현황을 살펴보고, 북·서측에 위치한 객사와 관아지의 발굴현황을 알아보았다. 현재 성벽, 옹성 4개소, 치 8개소는 복원이 완료 되었으며 ...
전라병영성은 조선시대의 군영성으로 둘레길이가 1,090m 정도이고, 남북방향의 길이가 동서방향의 길이보다 두 배 정도 긴 장방형의 평지성이다. 석성으로는 성 내부에 군사적인 시설만을 갖추고 있는 군영성으로서 울산 병영성과 함께 전라도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병영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병영성이 위치한 강진의 지리적 환경 및 역사적 배경과 함께 현재 전라병영성이 얼마만큼 복원이 되었는지 발굴현황을 살펴보고, 북·서측에 위치한 객사와 관아지의 발굴현황을 알아보았다. 현재 성벽, 옹성 4개소, 치 8개소는 복원이 완료 되었으며 4개의 문루 및 옹성은 복원이 완료된 상태이다. 성곽 복원과 함께 성내부 건물지에 대하여 발굴을 하였는데 북·서측의 객사 및 관아지 발굴은 마무리되었고, 현재는 서측 문루 앞쪽으로 발굴이 진행 중이며 해자는 발굴예정이다.
객사와 동헌을 포함한 관아의 건물지를 현장조사 및 발굴보고서, 고문헌과 다른 읍성 및 병영성의 객사 및 관아지에 대한 유사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북·서측 지역의 전체적인 건축물들의 배치도 및 각 건축물의 규모와 실의 구조를 분석하여 평면도를 재구성하여 보았다.
전라병영성의 객사는 정면 11칸, 측면 4칸의 규모로 현재 제일 큰 규모라고 알려진 여수 진남관(정면 15칸, 측면 5칸, 건평 240평(약 780㎡))과 통영 세병관(정면 9칸 112자, 측면 6칸 56자)보다 칸수로는 적지만 각 칸의 기둥거리가 320∼570cm 내외로전체적으로는 진남관이나 세병관보다는 큰 것으로 추정된다.
고문헌을 통한 역사적 사료들로 추정 된 객사와 관아지를 발굴유적지와 대조하여 건물지 규모로 살펴본 결과 배치는 관아지의 전형적인 배치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굴현황을 통하여 각 건물지의 내부 및 주변의 시설 등을 보고 실의 어떻게 구성 되어 있는지를 추정해 보았다.
전라병영성은 조선시대의 군영성으로 둘레길이가 1,090m 정도이고, 남북방향의 길이가 동서방향의 길이보다 두 배 정도 긴 장방형의 평지성이다. 석성으로는 성 내부에 군사적인 시설만을 갖추고 있는 군영성으로서 울산 병영성과 함께 전라도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병영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병영성이 위치한 강진의 지리적 환경 및 역사적 배경과 함께 현재 전라병영성이 얼마만큼 복원이 되었는지 발굴현황을 살펴보고, 북·서측에 위치한 객사와 관아지의 발굴현황을 알아보았다. 현재 성벽, 옹성 4개소, 치 8개소는 복원이 완료 되었으며 4개의 문루 및 옹성은 복원이 완료된 상태이다. 성곽 복원과 함께 성내부 건물지에 대하여 발굴을 하였는데 북·서측의 객사 및 관아지 발굴은 마무리되었고, 현재는 서측 문루 앞쪽으로 발굴이 진행 중이며 해자는 발굴예정이다.
객사와 동헌을 포함한 관아의 건물지를 현장조사 및 발굴보고서, 고문헌과 다른 읍성 및 병영성의 객사 및 관아지에 대한 유사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북·서측 지역의 전체적인 건축물들의 배치도 및 각 건축물의 규모와 실의 구조를 분석하여 평면도를 재구성하여 보았다.
전라병영성의 객사는 정면 11칸, 측면 4칸의 규모로 현재 제일 큰 규모라고 알려진 여수 진남관(정면 15칸, 측면 5칸, 건평 240평(약 780㎡))과 통영 세병관(정면 9칸 112자, 측면 6칸 56자)보다 칸수로는 적지만 각 칸의 기둥거리가 320∼570cm 내외로전체적으로는 진남관이나 세병관보다는 큰 것으로 추정된다.
고문헌을 통한 역사적 사료들로 추정 된 객사와 관아지를 발굴유적지와 대조하여 건물지 규모로 살펴본 결과 배치는 관아지의 전형적인 배치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굴현황을 통하여 각 건물지의 내부 및 주변의 시설 등을 보고 실의 어떻게 구성 되어 있는지를 추정해 보았다.
