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중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원문보기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 전라도 소재 12곳의 중·고등학교 교사 314명을 연구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인 감정노동, 마음챙김,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 전라도 소재 12곳의 중·고등학교 교사 314명을 연구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인 감정노동, 마음챙김,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행동은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현재자각, 탈중심적 주의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이고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고갈, 비인간화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내면행동과 소진의 하위요인인 비인간화, 성취저하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표면행동, 내면행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부분매개모형이 채택되어 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소진에 직접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소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 전라도 소재 12곳의 중·고등학교 교사 314명을 연구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인 감정노동, 마음챙김,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행동은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현재자각, 탈중심적 주의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이고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고갈, 비인간화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내면행동과 소진의 하위요인인 비인간화, 성취저하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표면행동, 내면행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부분매개모형이 채택되어 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소진에 직접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소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surveye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ross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Chungcheong-do, Jeolla-do about self-report 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surveye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ross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Chungcheong-do, Jeolla-do about self-report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major variable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urface acting and attention concentration, awakening the current, uncritical acceptance, de-central attention and betwe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dehumanizing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se variables. Deep acting, dehumanizing and degradation of achievement appear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mediator effect of mindfulness was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sectional mediated model was chosen between surface behavior, internalizing behavior and Burnout. Therefore, surface behavior and internalizing behavior shows that it affects not only directly Burnout but also indirectly burnout by the medium of mindfuln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surveye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ross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Chungcheong-do, Jeolla-do about self-report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major variable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urface acting and attention concentration, awakening the current, uncritical acceptance, de-central attention and betwe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dehumanizing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se variables. Deep acting, dehumanizing and degradation of achievement appear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mediator effect of mindfulness was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sectional mediated model was chosen between surface behavior, internalizing behavior and Burnout. Therefore, surface behavior and internalizing behavior shows that it affects not only directly Burnout but also indirectly burnout by the medium of mindfuln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