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이직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문제제기와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 사회복지정책의 도입을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이직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론적 기틀과 연구 모형을 구축하고 ...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학 전공 최 귀 화 지도교수 김 훈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이직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문제제기와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 사회복지정책의 도입을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이직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론적 기틀과 연구 모형을 구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로 전라북도의 57개소 법인 및 시설에서 근무하는 823명을 임의 선정하였으며, 자료는 2015년 7월 1일에서 8월 1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625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연구변수들에 대한 기술 통계, 신뢰도, 요인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은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서 개념간의 관계를 배열하여 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은 전반적 적합지수에서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연구 분석에서 5개의 가설(H1, H4, H7, H8, H9)이 채택되었고 4개의 가설(H2, H3, H5, H6)이 기각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감정노동 내면행위는 직무스트레스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감정노동 내면행위는 직무만족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표면행위로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였고, 감정노동 내면행위는 이직의도에 간접효과,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감정노동 표면행위, 내면행위와 이직의도에 대한 2개의 중요한 예측인자로 제시된 요인들을 고려하여 검증하였으며,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표면행위, 내면행위와 이직의도 구조모형의 설명력은 연구모형에서 59.0%였으나 수정모형에서는 57.8%로 약간 낮아졌으나 전반적으로 적합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인들의 평균차이에서 감정노동 내면행위의 경우 기독교와 근무기간 1~2년이 높았고 감정노동 표면행위의 경우 월평균 근무일이 20일미만과 이직경험횟수 2회에서 가장 높았다.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근무일 25일미만에서 가장 높았으며, 기독교가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의 경우 연령, 고학력이 높았으며 기혼과 기독교가 직무만족이 가장 높았다. 이직의도의 경우 40대, 미혼과 학력이 높을수록 가장 높았으며 이직경험횟수에서는 3~4회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였다.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였고,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었다. 이직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을 낮추고 직무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직무만족을 향상시켜서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개입시킬 필요가 있다. 종사자를 위한 감정노동 대처프로그램, 감정사용 교육프로그램, 스트레스완화를 위한 심리치료와 문화시설 확충 등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줄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복지적 차원에서의 정책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이 검증되었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와 연결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장애인거주시설 거주인으로부터 당하는 폭행이나 폭언, 성희롱 등의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학 전공 최 귀 화 지도교수 김 훈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이직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문제제기와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 사회복지정책의 도입을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이직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론적 기틀과 연구 모형을 구축하고 공변량 구조분석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로 전라북도의 57개소 법인 및 시설에서 근무하는 823명을 임의 선정하였으며, 자료는 2015년 7월 1일에서 8월 1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625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연구변수들에 대한 기술 통계, 신뢰도, 요인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은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서 개념간의 관계를 배열하여 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은 전반적 적합지수에서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연구 분석에서 5개의 가설(H1, H4, H7, H8, H9)이 채택되었고 4개의 가설(H2, H3, H5, H6)이 기각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감정노동 내면행위는 직무스트레스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감정노동 내면행위는 직무만족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표면행위로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였고, 감정노동 내면행위는 이직의도에 간접효과,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감정노동 표면행위, 내면행위와 이직의도에 대한 2개의 중요한 예측인자로 제시된 요인들을 고려하여 검증하였으며,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표면행위, 내면행위와 이직의도 구조모형의 설명력은 연구모형에서 59.0%였으나 수정모형에서는 57.8%로 약간 낮아졌으나 전반적으로 적합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인들의 평균차이에서 감정노동 내면행위의 경우 기독교와 근무기간 1~2년이 높았고 감정노동 표면행위의 경우 월평균 근무일이 20일미만과 이직경험횟수 2회에서 가장 높았다.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근무일 25일미만에서 가장 높았으며, 기독교가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의 경우 연령, 고학력이 높았으며 기혼과 기독교가 직무만족이 가장 높았다. 이직의도의 경우 40대, 미혼과 학력이 높을수록 가장 높았으며 이직경험횟수에서는 3~4회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였다.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였고,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었다. 이직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을 낮추고 직무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직무만족을 향상시켜서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개입시킬 필요가 있다. 종사자를 위한 감정노동 대처프로그램, 감정사용 교육프로그램, 스트레스완화를 위한 심리치료와 문화시설 확충 등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줄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복지적 차원에서의 정책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장애인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이 검증되었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와 연결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장애인거주시설 거주인으로부터 당하는 폭행이나 폭언, 성희롱 등의
The Effect of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on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the Province of North Jeolla Province -
Choi, Gwi hwaSocial Welfare Major The Graduate School of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Dir...