The Jeolla Byeongyeongseong fortress is the Joseon Dynasty barracks, whose circumference measures about 1,090 meters and is shaped long rectangular on the flat surface with the north-south length measuring twice more than the east-west length. It is the only surviving stone fortress used as the barr...
The Jeolla Byeongyeongseong fortress is the Joseon Dynasty barracks, whose circumference measures about 1,090 meters and is shaped long rectangular on the flat surface with the north-south length measuring twice more than the east-west length. It is the only surviving stone fortress used as the barracks equipped with military facilities in Jeolla province, other than the Ulsan Byeongyeongseong fortr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Gangjin where the Jeolla Byeongyeongseong is located; the status of excavation or how much of the fortress was restored, and the status of excavation of the Gaeksa (guesthouse) located in the north east and the government office site. Currently the fortress wall, four "ongseong" (urn-shaped fortress) and eight "chi" (pillar) as well as four "mullu" (gate tower) and ongseong are fully restored. Along with the fortress restoration, the building site inside the fortress has been excavated. The restoration of the Gaeksa and the government office site are completed, and currently the excavation at the front of the gate tower is under way and the moat is scheduled for excavation.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investigative excavation reports on the government office site including the Gaeksa and the Dongheon (East Building), ancient literature and similar case studies on other fortresses and the Gaeksa of military barracks and sites of government offices, and to recompose the ground plan by analyzing the layout of all the structures in the north east, the size of each structure and its rooms.
The Gaeksa of the Jeolla Byeongyeongseong fortress was built with 11 kan (measure of a space) in the front and 4 kan in the side. It is smaller by size than the Yeosu Jinnamgwan (measuring 15 kan in length, 5 kan in width with the floor space of 240 pyoong, or about 780㎡) and the Tongyeong Sebyeonggwan (9 kan 112 ja in length and 6 kan 56 ja in width); however, with the distance of each kan measuring 320 to 570 centimeters, in total it is believed to be larger than the Jinnamgwan and the Sebyeonggwan by size.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other guesthouses and government building sites and their sizes recorded as historical data in ancient literature, it can be known that the layout of the excavated site bore similarities to traditional layouts. Through the status of excav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ior facilities of each building site and surrounding facilities and estimated how they were composed of rooms.
The Jeolla Byeongyeongseong fortress is the Joseon Dynasty barracks, whose circumference measures about 1,090 meters and is shaped long rectangular on the flat surface with the north-south length measuring twice more than the east-west length. It is the only surviving stone fortress used as the barracks equipped with military facilities in Jeolla province, other than the Ulsan Byeongyeongseong fortr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Gangjin where the Jeolla Byeongyeongseong is located; the status of excavation or how much of the fortress was restored, and the status of excavation of the Gaeksa (guesthouse) located in the north east and the government office site. Currently the fortress wall, four "ongseong" (urn-shaped fortress) and eight "chi" (pillar) as well as four "mullu" (gate tower) and ongseong are fully restored. Along with the fortress restoration, the building site inside the fortress has been excavated. The restoration of the Gaeksa and the government office site are completed, and currently the excavation at the front of the gate tower is under way and the moat is scheduled for excavation.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investigative excavation reports on the government office site including the Gaeksa and the Dongheon (East Building), ancient literature and similar case studies on other fortresses and the Gaeksa of military barracks and sites of government offices, and to recompose the ground plan by analyzing the layout of all the structures in the north east, the size of each structure and its rooms.
The Gaeksa of the Jeolla Byeongyeongseong fortress was built with 11 kan (measure of a space) in the front and 4 kan in the side. It is smaller by size than the Yeosu Jinnamgwan (measuring 15 kan in length, 5 kan in width with the floor space of 240 pyoong, or about 780㎡) and the Tongyeong Sebyeonggwan (9 kan 112 ja in length and 6 kan 56 ja in width); however, with the distance of each kan measuring 320 to 570 centimeters, in total it is believed to be larger than the Jinnamgwan and the Sebyeonggwan by size.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other guesthouses and government building sites and their sizes recorded as historical data in ancient literature, it can be known that the layout of the excavated site bore similarities to traditional layouts. Through the status of excav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ior facilities of each building site and surrounding facilities and estimated how they were composed of rooms.
Keyword
#조선후기 전라병영성 병영성 객사 관아 동헌 복원 Restoration Jeolla Byeongyeongseong fortress Gaeksa Dongheon Joseon Dynasty barracks Government office sit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