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조사료인 timothy와 농후사료를 60 : 40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 추출물은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이며 반추위액과 McDougall's buffer를 1 : 2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 (기질의 1%, 3%, 5%, 7%, 9%)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를 유지하며 25 mL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20 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 시간동안 발효시켰다. pH값은 발효 24시간대 5%, 7%, 9% 첨가구와 발효 72시간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반추위 적정 pH를 유지하고 있었다. 건물소화율은 발효 24시간대, 48시간대, 72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대에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12시간대 9% 첨가구 그리고 발효 48시간대 1%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 발효 72시간대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12시간대 9% (161.81 mL/gDM) 첨가구, 발효 24시간대 7% (188.95 mL/gDM) 첨가구와 9% (188.64 mL/gDM) 첨가구, 발효 48시간대 5% (211.34 mL/gDM)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고, 발효 72시간대 3% (326.98 mL/gDM)과 5% (323.39 mL/gDM)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발효시간이 지날수록 총 가스 발생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6시간대 1% 첨가구, 발효 12시간대 3%,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메탄 발생량은 발효 24시간대 1%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총 ...
본 연구는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조사료인 timothy와 농후사료를 60 : 40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 추출물은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이며 반추위액과 McDougall's buffer를 1 : 2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 (기질의 1%, 3%, 5%, 7%, 9%)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를 유지하며 25 mL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20 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 시간동안 발효시켰다. pH값은 발효 24시간대 5%, 7%, 9% 첨가구와 발효 72시간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반추위 적정 pH를 유지하고 있었다. 건물소화율은 발효 24시간대, 48시간대, 72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대에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12시간대 9% 첨가구 그리고 발효 48시간대 1%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 발효 72시간대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12시간대 9% (161.81 mL/gDM) 첨가구, 발효 24시간대 7% (188.95 mL/gDM) 첨가구와 9% (188.64 mL/gDM) 첨가구, 발효 48시간대 5% (211.34 mL/gDM)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고, 발효 72시간대 3% (326.98 mL/gDM)과 5% (323.39 mL/gDM)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발효시간이 지날수록 총 가스 발생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6시간대 1% 첨가구, 발효 12시간대 3%,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메탄 발생량은 발효 24시간대 1%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총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는 발효 3, 6, 9, 12 시간대에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발효 24시간대 7% 첨가구, 발효 48시간대 5% 첨가구 그리고 발효 72시간대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Real-time PCR의 결과에서 메탄 발생에 영향을 주는 M. archaea는 3%, 5%, 7%, 9% 첨가구에서 발현 비율이 낮게 나왔으므로 앞의 메탄 발생량의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 추출물은 반추위내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 추출물은 반추위 발효성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메탄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식물 추출물이라 사료된다.본 연구는 항산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조사료인 timothy와 농후사료를 60 : 40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 추출물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진달래 (Korean Rhodo-dendron), 대추야자 (Date palm), 포도 (Wine Grape)와 검양옻나무 (Wax Tree)이며 반추위액과 McDougall's buffer를 1 : 2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 (기질의 5%)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를 유지하며 25 mL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20 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 시간동안 발효시켰다. 실험 결과 pH 값은 몇몇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발효시간이 지날수록 pH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반추위내 적정 pH 범위에 포함되었다. 건물소화율은 발효 72시간의 포도 (Wine Grape)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 및 첨가구에서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6시간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진달래 (Korean Rhodo-dendron), 검양옻나무 (Wax Tree) 첨가구와 발효 24시간대 포도 (Wine Grape)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했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3시간대와 6시간대에 검양옻나무 (Wax Tree)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고, 발효 24시간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진달래 (Korean Rhodo-dendron) 첨가구와 발효 72시간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9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에서는 대조구와 첨가구간의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메탄 발생량은 발효 24시간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총 휘발성 지방산은 발효 72시간의 대추야자 (Date palm)와 포도 (Wine Grape)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 및 첨가구에서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 24시간대의 Real-Time PCR의 결과에서 메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M. archaea가 포도 (Wine Grape), 검양옻나무 (Wax Tree) 첨가구에서 발현량이 낮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항산화 효과 식물추출물은 반추위내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대추야자 (Date palm), 포도 (Wine Grape) 및 검양옻나무 (Wax Tree) 추출물은 반추위 발효성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메탄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식물 추출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조사료인 timothy와 농후사료를 60 : 40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 추출물은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이며 반추위액과 McDougall's buffer를 1 : 2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 (기질의 1%, 3%, 5%, 7%, 9%)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를 유지하며 25 mL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20 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 시간동안 발효시켰다. pH값은 발효 24시간대 5%, 7%, 9% 첨가구와 발효 72시간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반추위 적정 pH를 유지하고 있었다. 