The Effect of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on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the Province of North Jeolla Province -
Choi, Gwi hwaSocial Welfare Major The Graduate School of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Directed by Prof. Kim, Hoon
Based on the needs to study the issue raised on increasing turnover rate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this study reveals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attemts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in the facil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a social welfare policies. In order to build the model that describes the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various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determined to build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design of the model based on previous study,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 with the model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823 people working in 57 locations offices and facilities in North Jeolla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During the period of from July 1 to August 10 of 2015, 625 self-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18.0 has been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on the subj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d correlatio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has verified hypotheses using Amos 20.0 Program.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odel shows consistent good fit in the overall index over the array of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 models. In the analysis applied with structural equation, five hypotheses(H1, H4, H7, H8, H9) have been adopted while four hypotheses (H2, H3, H5, H6) were dropped. Second,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s as a variable with direct effect on job stress. Third, job stress shows as a variable with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in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hows as a variable with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s meaningful results and deep acting shows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overall effect shows meaningful results. Fifth, this study took into account the two important predictors into verification from previous study on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and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structure showed 59.0% in the study model, and slightly less as 57.8% in the correction model, but the overall fitness showed improvement. Sixth, from an average difference of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ep acting has higher in Christianity and 1-2 service years workers, surface acting has higher in less than 20 monthly average workdays workers and in 2 times of turnover experienced workers.Job stress shows higher i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 group and the highest in monthly average in less than 25 working days, Christianity was the lowest. Job satisfaction shows high in older age group and higher education group, the highest from the married and Christianity group. Turnover intention shows highest from the 40s, the unmarried, higher education and 3-4 times of turnover experienced 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to conclus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s a factor with direc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nd direct effect factor into job stress i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is a factor with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s a factor with direc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e variable with indirec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Based on this stud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poli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to enhance job satisfaction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s followings; First, the emotional labor has been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job stress.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nd provide job stress reduction training program periodically. Emotional labor response program, emotional labor training program,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psychological treatment for stress relief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lowering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shows lower turnover intension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have policy of intervention through follow-up research of lowering turnover intention from welfare perspective. Third,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has been proven to be a key variable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Job Stress of Korean workers is almost always associated with the job environment. Particularly in response to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assaults and verbal abuse, sexual harassment from the tenant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safety devices, such as response manuals and grievance handling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Fourth, promoting mental health through effective program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job stress is very important subject to the institutions or government. Therefore, practical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reduce turnover intention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this kind of integrated programs. Fifth, as the study confirmed that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has important variable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
The Effect of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on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the Province of North Jeolla Province -
Choi, Gwi hwaSocial Welfare Major The Graduate School of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Directed by Prof. Kim, Hoon
Based on the needs to study the issue raised on increasing turnover rate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this study reveals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attemts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in the facil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a social welfare policies. In order to build the model that describes the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various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determined to build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design of the model based on previous study,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 with the model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823 people working in 57 locations offices and facilities in North Jeolla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During the period of from July 1 to August 10 of 2015, 625 self-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18.0 has been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on the subj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d correlatio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has verified hypotheses using Amos 20.0 Program.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odel shows consistent good fit in the overall index over the array of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 models. In the analysis applied with structural equation, five hypotheses(H1, H4, H7, H8, H9) have been adopted while four hypotheses (H2, H3, H5, H6) were dropped. Second,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s as a variable with direct effect on job stress. Third, job stress shows as a variable with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in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hows as a variable with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s meaningful results and deep acting shows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overall effect shows meaningful results. Fifth, this study took into account the two important predictors into verification from previous study on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and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structure showed 59.0% in the study model, and slightly less as 57.8% in the correction model, but the overall fitness showed improvement. Sixth, from an average difference of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ep acting has higher in Christianity and 1-2 service years workers, surface acting has higher in less than 20 monthly average workdays workers and in 2 times of turnover experienced workers.Job stress shows higher i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 group and the highest in monthly average in less than 25 working days, Christianity was the lowest. Job satisfaction shows high in older age group and higher education group, the highest from the married and Christianity group. Turnover intention shows highest from the 40s, the unmarried, higher education and 3-4 times of turnover experienced 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to conclus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s a factor with direc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nd direct effect factor into job stress i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is a factor with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s a factor with direc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e variable with indirec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Based on this stud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poli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to enhance job satisfaction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s followings; First, the emotional labor has been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job stress.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nd provide job stress reduction training program periodically. Emotional labor response program, emotional labor training program,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psychological treatment for stress relief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lowering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shows lower turnover intension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have policy of intervention through follow-up research of lowering turnover intention from welfare perspective. Third,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has been proven to be a key variable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Job Stress of Korean workers is almost always associated with the job environment. Particularly in response to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assaults and verbal abuse, sexual harassment from the tenant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safety devices, such as response manuals and grievance handling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Fourth, promoting mental health through effective program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job stress is very important subject to the institutions or government. Therefore, practical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reduce turnover intention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this kind of integrated programs. Fifth, as the study confirmed that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has important variable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