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원과 현직 의사의 학교의사 제도 및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인식 고찰 A study of Cognition Consideration for School Doctor System of Teachers in Special-education School for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and Doctors, and Necessity and Role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구성원들 중 학교경영자 입장의 교감, 학생의 학교 일과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특수교사, 그리고 학교에서 일부 의료행 위가 가능한 보건교사 를 대상으로 개별면담 을 실시하여 학교의사 의 제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현직 의사들은 학교의사 제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들이 생각하는 학교의사의 역할과 필요성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개별면담 결과 분석내용 을 기반으로 논의하고, 학교의사의 역할 수행 에 대하여 제언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사 제도에 대한 인식으로는 현 학교의사 제도 실현의 한계점과 제도 개선방 안의 범주에서 면담대상(교원, 의사)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학교의사 제도 운영에 대한 재정부족, 의사의 진료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법률, 학생 개별 건강문제 파악의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현 학교의 사 제도 실현의 한계점이라 인식하고 있었고 , 교원들은 의사의 장애인 진료에 대한 인식 부족, 교원 간 학생의 건강관리 문제에 대한 논의 부족, 보건교사 의 특수학교에 대한 이해 부족 역시 한계점이라 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의사는 자유의사의 반영이 부재했던 것이 학교의사 활동의 적극 성을 저해하여 현 학교의사제도 실현의 한계점이 라 인식하고 있었다.이에 대한 제도 개선방 안으로 정부기관 및 학교, 의사협회 등 관련 부서 간 협력과 입학기준 및 관련 법규의 규정에 있어 교원과 의사 모두 제도 개선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 며 , 교원들은 공공의료기 관 이 참여하고, 장애인 진료 전문병원 개설이 필요하며, 각 유형 별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이드라 인을 개발 하고 , 학교의사 제도에 따른 특수학교의 준비가 필 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현직 의사는 꼭 물질적인 보상이 아니더라도 병원 측의 보상체계가 구축이 된 다면 병원을 나서서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구성원들 중 학교경영자 입장의 교감, 학생의 학교 일과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특수교사, 그리고 학교에서 일부 의료행 위가 가능한 보건교사 를 대상으로 개별면담 을 실시하여 학교의사 의 제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현직 의사들은 학교의사 제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들이 생각하는 학교의사의 역할과 필요성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개별면담 결과 분석내용 을 기반으로 논의하고, 학교의사의 역할 수행 에 대하여 제언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사 제도에 대한 인식으로는 현 학교의사 제도 실현의 한계점과 제도 개선방 안의 범주에서 면담대상(교원, 의사)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학교의사 제도 운영에 대한 재정부족, 의사의 진료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법률, 학생 개별 건강문제 파악의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현 학교의 사 제도 실현의 한계점이라 인식하고 있었고 , 교원들은 의사의 장애인 진료에 대한 인식 부족, 교원 간 학생의 건강관리 문제에 대한 논의 부족, 보건교사 의 특수학교에 대한 이해 부족 역시 한계점이라 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의사는 자유의사의 반영이 부재했던 것이 학교의사 활동의 적극 성을 저해하여 현 학교의사제도 실현의 한계점이 라 인식하고 있었다.이에 대한 제도 개선방 안으로 정부기관 및 학교, 의사협회 등 관련 부서 간 협력과 입학기준 및 관련 법규의 규정에 있어 교원과 의사 모두 제도 개선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 며 , 교원들은 공공의료기 관 이 참여하고, 장애인 진료 전문병원 개설이 필요하며, 각 유형 별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이드라 인을 개발 하고 , 학교의사 제도에 따른 특수학교의 준비가 필 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현직 의사는 꼭 물질적인 보상이 아니더라도 병원 측의 보상체계가 구축이 된 다면 병원을 나서서 지역사회로 활동하는 것이 더 수월해 질 것이라 인식하였으며, 제도운영 을 위해서는 예산분배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둘째, 학교의사의 필요 성에 대한 인식은 의학 적 정보제공 의 범주에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 다. 교원들은 특수교 육의 기회가 넓어지면 서 학교에 심각한 건강문 제를 수반하는 학생들 이 입학하기 때문에 이런 학생들의 건강관리 에 있어 학교의사가 의학적 정보를 제공 하기를 원했고, 학생의 건강 관리 요구에 따르는 의료행위 수행에 있어 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 결하는 데 있어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교내에서 학생의 건강 관련 정보의 습득이 어렵고, 대부분 학부모 의 정보에 의존하는 상황 이나 그 정보가 정확하다는 점에서 전문가의 의료정보제 공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 이와 비슷하게 학부모와 교원 사이에서 학생의 건강관리 문제로 논의할 때 전문가로서 정확한 지식제공과 중재를 요구하였다 .