건물소화율은 발효 24시간대, 48시간대, 72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대에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12시간대 9% 첨가구 그리고 발효 48시간대 1%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 발효 72시간대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12시간대 9% (161.81 mL/gDM) 첨가구, 발효 24시간대 7% (188.95 mL/gDM) 첨가구와 9% (188.64 mL/gDM) 첨가구, 발효 48시간대 5% (211.34 mL/gDM)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고, 발효 72시간대 3% (326.98 mL/gDM)과 5% (323.39 mL/gDM)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발효시간이 지날수록 총 가스 발생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6시간대 1% 첨가구, 발효 12시간대 3%,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메탄 발생량은 발효 24시간대 1%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총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는 발효 3, 6, 9, 12 시간대에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발효 24시간대 7% 첨가구, 발효 48시간대 5% 첨가구 그리고 발효 72시간대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Real-time PCR의 결과에서 메탄 발생에 영향을 주는 M. archaea는 3%, 5%, 7%, 9% 첨가구에서 발현 비율이 낮게 나왔으므로 앞의 메탄 발생량의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 추출물은 반추위내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검양옻나무 (Rhus succedanea) 추출물은 반추위 발효성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메탄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식물 추출물이라 사료된다.본 연구는 항산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조사료인 timothy와 농후사료를 60 : 40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 추출물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진달래 (Korean Rhodo-dendron), 대추야자 (Date palm), 포도 (Wine Grape)와 검양옻나무 (Wax Tree)이며 반추위액과 McDougall's buffer를 1 : 2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 (기질의 5%)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를 유지하며 25 mL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20 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 시간동안 발효시켰다. 실험 결과 pH 값은 몇몇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발효시간이 지날수록 pH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반추위내 적정 pH 범위에 포함되었다. 건물소화율은 발효 72시간의 포도 (Wine Grape)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 및 첨가구에서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6시간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진달래 (Korean Rhodo-dendron), 검양옻나무 (Wax Tree) 첨가구와 발효 24시간대 포도 (Wine Grape)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했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3시간대와 6시간대에 검양옻나무 (Wax Tree)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고, 발효 24시간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진달래 (Korean Rhodo-dendron) 첨가구와 발효 72시간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9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에서는 대조구와 첨가구간의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메탄 발생량은 발효 24시간대 물레나물 (Giant St. Johnswort)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총 휘발성 지방산은 발효 72시간의 대추야자 (Date palm)와 포도 (Wine Grape)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발효시간 및 첨가구에서는 유의적 (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 24시간대의 Real-Time PCR의 결과에서 메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M. archaea가 포도 (Wine Grape), 검양옻나무 (Wax Tree) 첨가구에서 발현량이 낮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항산화 효과 식물추출물은 반추위내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대추야자 (Date palm), 포도 (Wine Grape) 및 검양옻나무 (Wax Tree) 추출물은 반추위 발효성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메탄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식물 추출물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nt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growth and methane emission.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consuming 400 g/kg concentrate and 600 g/kg timothy hay. On fermentation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nt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growth and methane emission.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consuming 400 g/kg concentrate and 600 g/kg timothy hay. On fermentation day, ruminal contents were collected and in vitro fermentation incorporated a control (timothy hay, 300 mg), Giant St. Johnswort, Korean Rhodo-dendron, Date Palm, Wine Grape, and Wax Tree. The 15 mL of mixture, which is composed of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of 2 :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s. Each plant extract was added at the level of 5% against 300 mg of timothy as a substrate (v/w). The serum bottles were incubated for 3, 6, 9, 12, 24, 48, and 72 h at 39℃ without shaking. pH values measured were between 6.25 and 7.61 in the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reatments with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s except 72 h wine grape extract.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Giant St. Johnswort, Korean Rhodo-dendron and Wax Tree treatments on 6 h and in Wine grape treatments on 24 h than in control. Total ga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Wax tree than in control on fermentation time 3 and 6 h. Also, in Giant St. Johnswort and Korean Rhodo-dendron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at 24-h incubation, and al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control at 72 h. Carbon dioxide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including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s except 9 h.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Korean Rhodo-dendron, Date Palm, Wine Grape, Wax Tree treatments on 24 h than in control. Total VFAs were did not differ (p<0.05) between all treatments and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72 h. At 24-h incubation, the results of real-time PCR were shown that M. archaea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hen Date palm, Wine Grape, and Wax Tree were treated. In conclusion, the antioxidant plant extracts were shown to decrease methane emission.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hus succedanea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fed a diet containing 40% concentrate and 60% timothy, respectively. The plant extracts Rhus succedanea was added at the level of 1, 3, 5, 7, and 9% against 300 mg of timothy as a substrate (v/w). The 15 mL of mixture, which consists of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2 to 1, was add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s. The pH values did not differ between all treatments and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24 and 72 h. Dry matter digestibility did not differ between all treatments and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24, 48, and 72 h. The rumen microbial growth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9% treatments than in control at 12 h, and i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3, 5, 7, and 9% than in control at 48 h. Also, i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7, and 9% than in control at 72 h.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not different in all treatments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12, 48, and 72 h. During fermentation time, total gas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s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3, 5, 7, and 9% treatments on 24 h than in control. Total VFAs were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between 24-h incubation time and control. At 24-h incubation time, the results of real-time PCR were shown that M. archae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3, 5, 7, and 9% of Rhus succedanea extracts treated. In conclusion, Rhus succedanea plant extract was shown to decrease methane emission, especially 5% trea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nt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growth and methane emission.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consuming 400 g/kg concentrate and 600 g/kg timothy hay. On fermentation day, ruminal contents were collected and in vitro fermentation incorporated a control (timothy hay, 300 mg), Giant St. Johnswort, Korean Rhodo-dendron, Date Palm, Wine Grape, and Wax Tree. The 15 mL of mixture, which is composed of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of 2 :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s. Each plant extract was added at the level of 5% against 300 mg of timothy as a substrate (v/w). The serum bottles were incubated for 3, 6, 9, 12, 24, 48, and 72 h at 39℃ without shaking. pH values measured were between 6.25 and 7.61 in the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reatments with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s except 72 h wine grape extract.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Giant St. Johnswort, Korean Rhodo-dendron and Wax Tree treatments on 6 h and in Wine grape treatments on 24 h than in control. Total ga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Wax tree than in control on fermentation time 3 and 6 h. Also, in Giant St. Johnswort and Korean Rhodo-dendron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at 24-h incubation, and al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control at 72 h. Carbon dioxide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including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s except 9 h.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Korean Rhodo-dendron, Date Palm, Wine Grape, Wax Tree treatments on 24 h than in control. Total VFAs were did not differ (p<0.05) between all treatments and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72 h. At 24-h incubation, the results of real-time PCR were shown that M. archaea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hen Date palm, Wine Grape, and Wax Tree were treated. In conclusion, the antioxidant plant extracts were shown to decrease methane emission.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hus succedanea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Hanwoo cow fed a diet containing 40% concentrate and 60% timothy, respectively. The plant extracts Rhus succedanea was added at the level of 1, 3, 5, 7, and 9% against 300 mg of timothy as a substrate (v/w). The 15 mL of mixture, which consists of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2 to 1, was add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s. The pH values did not differ between all treatments and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24 and 72 h. Dry matter digestibility did not differ between all treatments and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24, 48, and 72 h. The rumen microbial growth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9% treatments than in control at 12 h, and i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3, 5, 7, and 9% than in control at 48 h. Also, i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7, and 9% than in control at 72 h.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not different in all treatments during whole incubation time except 12, 48, and 72 h. During fermentation time, total gas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s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3, 5, 7, and 9% treatments on 24 h than in control. Total VFAs were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between 24-h incubation time and control. At 24-h incubation time, the results of real-time PCR were shown that M. archae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3, 5, 7, and 9% of Rhus succedanea extracts treated. In conclusion, Rhus succedanea plant extract was shown to decrease methane emission, especially 5% treatm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