의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학교의사가 의학 및 질환치료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학부모와 1 대 1 면담 을 하거나, 분기별 모임에 참석하는 등 자문활동을 하는 것에 있어 그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 고 하였다. 셋째,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한 주제는 기존 학교의사의 역할과 기대하는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기존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 하여 교원과 학교의사 로 위촉되었던 의사는 그 역할이 유명무실 하다고 하였으며, 일부 건강 검진과 치료에 대한 협조 및 교사 연수를 수행했 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의사에 게 기대하는 역할로는 의료행위, 보호자 정의 등에 대한 일부 제도의 개선과 지속적인 학교생활과 관련한 건강문제 평가와 상담에 있어 교원과 의사 모두 학교의사의 역할로 기대하고 있었으 며 , 학교에서는 응급상황에 대한 예방 및 대처방안에 대한 자문과 의료적 정보제공 및 교사연수 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의 실정에 맞는 학교의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 하고 , 학교의사의 역할 수행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구성원들 중 학교경영자 입장의 교감, 학생의 학교 일과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특수교사, 그리고 학교에서 일부 의료행 위가 가능한 보건교사 를 대상으로 개별면담 을 실시하여 학교의사 의 제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현직 의사들은 학교의사 제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들이 생각하는 학교의사의 역할과 필요성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개별면담 결과 분석내용 을 기반으로 논의하고, 학교의사의 역할 수행 에 대하여 제언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사 제도에 대한 인식으로는 현 학교의사 제도 실현의 한계점과 제도 개선방 안의 범주에서 면담대상(교원, 의사)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학교의사 제도 운영에 대한 재정부족, 의사의 진료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법률, 학생 개별 건강문제 파악의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현 학교의 사 제도 실현의 한계점이라 인식하고 있었고 , 교원들은 의사의 장애인 진료에 대한 인식 부족, 교원 간 학생의 건강관리 문제에 대한 논의 부족, 보건교사 의 특수학교에 대한 이해 부족 역시 한계점이라 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의사는 자유의사의 반영이 부재했던 것이 학교의사 활동의 적극 성을 저해하여 현 학교의사제도 실현의 한계점이 라 인식하고 있었다.이에 대한 제도 개선방 안으로 정부기관 및 학교, 의사협회 등 관련 부서 간 협력과 입학기준 및 관련 법규의 규정에 있어 교원과 의사 모두 제도 개선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 며 , 교원들은 공공의료기 관 이 참여하고, 장애인 진료 전문병원 개설이 필요하며, 각 유형 별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이드라 인을 개발 하고 , 학교의사 제도에 따른 특수학교의 준비가 필 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현직 의사는 꼭 물질적인 보상이 아니더라도 병원 측의 보상체계가 구축이 된 다면 병원을 나서서 지역사회로 활동하는 것이 더 수월해 질 것이라 인식하였으며, 제도운영 을 위해서는 예산분배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둘째, 학교의사의 필요 성에 대한 인식은 의학 적 정보제공 의 범주에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 다. 교원들은 특수교 육의 기회가 넓어지면 서 학교에 심각한 건강문 제를 수반하는 학생들 이 입학하기 때문에 이런 학생들의 건강관리 에 있어 학교의사가 의학적 정보를 제공 하기를 원했고, 학생의 건강 관리 요구에 따르는 의료행위 수행에 있어 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 결하는 데 있어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교내에서 학생의 건강 관련 정보의 습득이 어렵고, 대부분 학부모 의 정보에 의존하는 상황 이나 그 정보가 정확하다는 점에서 전문가의 의료정보제 공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 이와 비슷하게 학부모와 교원 사이에서 학생의 건강관리 문제로 논의할 때 전문가로서 정확한 지식제공과 중재를 요구하였다 .의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학교의사가 의학 및 질환치료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학부모와 1 대 1 면담 을 하거나, 분기별 모임에 참석하는 등 자문활동을 하는 것에 있어 그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 고 하였다. 셋째,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한 주제는 기존 학교의사의 역할과 기대하는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기존 학교의사의 역할에 대 하여 교원과 학교의사 로 위촉되었던 의사는 그 역할이 유명무실 하다고 하였으며, 일부 건강 검진과 치료에 대한 협조 및 교사 연수를 수행했 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의사에 게 기대하는 역할로는 의료행위, 보호자 정의 등에 대한 일부 제도의 개선과 지속적인 학교생활과 관련한 건강문제 평가와 상담에 있어 교원과 의사 모두 학교의사의 역할로 기대하고 있었으 며 , 학교에서는 응급상황에 대한 예방 및 대처방안에 대한 자문과 의료적 정보제공 및 교사연수 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의 실정에 맞는 학교의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 하고 , 학교의사의 역할 수행에 대해 제언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